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사대부 묘

(문신) 충암 김정[문간공], 정경부인 은진송씨 -경주김씨-

by 보현당 2018. 7. 6.
반응형

1486(성종 17)∼1521(중종 16).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충(), 호는 충암()·고봉(). 보은 출신. 김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처용()이고, 아버지는 호조정랑 김효정()이며, 어머니는 양천허씨()로 판관() 허윤공()의 딸이다.  1507년 증광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성균관전적()에 보임되고, 수찬()·병조좌랑을 거쳐 정언()으로 옮겨졌다. 이어 병조정랑·부교리()·헌납()·교리·이조정랑 등을 거쳐 1514년에 순창군수가 되었다.

이 때 왕의 구언(: 정치에 도움이 되는 말이나 글)에 응해 담양부사 박상()과 함께 중종 때 억울하게 폐출된 왕후 신씨()의 복위를 주장하고, 아울러 신씨 폐위의 주모자인 박원종() 등을 추죄()할 것을 상소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서 보은에 유배되었다.

이 때 권민수()·이행() 등은 이들을 엄중히 다스릴 것을 주장한 반면, 영의정 유순() 등은 이에 반대했고, 조광조()도 치죄를 주장한 대간의 파직을 주청하였다. 이 문제를 둘러싸고 대간 사이에도 대립이 생겼고, 둘 다 옳다는 설까지 제기되었다.

1516년 석방되어 박상과 함께 다시 홍문관에 들고, 권민수와 이행의 파직으로 마무리되었다. 그것은 곧 중앙 정계에서의 사림파의 승리를 뜻하는 것이었다.

그 뒤 응교()·전한() 등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뒤에 사예()·부제학·동부승지·좌승지·이조참판·도승지·대사헌 등을 거쳐 형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성장은 괄목할 정도였는데, 그것은 당시 사림파의 급속한 성장과 긴밀한 관계를 지닌 것이었다.

그 뒤 기묘사화 때 극형에 처해지게 되었으나, 영의정 정광필() 등의 옹호로 금산()에 유배되었다가, 진도를 거쳐 다시 제주도로 옮겨졌다. 그 뒤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사림파의 주축인 생존자 6인과 함께 다시 중죄에 처해져 사사되었다. 1545년(인종 1) 복관되었고, 1646년(인조 24)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3세에 할머니 황씨에게 수학하기 시작했고 20세 이후에는 최수성()·구수복() 등과 성리학의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관료 생활을 하면서도 성리학에 대한 학문 정진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또한, 시문에도 능했으며 새·짐승 등의 그림도 잘 그렸다.

일찍이 사림 세력을 중앙 정계에 추천했고, 조광조의 정치적 성장을 뒤에서 도왔다. 그 뒤 조광조와 함께 사림파의 대표적인 존재로서, 그들의 세력 기반을 굳히기 위해 현량과()의 설치를 적극 주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한 개혁 정치를 폈는데, 그 일환으로 미신 타파와 향약의 실시, 정국공신의 위훈삭제() 등을 추진하였다.

제자로는 김봉상()·김고()·최여주() 외에 조카인 김천부()·김천우() 등이 있다. 보은의 상현서원(), 청주의 신항서원(), 제주의 귤림서원(), 금산의 성곡서원()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충암집()』이 있는데, 여기에 실린 「제주풍토록(] )」은 기묘사화로 제주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견문한 제주도의 풍토기이다. 시호는 처음에는 문정()이고, 나중에 문간()으로 고쳐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정 [金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madangca.blog.me/22130285244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