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근현대묘62

(한글 5벌식타자기) 김동훈 요셉 -웅천김씨- 한글 5번식타자기 창시자이시다. 2024. 5. 19.
(통일부장관, 명지학원 3대이사장) 방목 유상근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관료. 호는 방목(邦牧).  1922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국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이후 공직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충청북도 사무국장과 내무부 통계국장을 거쳐 1975년 국토통일원차관을 맡았으며, 이후 1975년 8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국토통일원장관직을 지냈다.또, 교육사업에 관심이 많아서 1956년 명지학원을 설립하고 명지대학교 초대 총장직을 지내기도 하였다. 명지학원 설립자인 만큼 명지대학교 내에서 유상근 전 총장의 영향력과 상징성은 매우 강한데, 그의 호인 '방목(邦牧)'을 딴 강의나 학교 건물이 많다. (ex. 명지대학교의 교양대학인 방목기초교육대학,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의 중앙도.. 2024. 5. 19.
(순직 경찰관) 김순실, 최병린, 한경선, 이용식, 최장봉 -무장공비와 교전중 산화 오용사- 순직경찰관 김순실(당시 24세), 최병린(26), 한경선(25), 이용식(25), 최장봉(35)의 묘 5기가 나란히 안장되어 있다. 괴산 경찰서 감물지소 소속 5명의 경찰관은 1950년 5월 12일 오전 8시 30분쯤 감물면 매전리 증자동 마을에 무장공비가 침투했다는 신고를 접했다. 당시는 마을마다 보이지 않은 곳곳에 좌익분자가 있어 적군이나 무장공비에게 정보를 주고 국군이나 경찰관서에 허위나 유인 신고하는 일이 많았었다.  그날 신고도 경찰들을 유인해 무기를 탈취하기 위한 좌익분자의 허위 신고였다. 신고를 받은 김순실 등 4명은 아무런 의심도 없이 현지로 출동해 산길을 달렸다. 그러나 그들은 매전리 양살목 고개에 미리 잠복해 있던 무장공비 30여명의 갑작스런 총격을 받았다. 교전 끝에 무장공비 2명을 .. 2024. 5. 18.
(영화배우) 최무룡 -제13대 국회의원- 1928년 2월 25일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났다. 개성상업고등학교를 거쳐 1952년 중앙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1945년부터 연극 활동을 시작한 뒤, 1954년 이만흥 감독의 [탁류]로 영화계에 데뷔하였다. 이후 [잃어버린 청춘], [오발탄], [5인의 해병], [돌아오지 않는 해병], [빨간 마후라], [남과 북] 등에 출연하였다. 1970년대에도 [심야의 방문객], [마지막 황태자 영친왕], [동춘], [30년 만의 대결], [둘째 어머니], [서방님 따라서], [죄많은 여인], [명동 잔혹사], [잡초] 등에 출연하면서 계속 인기를 누렸다. 총 50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고, 주연급으로 출연한 영화만도 230여 편이나 된다. 1963년부터 1994년까지 영화인협회 연기분과위원장, 영화배우협.. 2024. 4. 17.
(일본육군 군속 훈8등) 장해윤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군속으로 통역을 맡아 하북성 태항산 석가정 전투에서 충과의를 다하여 순국하는 공을 세웠다. 애석하게도 그때 나이 30세였다. 육군군속 8등 결과적으로 친일파.... 다른 훈8등을 받은 사람은 노덕술이다. 평가는 각자 몫으로.... ​1941년 12월 12일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제2대 대원들이 중국 하북성(河北省) 호가장(胡家庄)에서 일본군의 습격에 맞서 싸운 전투. 1938년 10월 중국 무한(武漢)에서 중국 관내 지역 최초의 한인 무장 조직으로서 조선의용대가 창설되었다. 김원봉(金元鳳)을 총대장으로 한 조선의용대는 중국군 ‘6개 전구 남북 13개 성 전지’에 배속되어, 대일본군 반전선전, 대중국민 항전 선전, 일본군 포로 심문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국민당 정부 지구에 국한된 선.. 2024. 3. 17.
(정치인,종교인) 운석 장면 요한, 부인 김옥윤 마리아 여사 -인동장씨-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운석 장면 요한 1899년∼1966년. 정치가. 본관은 인동(仁同). 호는 운석(雲石). 서울 출생. 일제강점기 때 부산세관장을 지낸 장기빈(張箕彬)의 아들이다. 8세에 인천 사립박문학교에 입학, 한학을 수학하였다. 1917년 수원고등농림학교(水原高等農林學校: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전신)를 졸업하고, 1919년 서울기독교청년회관 영어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25년 한국천주교청년회 대표자격으로 미국 맨해튼 카톨릭대학 문과를 마치고 로마에서 열린 ‘한국 79위 순교복자 시복식’에 참석하였다. 귀국 후 천주교 평양교구에서 교회일을 보았다. 1913년 동성상업학교(東星商業學校)에 부임, 1936년 이 학교 교장이 되고, 계성학교(啓星學校)의 교장직도 겸임하여 광복 때까지 근무하.. 2023. 12. 24.
(육군대장) 청산 박준병 -제20사단장- 1933년 6월 21일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한곡리에서 아버지 박종호(朴鍾昊, 1915. 11. 7 ~ 1994. 4. 5)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지순(金知順, 1916. 3. 16 ~ 1995. 5. 3) 사이의 6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청산'이라는 호가 바로 태어난 곳의 지명을 딴 것. 육군사관학교를 12기로 졸업했으며 하나회의 멤버로 동기 박희도, 박세직과 '3박'으로 불렸다. 박세직과 더불어 동기 중 선두 주자였으며 대령 시절 81보병연대장을 역임했다. 1979년 소장 진급 후 수도권 충정부대를 지휘하는 요직인 제20사단장에 임명되었다. 재임 중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났고 당시 경복궁에 모였던 가담 멤버 중 1명이었으나 본인은 사전에 모임의 목적이 반란인지 모르고 갔었다고 말했다. 당.. 2023. 12. 8.
(육군 대장) 유학성 -제3군사령관- 유학성(兪學聖, 1927년 2월 28일~1997년 4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경상북도 예천 출생이다.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6.25 전쟁에 참전하였고, 육군 주월 100군수사령관, 육군 제26사단장, 육군 전투발전사령관, 육군 동해안경비사령관,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 육군 제2군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육군 제3군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국방부 군수차관보 재직 중이었던 1979년에는 전두환, 노태우 등의 신군부가 일으킨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였다. 12·12 후 육군 제3군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1980년 5·18 내란에 도의적 가담하였으며 그 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육군 제3군.. 2023. 12. 8.
(협객) 조일환 - 김두한 후계자 협객 조일환에 대한 평가가 다양하다. 분명 좋은일도 많이 했지만 그렇지 않은 일도 했던것 같다. 조일환(曺一煥, 1938년~2009년 7월 13일)은 김두한의 후계자이다. 전북 부안에서 태어나 열일곱살이 되던 해방 전후 충남 천안 지역 주먹계를 평정한 뒤 1974년 육영수 저격 사건 당시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며 천안 시내 유관순 동상 앞에서 새끼손가락을 잘라 항의한 바 있다. 2005년 3월에는 일본 고이즈미 준이치로 수상의 망언과 신사참배, 역사 교과서 왜곡 중단 반성을 촉구하며 조씨의 아내와 아들이 손가락을 절단했다. 세상을 떠나기 직전에는 기독교에 귀의했다. 이후 2009년 7월 13일에 사망하였다. 2023. 10. 9.
(애국지사??) 정춘산 2023. 3. 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