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전의이씨15

(문신, 경기 여주) 응백 정운시, 숙인 전의이씨 -해주정씨- 자는 응백 본관은 해주 부친은 참판 정조이다. 공조좌랑을 역임하다. 배위 전의이씨는 별좌 이희창의 따님이시다. 2023. 7. 2.
(무신, 경기 여주시) 중경 정언충, 숙인 전의이씨, 숙인 개령홍씨 -해주정씨- 자는 중경, 부친은 정희문 모친은 조천부정의 따님 전주이씨이시며, 어모장군 충무위사직을 지내셨다. 청도군수를 지낸 정흥경의 손자이다. 2023. 4. 7.
(공신) 길창부원군 문경공 권제, 정경부인 전의이씨 -안동권씨- 본관은 안동. 초명은 도(蹈), 자는 중의(仲義)·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할아버지는 검교정승 희(僖)이고, 아버지는 찬성 근(近)이다.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음보(蔭補)로 경승부주부에 기용되었으나, 감찰로 있을 때 대사헌의 비위에 거슬려 파면되었다.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한 뒤, 세종초에 집현전부제학·대사헌·한성부윤 등을 지냈다. 1435년(세종 17) 이조판서가 되고, 이듬해에는 〈동국연대 東國年代〉를 편찬했다. 그뒤 예조판서·예문관대제학·지중추원사를 거쳐, 1442년 지춘추관사로서 신개(申槩)와 함께 〈고려사〉를 편찬했다. 1445년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저서에 〈지재집〉·〈역대년세가 歷代年世歌〉·〈영가연괴집 永嘉連魁集〉.. 2023. 1. 26.
(무신) 전의군 이덕량 [장경공], 정경부인 전주최씨 -전의이씨, 해평부원군 정미수- 1435(세종 17)∼1487(성종 18).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정간(貞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관(士寬)이고, 아버지는 지장(智長)이며, 어머니는 이승(李昇)의 딸이다. 세조비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자서(姉婿)이다. 1457년(세조 3)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사복직장(司僕直長)·종친부부전첨(宗親府副典籤)·세자익찬(世子翊贊)이 되고, 1462년 호조정랑이 되어 세조의 총애를 받았다. 1463년 겸사복소윤(兼司僕小尹)을 거쳐 사헌부장령·훈련원부사를 지냈고,1465년 경원도호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퇴직하였다. 1467년 5월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일어나자 특명으로 회령부사가 되어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전의군(全義君)에 봉해졌다. 이어 회령진병마.. 2023. 1. 8.
(문신,경기 남양주시) 문정공 정관재 이단상 , 정부인 전의이씨 -연안이씨- 1628년(인조 6)∼1669년(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능(幼能), 호는 정관재(靜觀齋)·서호(西湖). 좌의정 이정구(李廷龜)의 손자로, 대제학 이명한(李明漢)의 아들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장원, 다음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설서·대교·봉교·부수찬·교리 등을 역임하면서, 서연(書筵)에 나아갔다. 여러 차례 이조·병조의 정랑을 지내고 의정부사인으로 지제교(知製敎)를 겸하였다. 1655년(효종 6)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뒤 대간에 들어가 구애됨이 없이 정론(正論)을 밝혔으며, 전라도 지방을 두루 살펴 기근이 심한 고을을 구제하게 하였다. 그뒤 효종이 죽고 정국이 변하자 두문불출하고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잠시 청풍부사를 지냈으며, 이어 응교를.. 2022. 12. 12.
(좌의정, 전북 완주군) 완성부원군 언규 황헌, 정경부인 전의이씨, 정경부인 전주최씨 -우주황씨- 본관은 우주(紆州). 자는 언규(彦規). 황진손(黃振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인(黃璘)이고, 아버지는 황윤조(黃胤祖)이다. 1521년(중종 16) 별시 문과에 급제, 권신 남곤(南袞)의 추천으로 정자가 되고, 정언·사예·집의·사간·장령을 거쳐, 이조정랑에 등을 역임하였다. 1537년 대사간, 1543년 이조판서, 1548년(명종 3) 우의정에 올라 위사공신(衛社功臣) 3등에 책록되었는데, 이는 명종 즉위년에 상을 당하여 집에 있었으므로 공신에 책록되지 못하였는데 재상에 올라 스스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였다는 공을 내세워 훈적(勳籍)에 추록된 것이다. 이듬해 좌의정이 되고, 이 해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인 부제학 진복창(陳復昌)에 의하여 공리(功利)를 탐하고 죄인을 함부로 죽였다는 탄핵을 받고 삭.. 2022. 7. 3.
(문신) 득보 이면, 숙인 청송심씨 (이면 묘) -전의이씨- 본관은 전의 자는 득보 이다. 안동판관을 지내셨다. 부인 청송심씨는 병조참판 심충겸의 따님이시다. 2021. 7. 4.
(문신) 해풍군 제순공 낙만 정효준, 정부인 전의이씨 -해주정씨- 해풍군 제순공 낙만 정효준 1577(선조 10)∼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효우(孝于), 호는 낙만(樂晩). 아버지는 돈녕부판관 흠(欽)이다. 어려서부터 시명이 높았고, 특히 변려문(騈儷文)에 뛰어났다. 1613년(광해군 5)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 등 대북파에 의하여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이 대두되었을 때, 어몽렴(魚夢濂)·정택뢰(鄭澤雷) 등과 함께 극력 항소하여 이이첨 등의 처형을 주장하였다. 이로 인하여 두 사람은 유배당하였으나 그는 북관에 피신하여 화를 면하였다. 과거에 여러 차례 낙방하다가 늦게서야 1618년(광해군 10)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에 서용되어 효릉참봉(孝陵參奉)·전생서봉사(典牲署奉事.. 2016. 7. 25.
(공신) 해평부원군 소평공 우재 정미수, 정경부인 전의이씨 -해주정씨- 해평부원군 소평공 우재 정미수 1456(세조 2)∼1512(중종 7). 조선 전·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기수(耆叟), 호는 우재(愚齋). 전라남도 광주 출생. 아버지는 형조참판 종(悰)이며, 어머니는 문종의 딸 경혜공주(敬惠公主)이다. 아버지가 사사(賜死)되자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소환, 세조가 길렀다. 잠저 때의 성종을 시중하다가 1473년(성종 4) 돈녕부직장·형조정랑을 지냈다. 죄인의 자손으로 임관되었다 하여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으나 성종의 무마로 무사하였다. 1476년 중부참봉(中部參奉)을 거쳐 이듬해 선전관을 지내고, 1489년 사헌부장령·사섬시첨정·한성부서윤·인천부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당상관으로 올라 장례원판결사에 임명되고, 1496년(연산군 2) 충청도관찰사.. 2016. 7. 17.
(문신) 유항 류영, 정부인 전의이씨 -진주류씨- 유항 류영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세이(洗耳), 호는 유항(柳巷). 아버지는 교리(校理) 유시행(柳時行),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대화(李大禾)의 딸, 처는 진주강씨(晋州姜氏) 강홍적(姜弘勣)의 딸과 전의이씨(全義李氏) 이윤신(李潤身)의 딸이다. 유영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밑에서 교육을 받았는데 글재주가 비상하여 9세에 세인들의 칭송을 받을 만한 시를 지었다 한다. 1627년(인조 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 승정원주서, 세자시강원설서 등을 역임하였다. 외직으로 나가 간성현감(杆城縣監)에 재직하였는데 당시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난민들을 구제, 위로하는 데 힘썼다. 1636년 이조좌랑을 거쳐 이듬해 관서어사로 나아갔다가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헌납,.. 2016. 7. 3.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