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사대부묘342

(문신) 사의 이유홍, 숙부인 평양조씨 -함평이씨- 자는 사의 부친은 함춘군 이창운이시며, 모친은 의령남씨 이시다. 중화부사를 지내셨다. 증 죄승지이시다. 배위 평양조씨는 진사 조동채이시다. 필자의 9대조모님의 공인 함평이씨의 부친이 되신다. 8대조부님께서는 사의공께서 돌아가신 후 에 태어나셔서 외조부님을 보지 못하셨다. > 2025. 2. 6.
(문신) 유암 한계윤, 정부인 경주최씨 -청주한씨- 한계윤 韓繼胤 1415(태종 15)∼1485(성종 16)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호는 유암(柳岩)이고 본관은 청주이다. 개국공신 상경의 손자이며, 함경도관찰출척사 혜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성달생의 딸이다. 이조판서 계미, 좌찬성 계희, 이조판서 계순의 형이다. 1434(세종 16) 개국원훈의 장손으로 19세 때 음사하여 세조 즉위시 좌익 원종공신에 책록되어 통훈대부 천녕현감을 지냈다. 또 사헌부장령으로 승천되었고, 가선대부 검교참판 겸 경연참찬관을 역임했다. 2025. 2. 5.
(문신) 호조참판 한계선, 정부인 남평문씨 -청주한씨- 본관은 청주 부친은 한혜 이시다.  가선대부 검교호조참판을 지내셨다. 배위는 남평문씨는 나주목사를 지내신 문서의 따님이시다. 2025. 2. 5.
(경주최부자 최동량 초배) 숙인 연일정씨 2024. 11. 18.
(경주최부자 최진립 후배) 정부인 밀양박씨 2024. 11. 18.
(공신,영의정) 신천부원군 태초 강순[장민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신천강씨-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태초(太初). 증조부는 판삼사사(判三司事) 강윤성(康允成)이다. 갑사(甲士)로 벼슬에 나가 무관이 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첨지중추원사로 있다가, 북방 야인을 다스리기 위해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로 박천에 나가 북방의 방어에 전념하게 되었다. 1454년(단종 2) 회령도호부사(會寧都護府使)를 거쳐 판의주목사로 전임되었다가, 1458년(세조 4) 다시 첨지중추원사로 복귀해 이듬해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460년(세조 6) 판길주목사로 부임했다가 새로 설치된 영북진(寧北鎭)의 도호부사로 전임되어 진(鎭)의 성을 쌓는 일에 진력하였다. 그 뒤 신숙주(申叔舟)의 모련위야인정벌(毛憐衛野人征伐)에 종군해 공을 세우고, 자헌대부에 올라 종성절제사가 되었다.이듬해 함길도 도절제.. 2024. 10. 2.
(무신) 부호군 이필한, 정부인 현풍곽씨 -전주이씨- 이필한(李弼漢, 1612년-167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필한(弼漢)이다.  부친은 밀산군 이찬이시다. 2024. 6. 24.
(문신) 허암 정희량 , 숙인 강릉최씨, 숙인 안동김씨 -해주정씨- 1469(예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순부(淳夫), 호는 허암(虛庵). 철원부사 연경(延慶)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92년(성종 23)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나, 성종이 죽자 태학생(太學生)·재지유생(在地儒生)과 더불어 올린 소가 문제되어 해주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1495년(연산군 1)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의 권지부정자에 임용되었다. 이듬해 김전(金詮)·신용개(申用漑)·김일손(金馹孫)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될 정도로 문명이 있었다. 1497년 예문관대교에 보직되어 ① 임금이 마음을 바로잡아 경연(經筵)에 근면할 것, ② 간언을 받아들일 것, ③ 현사(賢邪)를 분별할 것, ④ 대신을 경대(敬待)하며, 환관을 억제할 것, ⑤ 학교를 .. 2024. 4. 29.
(문신) 여우자 정면, 숙부인 능성구씨 -해주정씨, 주부공파- 1614~1687 자는 여강(汝强) 호는 여우자(如愚子) 별좌 도창(道昌)의 아들 생부는 도형(道亨). 1649년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 공조좌랑 예부좌랑을 거쳐 사헌부 장령으로 승진하고, 1680년에 선원보(璿源譜)를 바로잡는데 공로가 커서 보사원종공신록(保社原從功臣錄)에 수록되었다. 1683년(숙종9) 통정대부 우승지로 재직 중 서인당(西人黨)이 노소로 분열하여 논쟁이 격심할 때 송시열 송준길의 논의에 찬동하였다. 얼마 후 경연참찬관에 임명되어 부제학을 겸직하던 중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해주 정씨 가문에 보첩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기록을 모으고 전국각지에 흩어져 사는 종인들에게 통문을 돌려 족보편집에 전력을 기우리다가 별세하여 그 아들인 계주(啓周)가 마침내 1694년 갑술보(甲戌.. 2024. 4. 29.
(도정궁 사손) 수보 이정한, 정부인 파평윤씨, 정부인 청송심씨 -전주이씨, 덕흥대원군 파- 이정한(李挺漢, 1601년 9월 25일 - 1671년 8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다. 덕흥대원군의 4대손이자 선조의 형 하원군의 증손이다.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정한(挺漢), 초명은 대승(大承), 자는 수보(秀甫)이다. 덕흥대원군의 현손이며, 선조의 백형(伯兄)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은 증조이고, 당은군(唐恩君) 이인령(李引齡)은 조부이다. 아버지는 종실 응천도정(凝川都正) 이돈(李潡)이며, 어머니는 감사(監司) 성주인(星州人) 이욱(李稶)의 딸로 성산현부인 이씨(星山縣夫人 李氏)이다. 부인은 승지(承旨) 파평인(坡平人) 윤청(尹暒)의 딸로 증 정부인(貞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와 선교랑(宣敎郞) 청송인(靑松人) 심욱(沈勗)의 딸로.. 2024. 4. 23.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