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묘지기행216

(인평대군 파) 안흥군 효정공 이숙, 군부인 문화류씨 -전주이씨- 안흥군 이숙(安興君 李俶, 아명은 李琡, 1693년 10월 9일 ~ 1768년 4월 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다. 능창대군의 4대손(능창대군의 양자가 인평대군)이고, 남연군의 생가 증조부가 된다. 1731년(영조 7) 홍치중의 상소로 특명을 받아 인평대군가의 봉사손으로 지정되고, 왕족 종실 신분으로 흥록대부(興祿大夫) 작위에 이르렀다. 시호는 효정(孝靖)이다.아버지 의원군이 지방 여행 도중, 자신의 친할머니가 원래 인평대군 가문의 노비임을 고백한 무리들을 속량시키고, 온 가족이 전염병으로 죽은 가족을 도운 뒤 꿈에 인조로부터 귀한 아들을 얻는다는 태몽을 꾸고 그를 낳았다 한다.그는 형 이유일이 사촌형 여성군 이해, 여릉군 이기에 연좌되어 그가 인평대군 가문의 봉사손에 임명, 제사를 받들게 됐다. .. 2025. 3. 3.
(문신, 실학자) 사암 문도공 정약용, 숙부인 풍산홍씨 -나주정(丁)씨- 정약용(1762∼1836). 실학자(實學者). 세례명 요한. 자는 미용(美鏞), 송보(頌輔), 귀농(歸農), 호는 다산(茶山), 삼미(三眉), 여유당(與猶堂), 사암(俟庵)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다산으로 널리 알려졌다. 정재원(丁載遠)의 사남(四男)이며, 이승훈(李承薰)의 처남이다. 양근(楊根)의 마재[馬峴]에서 출생.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학풍을 이어받아 실학(實學)을 집대성하였다. 1789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공서파(攻西派)의 탄핵으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10일만에 풀려 나왔다. 이어서 경기도 암행어사, 동부승지(同副承旨), 병조참의(兵曹參議) 등을 역임하다가 천주교인으로 지목 받아 금정찰방(金井察訪)으로 보외(補外)되기도 하였다. 그 뒤 곡산부사(谷山府使), 병조참지(兵曹.. 2025. 3. 3.
(이계번) 정부인 무송윤씨 https://madangca.tistory.com/795 (문신) 군수공 이계번 -경주이씨- madangca.tistory.com 2025. 3. 3.
(문신) 군수공 이계번 -경주이씨- 2025. 3. 3.
(문신) 사의 이유홍, 숙부인 평양조씨 -함평이씨- 자는 사의 부친은 함춘군 이창운이시며, 모친은 의령남씨 이시다. 중화부사를 지내셨다. 증 죄승지이시다. 배위 평양조씨는 진사 조동채이시다. 필자의 9대조모님의 공인 함평이씨의 부친이 되신다. 8대조부님께서는 사의공께서 돌아가신 후 에 태어나셔서 외조부님을 보지 못하셨다. > 2025. 2. 6.
(문신) 유암 한계윤, 정부인 경주최씨 -청주한씨- 한계윤 韓繼胤 1415(태종 15)∼1485(성종 16)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호는 유암(柳岩)이고 본관은 청주이다. 개국공신 상경의 손자이며, 함경도관찰출척사 혜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성달생의 딸이다. 이조판서 계미, 좌찬성 계희, 이조판서 계순의 형이다. 1434(세종 16) 개국원훈의 장손으로 19세 때 음사하여 세조 즉위시 좌익 원종공신에 책록되어 통훈대부 천녕현감을 지냈다. 또 사헌부장령으로 승천되었고, 가선대부 검교참판 겸 경연참찬관을 역임했다. 2025. 2. 5.
(문신) 호조참판 한계선, 정부인 남평문씨 -청주한씨- 본관은 청주 부친은 한혜 이시다.  가선대부 검교호조참판을 지내셨다. 배위는 남평문씨는 나주목사를 지내신 문서의 따님이시다. 2025. 2. 5.
(경주최부자 최동량 초배) 숙인 연일정씨 2024. 11. 18.
(경주최부자 최진립 후배) 정부인 밀양박씨 2024. 11. 18.
(공신,영의정) 신천부원군 태초 강순[장민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신천강씨-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태초(太初). 증조부는 판삼사사(判三司事) 강윤성(康允成)이다. 갑사(甲士)로 벼슬에 나가 무관이 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첨지중추원사로 있다가, 북방 야인을 다스리기 위해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로 박천에 나가 북방의 방어에 전념하게 되었다. 1454년(단종 2) 회령도호부사(會寧都護府使)를 거쳐 판의주목사로 전임되었다가, 1458년(세조 4) 다시 첨지중추원사로 복귀해 이듬해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460년(세조 6) 판길주목사로 부임했다가 새로 설치된 영북진(寧北鎭)의 도호부사로 전임되어 진(鎭)의 성을 쌓는 일에 진력하였다. 그 뒤 신숙주(申叔舟)의 모련위야인정벌(毛憐衛野人征伐)에 종군해 공을 세우고, 자헌대부에 올라 종성절제사가 되었다.이듬해 함길도 도절제.. 2024. 10. 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