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부원군(관직)묘57

(공신,영의정) 신천부원군 태초 강순[장민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신천강씨-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태초(太初). 증조부는 판삼사사(判三司事) 강윤성(康允成)이다. 갑사(甲士)로 벼슬에 나가 무관이 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첨지중추원사로 있다가, 북방 야인을 다스리기 위해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로 박천에 나가 북방의 방어에 전념하게 되었다. 1454년(단종 2) 회령도호부사(會寧都護府使)를 거쳐 판의주목사로 전임되었다가, 1458년(세조 4) 다시 첨지중추원사로 복귀해 이듬해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460년(세조 6) 판길주목사로 부임했다가 새로 설치된 영북진(寧北鎭)의 도호부사로 전임되어 진(鎭)의 성을 쌓는 일에 진력하였다. 그 뒤 신숙주(申叔舟)의 모련위야인정벌(毛憐衛野人征伐)에 종군해 공을 세우고, 자헌대부에 올라 종성절제사가 되었다.이듬해 함길도 도절제.. 2024. 10. 2.
(관직) 남원부원군 양구주, 정경부인 장씨, 정경부인 안동권씨 -남원양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할아버지는 양우(梁祐), 아버지는 양석륭(梁碩隆)이다. 부인은 전주부윤 권담(權湛)의 딸이고,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가 그의 아들이다. 의정부우찬성 남원부원군에 추증되었다.​일찍이 아버지 양성지는 부모가 살아 계실 때 제대로 봉양하지 못한 것을 한으로 여겼는데, 출세한 뒤에 조정에 청해서 맏아들 양원은 할아버지의 묘소가 있는 양지현(陽智縣)의 현감이 되게 하고, 둘째 아들인 양수(梁琇)는 어머니의 묘소가 있는 횡성현의 현감이 되게 하였다. 1470년(성종 1) 양원은 조정에 양지현이 매우 협소하다고 보고하여 죽주의 고안부곡(高安部曲)[현재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고안리], 대곡부곡(大谷部曲)[현재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 목악부곡(木岳部曲)[현재 용인시.. 2024. 6. 24.
(공신, 용인시 향토유적) 순양부원군 상경 안몽윤, 정경부인 한산이씨 -순흥안씨, 진무공신-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상경(商卿). 아버지는 직장(直長) 세복(世復)이다. 음보로 군직에 나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고, 선조가 8도에 내린 명에 의하여 부적행위(附敵行爲)를 하며 구날(構捏 : 억측으로 일을 꾸밈)을 일삼던 왜역관 김덕회(金德澮)·김응관(金應灌)을 목베어 행재소에 보냈다. 전주 분조(分朝 : 비상 시에 정궁을 떠나 다른 장소에서 국정을 전담하던 임시조정)에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1599년에 부장(部長)으로 창덕궁을 지켰으며 그 뒤 사헌부감찰을 거쳐 남포현감·옥구현감·안동판관 등의 외직을 지내면서 일을 잘 처리하여 함안군수에 승진하고, 1612년(광해군 4)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이듬해에 우림장(羽林將), 1618.. 2023. 10. 23.
(관직) 순창부원군 장의공 김여물, 정경부인 함양박씨 -순천김씨- 본관은 순천. 자는 사수(士秀), 호는 피구자(披구子)·외암(畏菴). 찰방 훈(壎)의 아들이고, 영의정 유(瑬)의 아버지이다. 1577년(선조 10)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했다. 병조낭관을 지내고 충주도사(忠州都事)를 거쳐, 1591년 의주목사로 있을 때 서인 정철(鄭澈)의 당으로 몰려 파직되고 의금부에 투옥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도순변사 신립(申砬)이 그의 무략과 재능을 알고 자기의 종사관으로 임명해줄 것을 왕에게 간청하여, 함께 충주 방어에 나섰다. 신립이 새재(鳥嶺) 방어의 어려움을 들어 충주로 나아가 배수의 진을 치려 하자, 이에 반대하고 새재를 점령하여 지키든지 높은 언덕을 이용하여 역습하자고 주장했으나 채택되지 않았다. 결국 충주의 달천(㺚川)을 등지고 배수진을 쳐 탄금대(彈琴臺.. 2023. 3. 26.
(공신) 길창부원군 소한당 익평공 권람, 영원군부인 고성이씨 -안동권씨, 충북 음성군-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시호는 익평(翼平).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였으며, 한명회와 책을 읽고 글을 지으며 깊은 교우관계를 가졌다. 1450년(문종 즉위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 감찰(監察)을 거쳐 이듬해 교리(校理)로서, 《역대병요(歷代兵要)》를 함께 편찬하던 수양대군(首陽大君;세조)과 가까워졌다. 단종 즉위 후 한명회의 원모(遠謀)의 뜻을 같이 하고 수양대군에게 접근, 그의 참모가 된 뒤, 양정(楊汀)·홍달손(洪達孫) 등 무장(武將)을 포섭했다. 53년 (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으로 우부승지(右副承旨)에 특진, 55년 세조 즉위와 함께 이조참판(吏曹參判)에 발탁되었다. 이어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으로 예문관대제학(.. 2023. 1. 27.
(공신) 길창부원군 문경공 권제, 정경부인 전의이씨 -안동권씨- 본관은 안동. 초명은 도(蹈), 자는 중의(仲義)·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할아버지는 검교정승 희(僖)이고, 아버지는 찬성 근(近)이다.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음보(蔭補)로 경승부주부에 기용되었으나, 감찰로 있을 때 대사헌의 비위에 거슬려 파면되었다.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한 뒤, 세종초에 집현전부제학·대사헌·한성부윤 등을 지냈다. 1435년(세종 17) 이조판서가 되고, 이듬해에는 〈동국연대 東國年代〉를 편찬했다. 그뒤 예조판서·예문관대제학·지중추원사를 거쳐, 1442년 지춘추관사로서 신개(申槩)와 함께 〈고려사〉를 편찬했다. 1445년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저서에 〈지재집〉·〈역대년세가 歷代年世歌〉·〈영가연괴집 永嘉連魁集〉.. 2023. 1. 26.
(공신) 길창부원군 문충공 양촌 권근, 숙경택주 경주이씨 -안동권씨- 고려말 조선초 학자·문신. 양촌(陽村) 권근의 필적.초명은 진(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 시호는 문충(文忠). 1368년 (고려 공민왕 17)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하고 69년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검열(春秋館檢閱)이 되고, 우왕 때 예문관응교(藝文館應敎)·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75년 (우왕 1)에는 정도전(鄭道傳)·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친명정책(親明政策)을 주장하였으며, 공양왕이 즉위하자 창왕의 외조부 이림(李琳) 일파로 몰려 극형을 받게 되었으나 이성계(李成桂)의 도움으로 모면하였다. 90년 (공양왕 2) 윤이·이초(李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는데, 이때 《입학도설(入學圖說)》을.. 2023. 1. 25.
(공신, 충북 음성군) 길청부원군 양촌 문충공 권근, 숙경택주 경주이씨 -안동권씨,좌명공신- 조선전기 중추원사, 정당문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 원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와 화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즉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이듬해 첨서밀직사사(簽書.. 2022. 12. 10.
(관직, 경기 고양시) 풍창부원군 습지 홍난상, 계배 정경부인 능성구씨 -풍산홍씨- 본관은 풍산, 자 중서, 호는 습지 이다. 홍이상의 동생이다. 벼슬은 형조좌랑을 지내시고, 증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영의정 풍창부원군이시다. 2022. 12. 4.
(김만균 초배) 정경부인 여흥민씨 https://madangca.tistory.com/entry/%EA%B4%80%EC%A7%81-%EA%B2%BD%EA%B8%B0-%EA%B3%A0%EC%96%91%EC%8B%9C-%EC%9B%94%EC%84%B1%EB%B6%80%EC%9B%90%EA%B5%B0-%EC%A4%91%EC%9E%84-%EA%B9%80%EB%A7%8C%EA%B7%A0-%EC%A0%95%EA%B2%BD%EB%B6%80%EC%9D%B8-%EC%88%9C%ED%9D%A5%EC%95%88%EC%94%A8-%EA%B2%BD%EC%A3%BC%EA%B9%80%EC%94%A8 (관직, 경기 고양시) 월성부원군 중임 김만균, 정경부인 순흥안씨 -경주김씨- ? ~ 1549 본관 경주. 자 중임(仲任). 직제학(直提學) 천령(千齡)의 아들. 15.. 2022. 11. 14.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