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전주이씨159

(인평대군 파) 안흥군 효정공 이숙, 군부인 문화류씨 -전주이씨- 안흥군 이숙(安興君 李俶, 아명은 李琡, 1693년 10월 9일 ~ 1768년 4월 7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다. 능창대군의 4대손(능창대군의 양자가 인평대군)이고, 남연군의 생가 증조부가 된다. 1731년(영조 7) 홍치중의 상소로 특명을 받아 인평대군가의 봉사손으로 지정되고, 왕족 종실 신분으로 흥록대부(興祿大夫) 작위에 이르렀다. 시호는 효정(孝靖)이다.아버지 의원군이 지방 여행 도중, 자신의 친할머니가 원래 인평대군 가문의 노비임을 고백한 무리들을 속량시키고, 온 가족이 전염병으로 죽은 가족을 도운 뒤 꿈에 인조로부터 귀한 아들을 얻는다는 태몽을 꾸고 그를 낳았다 한다.그는 형 이유일이 사촌형 여성군 이해, 여릉군 이기에 연좌되어 그가 인평대군 가문의 봉사손에 임명, 제사를 받들게 됐다. .. 2025. 3. 3.
(공신,영의정) 신천부원군 태초 강순[장민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신천강씨- 본관은 곡산(谷山). 자는 태초(太初). 증조부는 판삼사사(判三司事) 강윤성(康允成)이다. 갑사(甲士)로 벼슬에 나가 무관이 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첨지중추원사로 있다가, 북방 야인을 다스리기 위해 조전절제사(助戰節制使)로 박천에 나가 북방의 방어에 전념하게 되었다. 1454년(단종 2) 회령도호부사(會寧都護府使)를 거쳐 판의주목사로 전임되었다가, 1458년(세조 4) 다시 첨지중추원사로 복귀해 이듬해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460년(세조 6) 판길주목사로 부임했다가 새로 설치된 영북진(寧北鎭)의 도호부사로 전임되어 진(鎭)의 성을 쌓는 일에 진력하였다. 그 뒤 신숙주(申叔舟)의 모련위야인정벌(毛憐衛野人征伐)에 종군해 공을 세우고, 자헌대부에 올라 종성절제사가 되었다.이듬해 함길도 도절제.. 2024. 10. 2.
(임평대군 파) 창평수 이근, 신부인 경산김씨 -전주이씨 오산군 장자- 본관은 전주 오산군의 장자이시다. 2024. 7. 27.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 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이르렀다. 공은 타고난 성품이 온화하고 글을 널리 배워 경전과 사서를 읽었으며 몸가짐이 단정하고 현명하였다. 또 종친의 분수를 지켜 덕(德)을 감추고 일에 대처함이 현명하여 세조대왕은 때때로 공을 불러 나라 일을 자문하고 술자리도 베풀어 친자식처럼 대하였다. 성종 때에 이르러 문소전 사옹원의 제조가 되었는데, 직무에 임하여 일을 그르친 적이 없었다. 1490년(성종 21)에 54세로 별세하였다. 성종대왕은 매우 슬퍼하며 부의와 조제문을 내려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언덕에 예를 갖추어 장사지.. 2024. 7. 27.
(태종대왕) 경정공주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고려 말기에 이방원(뒤의 태종)과 여흥민씨(뒤의 원경왕후)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태종실록》에 따르면, 1403년(태종 3) 명나라의 통혼(通婚) 요청을 막기 위하여 상중(喪中)인 조대림(趙大臨)과 혼인시켰다고 한다. 조대림은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준(趙浚)의 아들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졌다가 곧 평양군(平壤君)으로 다시 봉해졌다. 조대림과 사이에 1남 4녀를 두었다. 혼인 후 거주하던 남별궁(南別宮)이 있던 곳을 '작은 공주골'이라 하고 이를 한자로 '소공주동(小公主洞)' 또는 '소공주댁(小公主宅)'이라 불렀는데,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小公洞)의 지명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1455년(단종 3) 6월에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 안골마을에.. 2024. 6. 26.
(태종 부마) 평양부원군 강안공 조대림 -평양조씨-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부마인 왕족.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겸지(謙之). 문하시중 조인규(趙仁規)의 4세손으로, 아버지는 영의정부사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준(趙浚)의 아들이며, 태종의 부마이다. 1402년(태종 2) 생원시에 합격, 덕수궁제공(德壽宮提控)에 보임되었다. 1403년 호군이 되어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혼인하여 11월에 평녕군(平寧君)에 봉하여졌다가, 1406년 평양군(平壤君)으로 고쳐 봉해졌다. 1408년 11월 겸좌군도총제(兼左軍都摠制)가 되고, 12월 반란자 목인해(睦仁海)의 꾐에 빠져 도성에서 군사를 일으키다가 순군사(巡君司)에 감금되었으나, 왕의 부마로서 혐의가 없어 석방되었다. 1409년 병서강토총제(兵書講討摠制)가 되었으며, 이듬해 참지의정부사(參知.. 2024. 6. 26.
(무신) 부호군 이필한, 정부인 현풍곽씨 -전주이씨- 이필한(李弼漢, 1612년-167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필한(弼漢)이다.  부친은 밀산군 이찬이시다. 2024. 6. 24.
(도정궁 사손) 수보 이정한, 정부인 파평윤씨, 정부인 청송심씨 -전주이씨, 덕흥대원군 파- 이정한(李挺漢, 1601년 9월 25일 - 1671년 8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다. 덕흥대원군의 4대손이자 선조의 형 하원군의 증손이다.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정한(挺漢), 초명은 대승(大承), 자는 수보(秀甫)이다. 덕흥대원군의 현손이며, 선조의 백형(伯兄)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은 증조이고, 당은군(唐恩君) 이인령(李引齡)은 조부이다. 아버지는 종실 응천도정(凝川都正) 이돈(李潡)이며, 어머니는 감사(監司) 성주인(星州人) 이욱(李稶)의 딸로 성산현부인 이씨(星山縣夫人 李氏)이다. 부인은 승지(承旨) 파평인(坡平人) 윤청(尹暒)의 딸로 증 정부인(貞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와 선교랑(宣敎郞) 청송인(靑松人) 심욱(沈勗)의 딸로.. 2024. 4. 23.
(금원군 파) 자오 이정한, 공인 동래정씨 -전주이씨- 부친은 호안군의 아들이다. 아들 이홍모 비문에 통덕랑이라고기록되어 있있다. 2024. 4. 23.
(인평대군 파) 복창군 이정, 군부인 창원황씨 -전주이씨- 휘는 정(楨), 대군의 2남으로 진하(進賀) 겸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청나라에 파견 되었으나 1680년(숙종 6)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하자 서인이 득세를 하게 되므로 1674년(현종 15)에 예론(禮論)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은 남인들은 숙종으로부터 그다지 신임을 받지 못하고 있던 차 당시의 영의정 허적(許積)의 유악남용사건(油渥濫用事件)으로 왕은 더욱 남인들을 꺼려하게 되었다. 이 때 서인 중 김석주 · 김익훈 등이 허적의 서자인 허견(許堅)이 종실인 복창 · 복선 · 복평군 3형제와 같이 역모(逆謀)한다고 고발하여 옥사(獄事)가 일어났다. 이로 인하여 복창군의 3형제와 허견 · 허적 · 윤휴도 죽음을 당하고 나머지 일파도 옥사(獄死) · 사사(賜死) 파직, 유배되었다. 이로써 남인들은 큰.. 2024. 3. 23.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