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주이씨160 (29) 회인원(懷仁園) - 회은황태손(懷隱皇太孫) 이구(李玖, 1931년 12월 29일 - 2005년 7월 16일)는 대한제국의 황족이자 대한제국 황실 의민황태자의 둘째 아들이며, 대한민국의 건축가, 공학자, 교육자, 사업가이다. 일제 강점기의 이왕가의 이왕세자(李王世子)이기도 했다. 한때 대한민국에 귀국,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건축공학과에 교수로 출강하기도 했다.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일제 강점기의 두 번째 이왕(李王)인 의민태자 이은(李垠)과 비(妃) 의민황태자비 이방자(李方子)의 아들로 도쿄에서 태어났다. 생전에 건축설계사와 대학교수 등으로 활동했고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 종묘제례 봉행위원회 총재로도 활동하였다. 한때 귀국하려 하였으나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먼 일족인 이승만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군사 정권 박정희 때에 일시적으로 귀국하였으나.. 2023. 6. 15. (29) 회인원(懷仁園) - 회은황태손(懷隱皇太孫) 이구(李玖, 1931년 12월 29일 - 2005년 7월 16일)는 대한제국의 황족이자 대한제국 황실 의민황태자의 둘째 아들이며, 대한민국의 건축가, 공학자, 교육자, 사업가이다. 일제 강점기의 이왕가의 이왕세자(李王世子)이기도 했다. 한때 대한민국에 귀국,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의 건축공학과에 교수로 출강하기도 했다. 대한제국의 황족으로 일제 강점기의 두 번째 이왕(李王)인 의민태자 이은(李垠)과 비(妃) 의민황태자비 이방자(李方子)의 아들로 도쿄에서 태어났다. 생전에 건축설계사와 대학교수 등으로 활동했고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총재, 종묘제례 봉행위원회 총재로도 활동하였다. 한때 귀국하려 하였으나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자 먼 일족인 이승만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군사 정권 박정희 때에 일시적으로 귀국하였으나.. 2023. 6. 1. (순조) 명온공주, 동녕위 성희 김현근 -안동김씨, 신안동김씨- 명온공주는 순조(純祖)와 순원왕후(純元王后)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810년(순조 10)∼1832년(순조 32).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에게 하가하였다. 김현근은 진사(進士) 김한순(金漢淳)의 아들이다. 1817년 명온공주(明溫公主)로 봉해졌으며 1823년 김현근과 혼인하였으나 태어날 때부터 몸이 병약해 혼인한지 9년 만에 졸했다.부마(駙馬) 간택을 위하여 1823년(순조 23) 5월 2일에 12세에서 15세의 동자에게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단자(單子)를 들일 것을 순조가 명하면서 시작되었다. 명온공주방가례등록(明溫公主房嘉禮謄錄, 순조 23년 발간)에 의하면, “부마로는 예조의 택일에 따라 5월 22일 初揀擇(8명), 25일 再揀擇(3명), 6월 2일 三揀擇을 하여 進士 김한순(金漢淳)의 아.. 2023. 5. 20. (문신) 묵계 류복립, 후배 정부인 전주이씨 -전주류씨- 본관 전주(全州). 자는 군서(君瑞), 호는 묵계(墨溪)이다. 할아버지는 부제학 유윤덕(柳潤德)이고, 생부는 유성(柳城), 양부는 참봉 유지(柳지)이다. 유복기(柳復起)와 유복립(柳復立) 형제는 외가에 맡겨져 외조부의 손에서 컸으며 외숙인 학봉 김성일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음보로 종부시주부(宗溥寺主簿)가 되었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외숙인 경상도관찰사 김성일(金誠一) 막하에서 6년간 예천 송구전투, 화왕산성전투, 진주성전투 등에 종군했다. 1593년 4월 김성일이 병사하면서 성을 사수하라는 유언을 남기자 창의사 김천일(金千鎰), 복수장(復讐將) 고종후(高從厚), 병마절도사 황진(黃進) 등과 힘을 합쳐 왜적과 싸우다가 성이 함락 당하자 함께 자결하였다. 전부인과 후부인의 함께 삼위합.. 2023. 5. 17. (문신, 해주정씨 대종손) 지락와 정택조, 공인 전주이씨 -해주정씨- 자는 명규(命揆), 호는 지락와(知樂窩)다. 세자익위사위솔을 역임하다. 해주정씨 대종손이시다. 배위 전주이씨는 도정 이홍모의 따님이시며, 호안군의 증손녀되신다. 2023. 5. 6. (문신) 도안 정지녕, 의인 전주이씨 -해주정씨- 부친은 돈곡 정중휘 모친은 동복오씨이시다. 자는 도안 호조좌랑을 지내셨다. 부인 전주이씨는 현감 이두원의 따님이시며, 조부는 부사 이변, 증조부는 참판 이구징이시다. 첫째 아들 운희가 백부이신 정이녕에게 출계하셨다. 2023. 5. 5. (정종대왕) 선성군 양정공 이무생 , 오천군부인 연일정씨, 안강군부인 안강김씨, 평산군부인 평산한씨 -전주이씨- 정종대왕의 4남으로 휘는 무생(茂生)이며 어머니는 충주지씨 고려 찬성사 윤(奫)의 딸이다. 정종대왕이 임금의 자리를 버리고 풍덕(豊德)의 강가로 물러나자 공은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드렸으며 담백하고 조용한 마음을 스스로 지켜 권세와 존귀함을 싫어했다. 당시 왕자들의 집에는 사병을 두어 화의 근원이 되었는데 공만은 깊이 자취를 감추고 향기로운 나무와 꽃잎 속에서 노래와 춤을 즐기니, 세종대왕은 학문을 힘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하여 배천으로 귀양을 보냈다가 얼마 후 그 본의를 살펴 알고 불러와 관직을 되돌려 주었다. 1454년(단종 2) 3월에 중의대부에 오르고 선성군에 봉해졌다. 그 해 5월에 공은 종친, 의빈, 문무백관과 함께 경회루에서 큰 잔치를 열기도 하였으나 그 국가가 다사다난하였기 때문에 공은 스스로.. 2023. 4. 26. (문신, 덕천군 파) 운봉현감 이환, 숙부인 덕수이씨, 숙부인 제주고씨 -전주이씨- 본관은 전주 덕천군 후손이시다. 부친은 부윤 이광영이시며, 모친은 남원양씨이시다. 관직은 양지현감을 지내셨다. 배위 덕수이씨는 이박의 따님이시다. 2023. 4. 16. (문신, 경기 여주시) 숙장 정희문, 의인 진도김씨, 의인 전주이씨 -해주정씨 청도공파- 자는 숙장 부친은 청도군수를 지내신 정흥경이시고, 모친은 진주인 상호군 류식이시다. 관직은 선무랑을 지내셨다. 초배는 진도김씨이신데 후사가 없으시고, 후배 전주이씨는 의성군 이채의 증손녀이시며, 부친은 조천부정이시다. 2023. 4. 7. (문신,경기 여주시) 삼휴자 경섬, 정부인 완산이씨 -청주경씨- 1562(명종 17)∼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퇴부(退夫), 호는 삼휴자(三休子)·석촌(石村)·칠송(七松). 경세청(慶世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혼(慶渾)이고, 아버지는 경시성(慶時成)이며, 어머니는 박난영(朴蘭榮)의 딸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594년 홍문관정자를 제수받았고, 1598년 진주사(陳奏使)의 정사(正使)인 최천건(崔天健)을 따라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사헌부의 지평·장령과 사간원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1601년 남원부사가 되었다. 1607년 홍문관교리로서 통신사 여우길(呂祐吉)과 함께 통신부사가 되어 임진왜란 후 첫번째 사절로 일본에 건너가 국교를 다시 열게 하고 임진왜란 때의 포로.. 2023. 3. 31.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