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덕수이씨14

(문신, 덕천군 파) 운봉현감 이환, 숙부인 덕수이씨, 숙부인 제주고씨 -전주이씨- 본관은 전주 덕천군 후손이시다. 부친은 부윤 이광영이시며, 모친은 남원양씨이시다. 관직은 양지현감을 지내셨다. 배위 덕수이씨는 이박의 따님이시다. 2023. 4. 16.
(문신, 충남 아산시) 이면 -덕수이씨- 충무공이 극진히 사랑하던 셋째아들 이면은 어려서부터 인물(人物)이 출중(出衆)하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란하였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아산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있을 때 왜적(倭敵)들이 마을에 쳐들어와 분탕질을 하자 나아가 왜적(倭敵)을 무찌르고 21세의 약관으로 장렬히 전사(戰死)하였다. 향토방위(鄕土防衛)의 귀감이 되는 이면公의 전사(戰死)에 조정(朝廷)에서는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증직(贈職)하였다. 2022. 11. 25.
(문신, 경기 용인시) 복경 충정공 민승호, 정경부인 광산김씨, 정경부인 연안김씨, 정경부인 덕수이씨 -여흥민씨- 조선후기 호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척신. 조선후기 호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척신.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홍문관교리에 임명되고, 이듬해 응교·전한을 거쳐, 규장각직각이 되었다.1866년 여동생이 왕비로 책봉되자 중용되어 그해 8월 이조참의, 1867년 1월 호조참판에 임명되었다. 1872년 형조판서가 되고, 1873년 병조판서에 올랐다.이무렵 서계(書契) 문제로 일본 메이지정부[明治政府]의 국교요청이 흥선대원군에 의하여 국서수리거부정책으로 나타나자, 이에 반대하여 ‘국서를 거절함으로써 일본의 분노를 사게 된다면 반드시 후환이 있음은 물론이요, 양국이 상호 제휴하여 문명개화할 수도 있을 것’임을 통찰한 나머지 이 뜻을 내주(內奏)하고, 흥선대원.. 2022. 9. 4.
(문신, 서울 관악구) 자미 이거, 숙부인 임피진씨 -덕수이씨- 이거(李琚, ? ~ 1502년 2월)는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으로, 왕세자 시절 연산군의 스승이었으며 춘추관편수관으로 《성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영중추부사 이변(李邊)의 손자이며 임진왜란의 명장 충무공 이순신의 증조부이다. 과거 급제 후 연산군 즉위초 정3품 당하관인 통훈대부와 당상관인 통정대부로 승진했다. 본관은 덕수(德水)이고, 자(字)는 자미(子美)이다. 생원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480년(성종 11년) 식년시 문과에 을과 6등으로 급제하였다. 이후 1482년(성종 13년) 경연청 설경, 1483년(성종 14년) 홍문관 박사, 경연사경, 1484년(성종 15년) 경연검토관, 홍문관수찬을 지냈다. 1484년 암행어사로 나가 경기도를 시찰, 과천현감 최급(崔伋)을 오리(汚吏)로 잡아 봉고파.. 2022. 7. 22.
(문신, 충남 당진시) 중호 이미, 정부인 대구서씨 -덕수이씨- 조선후기 경상도관찰사, 부제학,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중호(仲浩). 한성판윤 이광하(李光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의정 이집(李㙫)이고, 아버지는 이주진(李周鎭)이다. 어머니는 민진원(閔鎭遠)의 딸이며, 부인은 서명빈(徐命彬)의 딸이다. 일찍이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정랑(正郞)으로 재직하던 1757년(영조 3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정언(正言)으로 재직 중 간쟁에 충실하다 한때 영조의 미움을 샀고, 그 뒤 수찬으로 옮겼으나 1759년 일시 파직되기도 했다.이어 경기도암행어사로 파견되었다가 중앙 관직으로 복귀한 1760년을 전후로, 세자시강원의 겸찬독(兼贊讀)을 맡아 세손의 강학(講學)에 심혈을 기울여 영조의 신임을 얻기도 했다. 아울러 홍문관교리로 있으.. 2022. 6. 17.
(문신) 증 좌찬성 김이장, 정경부인 덕수이씨 - 신안동김씨- 증 의정부좌찬성 행 장악원정 김이장 김이장은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이다. 영의정 김창집의 증손이자 충정공 김성행의 아들이다. 음보(蔭補)로 관직에 진출하여 장악원정(掌樂院正)을 지냈다. 2016. 7. 28.
(문신) 용재 이행 [문헌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덕수이씨- 문헌공 용재 이행 1478(성종 9)∼1534(중종 2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택지(擇之), 호는 용재(容齋)·창택어수(滄澤漁水)·청학도인(靑鶴道人). 지돈녕부사 명신(明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온양군사 추(抽)이고, 아버지는 홍주부사 의무(宜茂)이며, 어머니는 창녕 성씨(昌寧成氏)로 교리(敎理) 희(熺)의 딸이다. 1495년(연산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권지승문원부정자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예문관 검열·봉교, 성균관전적을 역임하고,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00년 하성절질정관(賀聖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홍문관수찬를 거쳐 홍문관교리까지 올랐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사간원헌납을 거쳐 홍문관응교로 있으면서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복.. 2016. 6. 5.
(공신) 풍성부원군 이기 [문경공], 정경부인 광산김씨 -덕수이씨- 풍성부원군 문경공 이기 본관 덕수(德水). 자 문중(文仲). 호 경재(敬齋).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1526년(중종 21) 12년 동안의 함경북도병마절도사 근무를 마치고, 이듬해 중추부동지사 때 정조사(正朝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533년 김안로(金安老)의 탄핵으로 강진(康津)에 유배, 1537년 풀려나와 이듬해 예조참판이 되고 1542년 순변사(巡邊使)로서 도원수(都元帥)가 되어 건주위(建州衛)의 야인 침범을 막았다. 1545년(명종 즉위) 우의정에 올라 병조판서를 겸하고, 을사사화 때 소윤(小尹) 윤원형(尹元衡)과 손잡고 대윤(大尹) 윤임(尹任)의 세력을 꺾었다. 보익공신(保翼功臣) l등으로 풍성부원군(豊城府院君)에 봉해지고 좌의정이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2016. 6. 5.
(문신) 연헌 이의무, 정경부인 창녕성씨 -덕수이씨- 연헌 이의무 1449(세종 31)∼1507(중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형지(馨之), 호는 연헌(蓮軒). 공조참의 양(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 명신(明晨)이고, 아버지는 지온양군사 추(抽)이며, 어머니는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윤회(尹淮)의 딸이다. 1467년(세조 13) 사마시를 거쳐 1477년(성종 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박사·장례원사평(掌隷院司評)을 역임하고, 1487년 성균관전적으로『동국여지승람』 편찬에 참여해 사슴가죽이 하사되었다. 이 해 홍문관교리로 밀양에 파견되어 흥학(興學)에 관한 일을 조사, 보고하고, 이듬 해 사헌부지평, 1492년 사헌부장령을 지냈다. 1493년 홍문관응교로서 특명을 받고 형벌을 남용해 사람을 죽인 임.. 2016. 6. 5.
(공신) 덕풍부원군 이순신 [충무공], 정경부인 상주방씨 -덕수이씨- 덕풍부원군 충무공 이순신 조선의 명장.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 병조 참의(兵曹參議) 거의 증손, 정(貞)의 아들. 한양 출신. 1576년(선조 9) 식년무과(式年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함경도의 동구비보 권관(董仇非堡權管)에 보직되고, 이듬해에 발포 수군 만호를 거쳐 1583년 건원보 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 1585년 사복시 주부(司僕寺主簿)·조산보 만호(造山堡萬戶), 1589년 선전관(宣傳官)·정읍 현감(井邑縣監)을 역임하는 등 미관말직(微官末職)만을 지내다가, 1591년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승진, 좌수영(左水營:麗水)에 부임하여 군비 확충에 전력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최초로 옥포(玉浦)에서 적 수군 선견부대 30여척을 .. 2014. 11. 1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