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현당의묘지기행216 (임평대군 파) 창평수 이근, 신부인 경산김씨 -전주이씨 오산군 장자- 본관은 전주 오산군의 장자이시다. 2024. 7. 27. (오산군 이주 배위) 풍기군부인 연안김씨 https://madangca.tistory.com/784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madangca.tistory.com 2024. 7. 27. (오산군 이주 배위) 풍기군부인 창녕성씨 https://madangca.tistory.com/784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madangca.tistory.com 2024. 7. 27.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 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이르렀다. 공은 타고난 성품이 온화하고 글을 널리 배워 경전과 사서를 읽었으며 몸가짐이 단정하고 현명하였다. 또 종친의 분수를 지켜 덕(德)을 감추고 일에 대처함이 현명하여 세조대왕은 때때로 공을 불러 나라 일을 자문하고 술자리도 베풀어 친자식처럼 대하였다. 성종 때에 이르러 문소전 사옹원의 제조가 되었는데, 직무에 임하여 일을 그르친 적이 없었다. 1490년(성종 21)에 54세로 별세하였다. 성종대왕은 매우 슬퍼하며 부의와 조제문을 내려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언덕에 예를 갖추어 장사지.. 2024. 7. 27. (태종 부마) 평양부원군 강안공 조대림 -평양조씨-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부마인 왕족.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겸지(謙之). 문하시중 조인규(趙仁規)의 4세손으로, 아버지는 영의정부사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준(趙浚)의 아들이며, 태종의 부마이다. 1402년(태종 2) 생원시에 합격, 덕수궁제공(德壽宮提控)에 보임되었다. 1403년 호군이 되어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혼인하여 11월에 평녕군(平寧君)에 봉하여졌다가, 1406년 평양군(平壤君)으로 고쳐 봉해졌다. 1408년 11월 겸좌군도총제(兼左軍都摠制)가 되고, 12월 반란자 목인해(睦仁海)의 꾐에 빠져 도성에서 군사를 일으키다가 순군사(巡君司)에 감금되었으나, 왕의 부마로서 혐의가 없어 석방되었다. 1409년 병서강토총제(兵書講討摠制)가 되었으며, 이듬해 참지의정부사(參知.. 2024. 6. 26. (관직) 남원부원군 양구주, 정경부인 장씨, 정경부인 안동권씨 -남원양씨-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할아버지는 양우(梁祐), 아버지는 양석륭(梁碩隆)이다. 부인은 전주부윤 권담(權湛)의 딸이고,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가 그의 아들이다. 의정부우찬성 남원부원군에 추증되었다.일찍이 아버지 양성지는 부모가 살아 계실 때 제대로 봉양하지 못한 것을 한으로 여겼는데, 출세한 뒤에 조정에 청해서 맏아들 양원은 할아버지의 묘소가 있는 양지현(陽智縣)의 현감이 되게 하고, 둘째 아들인 양수(梁琇)는 어머니의 묘소가 있는 횡성현의 현감이 되게 하였다. 1470년(성종 1) 양원은 조정에 양지현이 매우 협소하다고 보고하여 죽주의 고안부곡(高安部曲)[현재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고안리], 대곡부곡(大谷部曲)[현재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박곡리], 목악부곡(木岳部曲)[현재 용인시.. 2024. 6. 24. (무신) 부호군 이필한, 정부인 현풍곽씨 -전주이씨- 이필한(李弼漢, 1612년-1677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필한(弼漢)이다. 부친은 밀산군 이찬이시다. 2024. 6. 24. (한글 5벌식타자기) 김동훈 요셉 -웅천김씨- 한글 5번식타자기 창시자이시다. 2024. 5. 19. (통일부장관, 명지학원 3대이사장) 방목 유상근 대한민국의 정치인 및 관료. 호는 방목(邦牧). 1922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국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이후 공직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충청북도 사무국장과 내무부 통계국장을 거쳐 1975년 국토통일원차관을 맡았으며, 이후 1975년 8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국토통일원장관직을 지냈다.또, 교육사업에 관심이 많아서 1956년 명지학원을 설립하고 명지대학교 초대 총장직을 지내기도 하였다. 명지학원 설립자인 만큼 명지대학교 내에서 유상근 전 총장의 영향력과 상징성은 매우 강한데, 그의 호인 '방목(邦牧)'을 딴 강의나 학교 건물이 많다. (ex. 명지대학교의 교양대학인 방목기초교육대학,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의 중앙도.. 2024. 5. 19. (문신) 허암 정희량 , 숙인 강릉최씨, 숙인 안동김씨 -해주정씨- 1469(예종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순부(淳夫), 호는 허암(虛庵). 철원부사 연경(延慶)의 아들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92년(성종 23)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나, 성종이 죽자 태학생(太學生)·재지유생(在地儒生)과 더불어 올린 소가 문제되어 해주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1495년(연산군 1)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의 권지부정자에 임용되었다. 이듬해 김전(金詮)·신용개(申用漑)·김일손(金馹孫) 등과 함께 사가독서(賜暇讀書)될 정도로 문명이 있었다. 1497년 예문관대교에 보직되어 ① 임금이 마음을 바로잡아 경연(經筵)에 근면할 것, ② 간언을 받아들일 것, ③ 현사(賢邪)를 분별할 것, ④ 대신을 경대(敬待)하며, 환관을 억제할 것, ⑤ 학교를 .. 2024. 4. 29. 이전 1 2 3 4 5 ··· 22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