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묘지기행212

(문신) 백암 김영, 정부인 해주정씨 - 안동김씨- 본관은 안동, 공의 휘는 영(瑛) 자는 대경(大卿), 호는 백암(白巖)이시다. 김방경의 후손이며, 부친은 김종윤이시다. 단종조에 강원도관찰사를 지내셨다. 단종복위 사건때 화를 당하셨다. 배위 정부인 해주정씨는 형조참판 정충경의 따님이시며, 영양위 정종의 누이가 되신다. 2024. 4. 22.
(공신) 남양군 도열공 제옹 홍경주-남양홍씨- 조선전기 판중추부사, 좌찬성,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제옹(濟翁). 홍척(洪陟)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홍정(洪淀)이고,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행영암군수(行靈巖郡守) 홍임(洪任)이며, 어머니는 허손(許蓀)의 딸이다. 중종의 후궁 희빈홍씨(熙嬪洪氏)가 딸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홍문관정자를 거쳐 1504년 지평에 올랐다. 연산군의 폭정에 맞서 1506년(중종 1)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 등이 반정을 도모하자,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으로 신윤무(辛允武)·박영문(朴永文) 등과 함께 군대 동원의 책임을 맡아 거사를 성사시켰다. 그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책록되고, 남양군(南陽君)에 봉해졌으며, 동부승지에 올랐다. 곧 이어.. 2024. 4. 14.
(인평대군 파) 복창군 이정, 군부인 창원황씨 -전주이씨- 휘는 정(楨), 대군의 2남으로 진하(進賀) 겸 사은정사(謝恩正使)로 청나라에 파견 되었으나 1680년(숙종 6)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하자 서인이 득세를 하게 되므로 1674년(현종 15)에 예론(禮論)에서 승리하여 정권을 잡은 남인들은 숙종으로부터 그다지 신임을 받지 못하고 있던 차 당시의 영의정 허적(許積)의 유악남용사건(油渥濫用事件)으로 왕은 더욱 남인들을 꺼려하게 되었다. 이 때 서인 중 김석주 · 김익훈 등이 허적의 서자인 허견(許堅)이 종실인 복창 · 복선 · 복평군 3형제와 같이 역모(逆謀)한다고 고발하여 옥사(獄事)가 일어났다. 이로 인하여 복창군의 3형제와 허견 · 허적 · 윤휴도 죽음을 당하고 나머지 일파도 옥사(獄死) · 사사(賜死) 파직, 유배되었다. 이로써 남인들은 큰.. 2024. 3. 23.
(인평대군 파) 복녕군 효헌공 이욱, 양천군부인 양천허씨 -전주이씨- 휘는 욱(栯), 시호는 효헌(孝獻). 대군의 장남이며 유덕대부(綏德大夫)에 봉해졌다. 배위는 지평 증 참판 양천허씨 열(悅)의 딸이다. 2024. 3. 23.
(일본육군 군속 훈8등) 장해윤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군속으로 통역을 맡아 하북성 태항산 석가정 전투에서 충과의를 다하여 순국하는 공을 세웠다. 애석하게도 그때 나이 30세였다. 육군군속 8등 결과적으로 친일파.... 다른 훈8등을 받은 사람은 노덕술이다. 평가는 각자 몫으로.... ​1941년 12월 12일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제2대 대원들이 중국 하북성(河北省) 호가장(胡家庄)에서 일본군의 습격에 맞서 싸운 전투. 1938년 10월 중국 무한(武漢)에서 중국 관내 지역 최초의 한인 무장 조직으로서 조선의용대가 창설되었다. 김원봉(金元鳳)을 총대장으로 한 조선의용대는 중국군 ‘6개 전구 남북 13개 성 전지’에 배속되어, 대일본군 반전선전, 대중국민 항전 선전, 일본군 포로 심문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국민당 정부 지구에 국한된 선.. 2024. 3. 17.
(순평군 파) 선산부령 이팽동, 온인 남양홍씨, 온인 하동정씨, 온인 여흥민씨 -전주이씨- 휘는 팽동(彭同), 의상령의 차남으로 1505년(연산군 11) 11월에 태어나 연도 미상 9월 19일에 별세했다. 배위는 온인 남양홍씨와 온인 하동정씨 그리고 온인 여흥민씨이며 슬하에 3남을 두었다. 2024. 1. 15.
(문신, 좌의정) 능파 김병필[효정공], 정부인 기계유씨 -신 안동김씨- 김병필(金炳弼) 1839(헌종 5)∼1870(고종 7).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아버지는 문근(汶根)이고, 철종비 철인장황후의 동생이다. 음보로 사용(司勇)에 기용되어 1854년(철종 5) 응제(應製)에서 직부전시(直赴殿試)의 특혜를 받고, 이듬해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규장각대교가 되었다. 그뒤 검열·교리를 거쳐 1859년에는 홍문관부제학·대사성·이조참의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이듬해 호조참판, 1861년 이조참판, 1862년 대사헌을 역임하고, 1863년 다시 홍문관부제학을 거쳐 행호군(行護軍)이 되었으며, 철종이 죽자 존호도감옥책관(尊號都監玉冊官)을 겸하였다. 고종의 즉위로 흥선대원군이 집정하자 관계에서 물러났다가, 평소 대원군과 가깝게 지내던 사촌형 병학(炳學)이 안동김씨의 몰락 이후에.. 2024. 1. 13.
(세종대왕, 밀성군 파) 광성정 이전, 신부인 강릉김씨 -전주이씨- 광성정(匡城正, 1493년∼1545년)은 조선 시대의 왕실 종친으로 세종의 12남인 밀성군의 손자이다. 초수는 부정이었다가 뒤에 정으로 승진했으며, 이름은 이전(李銓)이다. 세종의 손자 운산군의 3남으로 태어났다. 초수는 부정으로 광성부정(匡城副正)이라 했다가 뒤에 정으로 승작하였다. 판관(判官) 김유악(金由岳)의 딸에게 장가들어 2남 1녀를 두었다. 둘째 아들 광원수 이구수의 후손에서 이경여, 이수여 등의 재상이 배출되었다. 2024. 1. 5.
(문신) 백석 정중만, 향주 전주이씨 -해주정씨- 자는 여일(汝一) 호는 백석(白石) 필선 식(植)의 아들 14살에 현종이 인평대군의 딸과 혼인하게 하였고 18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젊어서부터 글씨를 잘 써서 대권안의 여러 편액을 썼다. 1689년 사옹원 직장이 되었다가 익위사 부솔(副率)로 옮겼다. 이듬해 죄없이 철산으로 귀양 갔다가 1694년에 풀려 돌아와 위솔랑(衛率郞) 형조감(刑曹監)으로 승진되고 안음현 현감으로 나가게 되었다. 아껴 쓰고 남는 것으로 제민고(濟民庫)를 처음 만들었다. 황간현감으로 나가 다스리는 일이 가장 뛰어난지라 청도군수로 승진되었다. 이어 함열 양근 진산의 각 군수와 의금부 도사 형조정랑 충훈부도사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 전라도 찰방을 역임하였다. 1728년 한성주부로 원종공신에 참여하여 아버지 필선공을 이조판서로 추증 .. 2023. 11. 29.
(고려 문관) 인헌공 강감찬 -금천강씨, 귀주대첩- 고려 전기에, 서북면행영도통사, 상원수대장군, 문하시중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금주(衿州). 초명은 강은천(姜殷川). 경주에서 금주로 이주해 호족으로 성장한 강여청(姜餘淸)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강궁진(姜弓珍)이다. 983년(성종 3) 과거 갑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예부시랑(禮部侍郞)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聖宗)이 강조(康兆)의 정변을 표면상의 구실로 내세워 서경(西京)을 침공하자 일시 후퇴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현종(顯宗)을 나주(羅州)로 피난시켜 사직을 보호케 하였다. 이듬해 국자좨주(國子祭酒)가 되고, 한림학사(翰林學士) · 승지(承旨) ·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 중추원사(中樞院使) · 이부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냈다. 1018년(현종.. 2023. 11. 2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