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남인5

(문신, 의병장) 추연 우성전, 정부인 양천허씨 -단양우씨- 문강공 추연 우성전 1542(중종 37)∼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경선(景善), 호는 추연(秋淵)·연암(淵庵). 환(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승사랑(承仕郞) 성윤(成允)이고, 아버지는 현령 언겸(彦謙)이며, 대사헌 허엽(許謙)의 사위이다.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61년(명종 16) 진사가 되고, 1564년 성균관 유생들을 이끌고 요승 보우(普雨)의 주살을 청원하기도 하였다. 1568년(선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예문관검열·봉교(奉敎), 수찬(修撰) 등을 거쳐 1576년 수원현감으로 나가서는 명망이 높았다. 한때 파직되었다가 다시 장령(掌令)·사옹원정을 거쳐 1583년에 응교(應敎)가 되고 뒤에 여러번 사인(舍人)을 지냈다. 동서분당.. 2016. 1. 28.
(문신) 성암 김효원[김선생], 정부인 초계정씨 -선산김씨- 성암 김선생 효원 1542(중종 37)∼1590(선조 23).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인백(仁伯), 호는 성암(省菴). 수현(秀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생서직장 덕유(德裕), 아버지는 영유현령(永柔縣令) 홍우(弘遇), 어머니는 윤은좌(尹殷佐)의 딸이다. 조식(曺植)·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64년(명종 19) 진사가 되고, 1565년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해 병조좌랑·정언·지평 등을 역임했다. 1573년(선조 6) 사가독서(賜暇讀書)하고, 1574년 다시 지평을 맡았다. 명종 말 문정왕후(文定王后)가 죽은 뒤 척신계(戚臣系)의 몰락과 더불어 새로이 등용되기 시작한 사림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1572년 오건(吳健)이 이조전랑(吏曹銓郎)에 추천했으나, 사림으로 척신 윤원형(.. 2015. 12. 5.
(문신) 차호 민암, 정경부인 경주김씨, 정경부인 해주정씨 차호 민암 1636(인조 14)~ 1694(숙종 2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 자는 장유(長孺), 호는 차호(叉湖). 아버지는 이조참판 응협(應協)이다. 1668년(현종 9)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지평·승지·함경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1678년(숙종 4) 당시 인조반정에 대한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기 위한 변무부사(辨誣副使)로 복평군연(福平君 연)과 함께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했다. 1680년 대사헌으로 있다가 경신대출척으로 남인들이 대거 실각하자 파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다시 기용되어 대사헌·대제학·병조판서를 역임하면서 김수항(金壽恒)·송시열(宋時烈) 등 서인들의 처형 문제에 강경론을 주장했다. 1691년에는 우의정에 올랐으며,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94년 김춘택(.. 2014. 9. 26.
(문신) 묵재 허적 [숙헌공], 정경부인 광주이씨, 정경부인 여흥민씨 - 탁남 숙헌공 묵재 허적 1610(광해군 2)~ 1680(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남인으로 제1·2차 예송에서 서인과 대결했으며, 제2차 예송에서 승리하여 집권한 뒤 탁남(濁南)의 영수가 되었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여차(汝車), 호는 묵재(默齋)·휴옹(休翁). 아버지는 부사 한(僩)이다. 1633년(인조 11) 사마시를 거쳐 1637년 정시문과에 급제하고 예문관검열·홍문관부수찬을 지냈다. 1641년 의주부윤으로 관향사(管餉使)를 겸했다. 1645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는데, 1647년 일본의 사신 다이라[平成辛]를 위법으로 접대하여 파직되었다. 그뒤 다시 기용되어 1653년(효종 4) 호조참판, 1655년 호조판서를 거쳐 1659년에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해 효종이 죽어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 2014. 9. 26.
(문신) 미수 허목 [문정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 청남 문정공 미수 허목 1595(선조 28)~ 1682(숙종 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남인으로 17세기 후반 2차례의 예송(禮訟)을 이끌었으며 군주권 강화를 통한 정치·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화보(和甫)·문보(文父), 호는 미수(眉叟)·대령노인(臺嶺老人). 아버지는 현감 교(喬)이며, 어머니는 임제(林悌)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정언옹(鄭彦ㅌ)글을 배우고, 1617년 현감으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 거창으로 가서 정구(鄭逑)의 문인이 되었다. 1624년(인조 2) 경기도 광주의 우천(牛川)에 살면서 자봉산(紫峯山)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피난하여, 이후 각지를 전전하다가 1646년 고향인 경기도 연천으로 돌아왔다. 1650년(효종 1) 정.. 2014. 9. 2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