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연안이씨7

(문신, 경기 남양주시) 삼수헌 이하조, 의인 안동김씨 -연안이씨- 1664년(현종 5)∼1700년(숙종 26).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낙보(樂甫), 호는 삼수헌(三秀軒). 아버지는 부제학 단상(端相)이며, 어머니는 우의정 이행원(李行遠)의 딸이다. 1682년(숙종 8)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대과(大科)를 단념하고 경사(經史)를 탐독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 되어서 성리학에 몰두하였다. 그는 삼수헌을 지어놓고 10여년 동안 자연 속에 묻혀 지내다가 음보로 기용되어, 1694년에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가 되었으며, 이어 사복시주부·공조좌랑을 지내고, 1698년에 부평현감으로 나가 치적이 높았으나 37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2022. 12. 12.
(문신,경기 남양주시) 문정공 정관재 이단상 , 정부인 전의이씨 -연안이씨- 1628년(인조 6)∼1669년(현종 10).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유능(幼能), 호는 정관재(靜觀齋)·서호(西湖). 좌의정 이정구(李廷龜)의 손자로, 대제학 이명한(李明漢)의 아들이다. 1648년(인조 26) 진사시에 장원, 다음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설서·대교·봉교·부수찬·교리 등을 역임하면서, 서연(書筵)에 나아갔다. 여러 차례 이조·병조의 정랑을 지내고 의정부사인으로 지제교(知製敎)를 겸하였다. 1655년(효종 6)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뒤 대간에 들어가 구애됨이 없이 정론(正論)을 밝혔으며, 전라도 지방을 두루 살펴 기근이 심한 고을을 구제하게 하였다. 그뒤 효종이 죽고 정국이 변하자 두문불출하고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잠시 청풍부사를 지냈으며, 이어 응교를.. 2022. 12. 12.
(문신, 경기 남양주시) 중집 민광훈, 정경부인 연안이씨 -여흥민씨 1595(선조 28)∼1659(효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중집(仲集). 민사용(閔思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흥고영 민여건(閔汝健)이고, 아버지는 부윤 민기(閔機)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1616년(광해군 8) 진사에 합격하고 인조 초 음보(蔭補)로 별검(別檢)이 되어 출사하였다. 1628년(인조 6) 알성 문과에 장원한 뒤, 정언과 지평 등을 거쳐 1635년 홍문관에 등용되고, 1644년 교리, 이듬해 사간, 1649년(효종 즉위년) 통정(通政)으로 승진하여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안변부사를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652년 승지에 오르고, 이듬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재변을 보고하지 않은 죄로 삭직되었다. 1656년 다시 복직되어 병조와 공조의.. 2022. 6. 23.
(충남 공주시, 공신) 연평부원군 묵재 이귀 신도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 2022. 6. 7.
(충남 공주시, 공신) 연평부원군 묵재 이귀, 정경부인 인동장씨 -연안이씨, 충청남도 기념물 제183호-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옥여(玉汝), 호는 묵재(默齋). 세조조의 문신 이석형(李石亨)의 5대손으로, 대호군 이수장(李壽長)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기(李夔)이고, 아버지는 증 영의정에 추증된 이정화(李廷華)이며, 어머니는 안동 권씨로, 청송부사 권용(權鎔)의 딸이다. 이이(李珥),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해 문명을 떨쳤으며, 1582년(선조 15) 생원이 되었다. 이듬 해 일부 문신들이 이이와 성혼을 공박, 모함해 처지를 위태롭게 만들자 여러 선비들과 함께 논변하는 글을 올려 스승을 구원하였다. 1592년 강릉참봉(康陵參奉)으로 있던 중 왜적의 침입으로 어가(御駕)가 서행(西幸)한다는 소식을 듣고, 제기를 땅에 묻고 능침에 곡읍한 후 물러 나와 의병을 모집해 황정욱(黃廷彧)의 진중.. 2022. 6. 7.
(문신) 중집 민광훈, 정경부인 연안이씨 -여흥민씨- 1595(선조 28)∼1659(효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중집(仲集). 민사용(閔思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흥고영 민여건(閔汝健)이고, 아버지는 부윤 민기(閔機)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1616년(광해군 8) 진사에 합격하고 인조 초 음보(蔭補)로 별검(別檢)이 되어 출사하였다.1628년(인조 6) 알성 문과에 장원한 뒤, 정언과 지평 등을 거쳐 1635년 홍문관에 등용되고, 1644년 교리, 이듬해 사간, 1649년(효종 즉위년) 통정(通政)으로 승진하여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안변부사를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652년 승지에 오르고, 이듬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재변을 보고하지 않은 죄로 삭직되었다.1656년 다시 복직되어 병조와 공조의 참.. 2018. 5. 29.
(문신) 근곡 이관징 [정간공], 정경부인 삭녕최씨 정간공 근곡 이관징 1618(광해군 10)∼1695(숙종 2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국빈(國賓), 호는 근옹(芹翁)·근곡(芹谷). 심(襑)의 아들이다. 1639년(인조 17)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 유생으로서 뛰어난 재질을 보여 천거로 참봉이 되고, 1653년(효종 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한 뒤 사헌부장령이 되었다. 1660년(현종 1) 효종이 죽자, 효종의 계모인 조대비(趙大妃)의 복상문제가 있을 때 당시 기년설(朞年說:만1년)을 주장한 송시열(宋時烈) 등 서인에 대하여 만3년설을 주장하다가 쫓겨난 남인 허목(許穆) 등을 구제하려다가 전라도도사로 좌천되었다. 1664년 다시 장령이 되고, 1672년 승지가 되었다. 1674년 숙종이 즉위.. 2013. 2. 2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