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사대부 묘

(문신, 실학자) 열수 정약용[문도공], 숙부인 풍산홍씨

by 보현당 2013. 11. 24.
반응형

문도공 열수 정약용 [다산]

 

정약용(17621836). 실학자(實學者). 세례명 요한. 자는 미용(美鏞), 송보(頌輔), 귀농(歸農), 호는 다산(茶山), 삼미(三眉), 여유당(與猶堂), 사암(俟庵)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다산으로 널리 알려졌다. 정재원(丁載遠)의 사남(四男)이며, 이승훈(李承薰)의 처남이다. 양근(楊根)의 마재[馬峴]에서 출생.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학풍을 이어받아 실학(實學)을 집대성하였다. 1789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공서파(攻西派)의 탄핵으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10일만에 풀려 나왔다. 이어서 경기도 암행어사, 동부승지(同副承旨), 병조참의(兵曹參議) 등을 역임하다가 천주교인으로 지목 받아 금정찰방(金井察訪)으로 보외(補外)되기도 하였다. 그 뒤 곡산부사(谷山府使), 병조참지(兵曹參知),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지내고 규장각(奎章閣)의 편찬사업에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하여 유배를 당하였고, 유배지에서 학문연구에 전력하여 실학사상을 집대성하게 되었다.

 

그와 천주교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그는 1770년 후반부터 천주교 서적을 읽기 시작하였고, 1783년에는 그의 형 정약전(丁若銓)과 함께 양근에서 서울로 향하는 배 안에서 이벽(李檗)과 천주교에 관해 토론하였다. 1784년에는 수표교에 있던 이벽의 집에서 세례를 받았다. 세례를 받은 직후인 1785년에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이 일어나자 그는 척사(斥邪)의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 곧 다시 교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 결과 1787년에는 이승훈 등과 함께 서학서(西學書)을 읽었다. 이 일이 정미반회사(丁未伴會事)를 통하여 문제시되고 있음을 보면, 그는 이때에도 신앙을 계속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있어서 1791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해이다. 이때 진산사건(珍山事件)이 발생하여 윤지충(尹持忠)과 권상연(權尙然)이 죽음을 당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거세게 일어나자 그는 분명히 배교하는 자세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그 후에도 그의 주변에는 중형(仲兄) 정약종(丁若鍾)을 비롯해서 많은 천주교인이 있었으므로 다른 척사론자와는 달리 교회에 대하여 온건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런데 1797년 그가 다시 서학도(西學徒)를 지목 받자 그는 <자명소>(自明疏)를 올려 이와 같은 비난을 반박하였다. 그리고 1799년에는 척사방략(斥邪方略)을 저술하여 천주교에 대한 배격의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고 한다. 한편 1801년에 이르러 신유박해가 발생하자 그는 체포되어 국문을 당했는데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천주교 신자임을 철저히 부인하고, 자신이 알고 있던 천주교 지도자인 권철신(權哲身), 조동섬(趙東暹), 황사영(黃嗣永) 등을 고발하였고, 천주교신도를 색출하려면, 믿음이 약한 노비(奴婢)나 학동(學童)을 신문하여 정보를 밝히도록 제안해서 이것이 채택되기도 하였다. 그는 1801년 장기로 유배되었다가 황사영 백서(帛書)사건으로 다시 신문을 받았고, 그 후 강진으로 유배되어 1818년까지 그곳에서 지내게 되었다. 1818년 유배지에서 돌아온 이후에도 자신의 배교를 크게 반성하고 자주 대재를 지켰으며 고신극기(古身克己)의 생활을 하면서 외부와의 연락을 묵상과 기도로 살아갔다고 달레(Dallet)한국천주교회사에서는 전하고 있다. 또한 그는 이 시기에 조선복음전래사(朝鮮福音傳來史)를 저술하였고, 이 그른 다블뤼(Daveluy) 신부가 한국천주교회사를 저술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할 때 입수되어 초기 교회사를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 이용된 바 있으나, 그 원본은 1863년 주교댁 화재 때에 소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가 저술했던 조선복음전래사는 달레의 한국천주교회사초기 부분에 상당 분량이 인용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그는 1836년 유방제(劉方濟) 신부에게 종부성사를 받고 선종하였다. 그 자신은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심서(欽欽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를 비롯한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의 저서들은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대부분이 수록되어 있다. 여유당전서에 수록된 여러 기록을 통해서 그와 천주교와의 관계를 확실히 밝히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그이 저서에 나타난 기본사상을 분석하여 천주교신앙과 대비해 보는 방법을 통하여, 그와 천주교 신앙과의 관계가 좀 더 확연히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辛酉邪學罪人家煥等推案 / 달레 原著, 崔奭祐 · 安應烈 譯註, 한국천주교회사 / 崔奭祐, 韓國天主敎會歷史,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