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순국선열및 호국영령묘

(독립운동가, 언론인) 위창 오세창 -민족대표33인, 망우리공원묘지-

by 보현당 2016. 1. 20.
반응형

민족대표 33인 위창 오세창

 

1864(고종 1)∼1953. 서예가·언론인·독립운동가. 본관은 해주(). 자는 중명(), 호는 위창(·). 서울 출생. 조선 말기 중국어 역관이며 서화가·수집가였던 경석()의 장남이다.  20세에 역관이 되었다가, 1886년 박문국 주사로서 ≪한성순보≫ 기자를 겸하였다. 1894년에 군국기무처 총재비서관이 되었고, 이어 농상공부 참서관, 통신원 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897년 일본 문부성의 초청으로 동경외국어학교에서 조선어교사로 1년간 체류하였다. 1902년 개화당사건으로 일본에 망명하던 중에 손병희()의 권유로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1906년 귀국 후 ≪만세보≫·≪대한민보≫ 사장을 역임하였고,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 3년간 옥고를 치렀다. 1918년에 근대적 미술가 단체의 효시인 서화협회가 결성될 때 13인의 발기인으로 참가하였으며, 민족서화계의 정신적 지도자로 활약하였다. 해방 후 서울신문사명예사장·민주의원·대한민국촉성국민회장·전국애국단체총연합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6·25동란 중 피난지 대구에서 죽어 사회장()이 거행되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복장()이 수여되었다. 한편, 일제강점기에는 주로 한묵생활()로 은거하며 오경석과 자신이 수집한 풍부한 문헌과 고서화를 토대로 ≪근역서화징 槿≫을 편술하였다. 이 책은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국서화가에 관한 기록을 총정리한 사전이다. 그 밖에도 조선 초기부터 근대에 걸친 서화가·문인학자들의 날인()된 인장자료를 모아 ≪근역인수 槿≫를 집성하였으며, 수집한 소품 고서화들을 화첩으로 묶은 ≪근역서휘 槿≫·≪근역화휘 槿≫ 등 한국서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글씨는 전서와 예서를 고격(:옛 격식)하게 즐겨 썼다. 특히 전서와 예서를 혼합한 글씨나 와당(), 고전(), 갑골문형태의 구성적인 작품도 시도하여 독특한 경지를 이루었다. 또한 고서화의 감식과 전각()에 있어서도 당대의 일인자였다. 합천 해인사의 <자통홍제존자사명대사비 >의 두전(:빗몸의 머리에 돌려가며 쓴 전자)을 비롯한 기념비 글씨도 전국 곳곳에 많이 남겼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세창 [吳世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