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순국선열및 호국영령묘

(독립운동가) 성재 이시영 -초대 부통령-

by 보현당 2016. 5. 6.
반응형

초대 부통령 성재 이시영

 

1869(고종 6)∼1953. 독립운동가·정치가. 본관은 경주(). 자는 성흡(), 호는 성재()·시림산인(). 서울 출신. 아버지는 이조판서 유승()이며, 어머니는 동래정씨()이다. 첫 부인은 영의정 김홍집()의 딸이며, 둘째부인은 반남박씨이다. 1885년(고종 22) 관직에 나아가 10여 년간 형조좌랑·홍문관교리·승정원부승지·궁내부수석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1895년 관직을 물러난 뒤로는 중형 이회영()·이상설() 등과 근대학문탐구에 몰두하였다. 1905년 외부 교섭국장에 임명되었으나 을사조약의 강제체결을 계기로 사직하였다. 그러나 1906년 재차 평안남도 관찰사에 등용되었고, 근대학교설립 및 애국계몽운동에 종사하였다. 그 뒤 1907년 중추원칙임의관, 1908년 한성재판소장·법부 민사국장·고등법원판사 등을 역임하였다. 한편, 안창호()·전덕기()·이동녕()·이회영 등과 함께 비밀결사 신민회()를 조직하여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였다. 국권피탈 후 신민회의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계획에 의거하여 6형제의 가재()를 재원으로 삼아, 1910년말 서간도(西) 유하현 삼원보 추가가()로 가족을 거느리고 망명하였다.

1911년 4월 유하현 삼원보 대고산()에서 노천군중대회를 개최하여, 교육진흥 및 독립군양성을 표방한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립을 주도하였다. 경학사 초대사장에는 이상룡()이, 신흥강습소 초대교장에는 이동녕이 추대되었다. 1912년 통화현 합니하()에 토지를 매입하여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확대 발전시켰다.

그 뒤 신흥무관학교는 유하현 고산자로 이전하였고, 합니하의 교사는 분교역할을 하는 등 1910년대 서간도지역 독립군양성의 총본산이 되었다. 특히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 폐교 때까지 재만항일독립군의 핵심 간부로 양성된 독립군들은, 청산리대첩의 주역으로 활동하는 등 1920년대 국외독립전쟁의 골간으로 성장하였다.  1913년 9월 북경에서 위안스카이()정부와 한·중연합전선의 결성을 도모하였으나 위안스카이의 사망으로 중단되기도 하였다. 1919년 1월 고종황제의 죽음을 계기로 북경에서 이동녕·조성환()·이광()·이회영 등과 국내 3·1운동에 호응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무렵 상해()로부터 북경에 온 여운형()·현순()과 논의하고, 이회영·이동녕·이광 등과 상해로 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에 참여하여, 임시정부 초대법무총장에 선임되었다. 같은 해 9월 재무총장을 거쳐 1926년 무렵까지 임시정부국무위원으로 재임하였다. 그 뒤 1929년에는 한국독립당() 창당에 참여, 감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31년 4월 윤봉길()의거 때에는 미리 항저우()로 가서 임시정부요인들의 피신처를 마련하였다. 1933년 중엽 자싱()에서 김구()·이동녕·송병조()·차리석()·조완구()·김붕준() 등과 함께 임시정부 활동을 재건하고 국무위원 겸 법무위원이 되었다. 1934년 『감시만어()』를 저술하여 한국사의 주체성과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1935년 10월 김구 등과 함께 임시정부 지원정당이 한국국민당()을 창당하여 감사를 맡았다. 1938년 중일전쟁 발발로 임시정부가 충칭()으로 이동한 이후 임시정부 국무위원·재무부장·의정원의원 등을 역임하며, 광복 직전 임정활동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조국광복과 함께 11월 임시정부 국무위원 자격으로 환국한 이래 1946년 봄 성균관총재와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위원장에 선출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대종교()활동에 진력하여 사교교질()·원로원장·사교()·도형() 등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였다. 또한, 환국 직후부터 신흥무관학교부활위원회를 조직하여, 신흥무관학교의 건학이념 계승과 인재양성에 착수하였다. 그 결과 1947년 2월 재단법인 성재학원()을 설립하고, 이후 신흥전문학관()으로 발전시켜 1·2회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그 뒤 한국전쟁으로 일시 침체국면에 처하기도 하였으나, 현재의 경희대학교로 계승되었다.

한편, 1947년 9월 공직사퇴 성명을 발표하고, 임시정부 국무위원직을 사퇴하였다. 그러나 1948년 7월 20일 제헌국회에서 실시된 정·부통령선거에서 대한민국 초대부통령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대통령 이승만()의 전횡에 반대하여 1951년 5월 9일 국회에 부통령직 사임서를 제출함과 동시에 국정혼란과 사회부패상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는 요지의 대국민성명서를 발표하고 이승만정부를 떠났다. 이어 1952년 8월 5일 시행된 제2대 대통령선거 때에는 야당인 민주국민당()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그 뒤 국민의 정신적 지주역할을 하다가 죽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시영 [李始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