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사대부 묘

(문신) 분사 이성구 [정숙공], 정경부인 파평윤씨, 정경부인 안동권씨 -전주이씨-

by 보현당 2016. 5. 22.
반응형

정숙공 분사 이성구

 

자는 자이(子異), 호는 분사(分沙) 또는 동사(東沙), 시호는 정숙(貞肅). 수광의 장남이다.
1603년(선조 36) 진사에 오르고, 1608년(선조 41)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한원에 들어가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광해군 초기에 전적 감찰에 이어 예조·병조·형조의 좌랑·부교리·헌납·병조정랑·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613년(광해군 5) 헌납으로 있을 때 아버지는 대사헌을, 동생 민구는 홍문관 부제학을 지냄으로써 3부자가 삼사의 언관직에 같이 봉직하여 세인들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지평으로 있을 때 영창대군의 옥사가 일어나자, 시론(時論)에 반대하였으며, 영의정 이항복(李恒福)이 정협(鄭浹)을 천거하여 종성판관으로 삼자 이를 문제삼는 간당(奸黨)들을 저지하다가 파직되었다. 1614년(광해군 6) 이천현감을 거쳐 1616년(광해군 8) 영평판관이 되고, 겸하여 포천을 다스렸다. 이 때 이항복이 북청의 배소에서 죽자 포천의 향민들이 운구해서 장사지내고 서원을 세워 봉사하였다. 그러나 이 일로 무고당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에는 사간으로 기용되어 폐정을 일신시키고, 영의정 리원익의 인정을 받아 강화부윤 · 부승지 · 예조참의를 거쳐 1625년(인조 3) 대사간이 되고, 이듬해 병조참지가 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이조참의로서 왕세자를 전주로 호종하고, 이어 가선대부로 승진되어 이듬해 전라감사에 부임하였다. 그 뒤 대사간 · 좌승지 · 도승지 · 병조참판 · 대사헌 · 형조참판 · 경기감사 등을 지냈으며, 1636년(인조 14) 형조판서 · 이조판서를 거쳐 병조판서와 체찰부사를 겸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인조대왕을 남한산성으로 호종하였다. 이 때 최명길 등의 주화론에 동조하였으며, 1637년(인조 15) 왕세자가 심양에 갈 때에 좌의정이 되어 수행하였다. 이듬해 영돈녕부사가 되고, 1640년(인조 18) 사은사로 청나라에 가서 명나라를 칠 원군을 보낼 수 없다는 것을 전하고 왔다. 1641년(인조 19) 영의정이 되었으나, 이듬해 승지 홍무적의 모함으로 사직하였다가 곧 영중추부사가 되었는데, 다시 선천부사 이계가 청나라에 기밀을 누설한 사건을 논하다가 파직되어 양화강 부근에 만휴암(晩休庵)을 짓고, 향인(鄕人)을 권장하여 <서호향약기(西湖鄕約記)>라는 향약을 정하고 산수를 벗삼아 지냈다. 다시 영중추부사에 서용(敍用)되었으나 나오지 않고 강호에 살다 죽었다. 이 때 인조대왕이 조회를 폐하고 조제(弔祭)하였다. 이시백은 “반정 이후 인조가 발탁한 정승 중에서 공의 인물됨이 첫째였다”라고 하였다. 저서로는 <분사집(分沙集)>이 있다.

<< 초배 정경부인 파평윤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