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소설가5

(소설가) 남촌 정비석[정서죽] 소설가 정비석 1911∼1991. 소설가·친일반민족행위자. 191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했다. 1929년 6월 신의주중학교 재학 중 신의주고등보통학교생도사건으로 검거되어 치안유지법 위반과 불경죄로 징역 10월,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일본 히로시마(廣島)로 건너가 중학교를 졸업한 후 도쿄 니혼대학(日本大學)에 입학, 1932년 중퇴하고 귀국했다. 니혼대학 시절 『프롤레타리아신문』에 단편소설 「조선의 어린이로부터」를 응모하여 당선되었다. 귀국 후 1935년 1월 『매일신보』에 콩트 「여자」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해 7월 『조선문단』에 시 「도회인에게」, 1936년 1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졸곡제」가 가작, 1937년 1월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성황당」이 1등으로.. 2017. 9. 9.
(소설가) 학촌 이범선 -전주이씨- "오발탄" 학촌 이범선 1920∼1981. 소설가. 호는 학촌(鶴村). 평안남도 신안주(新安州) 출신. 1938년 진남포공립상공학교를 졸업하고, 평양에서 은행원으로 근무하다가 일제 말기에 평안북도 풍천(風泉) 탄광에 징용되었다. 광복 후 월남해서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6·25 때는 거제고등학교에서 3년간 교편을 잡았다. 이 때 『현대문학』에 단편 「암표(暗票)」(1955)와 「일요일」(1955)로 김동리(金東里)의 추천을 받고 문단에 등단하였다. 그 뒤 휘문고등학교·숙명여자고등학교·대광고등학교 등에서 교편생활을 하면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68년 한국외국어대학 전임강사로 부임하여, 1977년부터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 동안 한국문인협회 이사, 소설가협회 부대표위원에 선임되었고, 한국문인협회 부.. 2016. 10. 15.
(소설가) 김말봉 소설가 김말봉 김말봉 ( 金末峰, 1901. 4. 3~1961. 2. 9 ) 여류소설가. 본명은 말봉(末鳳)이다. 부산출생.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를 3년 수료한 뒤 서울에 와 정신여학교(貞信女學校)를 졸업하였다. 그뒤 황해도 재령(載寧)의 명신학교(明信學校) 교원으로 근무하다가, 192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다시 고등학교 과정을 거쳐 경도(京都)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1927년 귀국하여 중외일보 기자로 취직, 전상범(全尙範)과 결혼하였다. 이 무렵까지 문학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기자로서 쓴 탐방기나 수필이 주위의 호평을 받자, 1932년 보옥(步玉)이라는 이름으로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망명녀 亡命女〉라는 단편소설로 응모, 당선 됨 으로써 문단에 .. 2012. 11. 3.
(소설가) 김이석 소설가 김이석 김이석 ( 金利錫, 1915. 7.16~1964. 9. 18 ) 소설가. 본관은 연안. 아버지 치화(致和)와 어머니 이득화(李得和)의 4남3녀 중 차남으로 평양에서 출생하였다.1927년 평양 종로보통학교와 1933년 평양 광성고보(光成高普)를 거쳐, 1936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하였으나 1938년 중퇴하였다. 조선곡산주식회사에 다니다가, 평양 명륜여상(明倫女商) 교사로 근무했다. 1946년 1·4후퇴 때 가족을 두고 월남, 대구에서 생활하였다. 이무렵 중부전선에서 종군작가단으로 활동하였다. 1953년 환도 후 《문학예술》 편집위원, 성동고등학교 강사직을 맡았다. 1957년부터 집필에만 전념하는 한편, 1958년 작가인 박순녀(朴順女)와 재혼, 안정된 생활을 하면서 활발한 창작활동을 전.. 2012. 11. 2.
(소설가) 서해 최학송(崔曙海) 소설가 서해 최학송 최서해(崔曙海, 1901년 1월 21일 ~ 1932년 7월 9일)는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이다. 본명은 최학송(崔鶴松)이며, 서해(曙海)는 아호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원적지는 함경북도 성진이며 역시 함경북도 성진에서 소작인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아버지가 간도로 이주하면서 어머니와 살았다. 최서해는 한문 공부와 보통학교 중퇴가 학업의 전부였지만, 《청춘》, 《학지광》 등의 문학잡지를 읽으면서 스스로 문학 공부를 하였다. 1918년부터 1924년까지 간도와 회령군에서의 유랑생활 경험 을 바탕으로 가난과 지주들의 착취 때문에 고통받던 민중들의 삶을 담아내었다. 방인근이 경영하던 조선문단사에 들어가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1924년 《조선문단》에 《고국》을, 이듬해에는 《탈출기》를.. 2012. 10. 2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