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충간공 이헌구
1784년(정조 8)∼1858년(철종 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치서(稚瑞), 호는 국간(菊幹). 좌의정 이건명(李健命)의 현손이며 이장현(李章顯)의 아들이다. 청검(淸儉)하며 근면하기로 이름났다. 1814년(순조 14)에 진사가 되고, 1816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29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으며 그뒤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를 역임하고, 1836년(헌종 2)에 이조참판에 올랐다.이듬해 전라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1841년 한성부판윤‧공조판서‧대사헌을, 이듬해 형조판서‧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한편 그해 평안도관찰사로 파견되어 의주를 비롯한 여러 산성에 군량을 비축하도록 하였고, 별무시(別武試)를 실시하였다. 1844년 사헌부대사헌으로 김유근(金逌根)‧김홍근(金弘根)의 추죄를 주장하다가 덕원부에 유배, 이듬해 석방되어 사은 겸 동지정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47년 형조판서‧대사헌‧한성부판윤을 역임하고, 1849년(철종 즉위) 이조판서, 이듬해 예조판서‧판의금부사에 임명되었고, 1852년 우의정에 올랐다. 그때 나이 69세로 치사(致仕)하기를 연이어 간청하였으나 허락되지 않았으며 바로 좌의정에 제수되었다. 고령에도 불구하고 판중추부사‧광주유수(廣州留守)를 역임하는 등 치정(治政)에 힘썼다. 70세가 되어 국가로부터 궤장(几杖)을 수여
받았으며 기로소에 들어갔다.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2012.06.27>>
반응형
'사대부 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신) 복암 이기양, 정부인 양천허씨 (0) | 2012.07.20 |
---|---|
(무신) 오백 이주국 [무숙공], 정부인 남양홍씨 (0) | 2012.07.18 |
(서학) 강완숙 골룸바 (0) | 2012.07.18 |
(문신) 금석 홍영식 [충민공] (0) | 2012.07.17 |
(문신) 황산 김유근 [문정공], 정경부인 해주오씨, 정경부인 여흥민씨 (0) | 2012.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