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 묘지기행783

(애국지사) 조인원 -한양조씨, 조병옥 부친- 조인원(趙仁元, 1864년 5월 2일 ~ 1931년 7월 25일)은 유관순 일가와 함께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사람이자, 조병옥의 아버지이다. 아명(兒名)은 조택원(趙宅元)이고, 충청도 천안(天安)에서 출생한 그는 1919년 4월 1일 홍일선(洪鎰善)·김교선(金敎善)·한동규(韓東奎)·이백하(李柏夏)·이순구(李旬求)·유관순(柳寬順) 등과, 갈전면(葛田面) 아우내(竝川) 장날을 이용하여 대한 독립 만세 시위 운동을 사전에 계획하였다. 그는 1919년 4월 1일 오후 1시경 아우내 장터로 모여든 3천여 명의 만세 시위 군중 앞에 나아가 태극기와 『대한독립』이라고 쓴 큰 깃발을 세워놓고,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대한 독립 만세를 힘차게 선창함으로써 아우내 장터의 독립 만세 시위를 점화시켰으며, 3천여명의.. 2023. 3. 16.
(익안대군 이방의 배위) 삼한국대부인 정경옹주 철원최씨 https://madangca.tistory.com/686 (태조 고황제) 익안대군 관이 안양공 이방의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다. 조선 태조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방의(芳毅), 자는 관이(太寬), 시호는 안양(安襄)이다. 마한 안양공(馬韓 madangca.tistory.com 부인은 증(贈) 찬성사(贊成事) 최인두(崔仁㺶)의 딸 철원 최씨(鐵原 崔氏)이다. 후에 마한 공정공(馬韓 恭靖公)에 추봉되었다. 2023. 3. 12.
(태조 고황제) 익안대군 관이 안양공 이방의 익안대군(益安大君, 1360년 ~ 1404년 9월 26일)은 고려 말기 사람이자 조선 전기의 왕족이다. 조선 태조의 셋째 아들로 이름은 방의(芳毅), 자는 관이(太寬), 시호는 안양(安襄)이다. 마한 안양공(馬韓安襄公)에 추증(追贈)되었다. 어머니는 신의왕후(神懿王后) 한씨(韓氏)이다. 부인은 증(贈) 찬성사(贊成事) 최인두(崔仁㺶)의 딸 철원 최씨(鐵原 崔氏)이다. 후에 마한 공정공(馬韓 恭靖公)에 추봉되었다. 2023. 3. 12.
(애국지사??) 정춘산 2023. 3. 8.
(애국지사) 류관순 열사 분묘 합장 -이태원 공원묘지 분묘 합장지- 1902년 12월 16일 충청남도 천안 병천면에서 아버지 유중권(柳重權)과 어머니 이소제(李少悌)의 5남매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공주에서 전도하던 감리교 선교사 부인(미국이름 엘리스 샤프)의 권유로 1916년 이화학당 보통과에 입학하였으며, 보통과를 졸업한 1918년 이화학당 고등과에 입학하였다. 1919년3월 10일 모든 학교에 임시휴교령이 내려지자, 유관순은 같은 이화학당을 다니던 사촌 언니 유예도와 함께 고향인 천안으로 내갔다.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가 아우내에서 독립만세 운동을 지휘하였으며, 일본 헌병대는 유관순의 부모를 죽이고 유관순을 체포하여 검사국으로 이송하였다. 유관순은 공주 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이 선고되고, 다시 경성 복심법원에 항소하여 징역 3년형이 언도되었다. 1920년 9월 2.. 2023. 3. 5.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망우리공원묘지- https://madangca.tistory.com/260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madangca.tistory.com https://madangca.tistory.com/682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madangca.tistory.com 2023. 3. 2.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2023. 3. 2.
(문신) 인주 오전, 정경부인 진주류씨 -동복오씨- 자는 경보 호는 인주 본관은 동복 벼슬을 교리에 올랐으며, 좌찬성에 증직되었다. 동암 오단의 아들 오장위가 양자가 되었다. 유고 만취집이 있다. 배위 진주류씨는 진원부원군 류근의 따님이시다. 2023. 2. 25.
(문신, 애국지사) 명암 최익현, 정부인 청주한씨 -경주최씨, 항일운동가- 조선후기 장령, 돈녕부도정, 승정원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항일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 경기도 포천 출신. 최대(崔岱)의 아들이다. 6세 때 입학해 9세 때 김기현(金琦鉉)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다. 14세 때 경기도 양근(楊根) 벽계(蘗溪)에 은퇴한 성리학의 거두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격몽요결(擊蒙要訣)』·『대학장구(大學章句)』·『논어집주(論語集註)』 등을 통해 성리학의 기본을 습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항로의 ‘애군여부 우국여가(愛君如父 憂國如家)’의 정신, 즉 애국과 호국의 정신을 배웠다. 1855년(철종 6) 명경과에 급제해 승문원부정자로 관직생활을 시작했던 이후 순강원수봉관(順康園守奉官)·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신창현감(新昌縣監)·성.. 2023. 2. 24.
(문신, 인평대군 장인) 동암 오단, 정경부인 청송심씨 -동복오씨- 조선시대 빈전도감도청, 전주부윤, 황해도감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여확(汝擴), 호는 동암(東巖)·백암(白巖). 직장 오극권(吳克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직장 오세현(吳世賢)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오백령(吳百齡)이다. 어머니는 제주고씨(濟州高氏)로, 고경룡(高景龍)의 딸이다. 처는 청송군(靑松君) 심액(沈詻)의 딸이다.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3년(인조 1) 음보(蔭補)로 직장이 되었다. 이듬해 알성문과에 병과한 뒤 전적(典籍)이 되고, 형조와 공조의 좌랑이 되고 곧 뒤이어 병조정랑이 되었다. 1625년에 교리(校理)를 거쳐 1627년에 정언이 되었으며, 이듬해 지평(持平)을 역임하였다. 그뒤 1635년과 그 이듬해에 수찬(修撰)·장령(掌令) 등 청환(淸宦)을 역임하였다. .. 2023. 2. 2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