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묘지기행212

(문신, 충북 진천군) 언수 신경희, 정부인 전주이씨 -평산신씨- ?∼1615(광해군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기묘명현 신상(申鏛)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별검(別檢) 신화국(申華國)이고, 아버지는 신급(申礏)이며, 도순변사(都巡邊使) 신립(申砬)의 조카이다. 1588년(선조 21) 음보(蔭補)로 임관되었다. 이듬해정여립(鄭汝立)의 옥사가 일어나자 그 일당인 선홍복(宣弘福)을 붙잡은 공로로 6품직에 발탁되어 1591년 제용감주부(濟用監主簿)가 되었다. 1593년 고산현감으로 도원수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하여 공을 세우고 같은 해 행주산성의 대첩보(大捷報)를 제일 먼저 왕에게 보고하였으며, 면천군수와 중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605년 재령군수로 재직 중 순변사 이일(李鎰)의 종사관(從事官) 윤섬(尹暹)을 사칭하며 도당을 모아 횡행하던 윤세침.. 2022. 11. 30.
(종실, 경기 용인시,덕천군파) 장연령 이은동, 신부인 창녕조씨 -전주이씨- 덕천군의 장남인 신종군의 6남이시다. 장연령공은 영산령 순안령 부평감 자손을 두고 있다. 2022. 11. 27.
(숙종, 충남 예산시) 명빈 밀양박씨 명빈 박씨(榠嬪 朴氏, ? ~ 1703년)는 조선 숙종의 후궁이다. 원래 상궁(尙宮)이었다가 숙종의 승은을 입어 후궁이 되었다. 승은을 입은 지 10여 년이 지난 1698년(숙종 24년)에야 숙원(淑媛)에 책봉되었고, 이듬해인 1699년(숙종 25년)에는 단종의 복위를 기념하여 숙의(淑儀)에 진봉되었다. 이어 귀인에 올랐다가 1702년(숙종 28년) 에 정1품 빈의 자리에 올라 명빈(榠嬪)이 되었다. 2022. 11. 25.
(문신, 충남 아산시) 이면 -덕수이씨- 충무공이 극진히 사랑하던 셋째아들 이면은 어려서부터 인물(人物)이 출중(出衆)하고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란하였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아산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있을 때 왜적(倭敵)들이 마을에 쳐들어와 분탕질을 하자 나아가 왜적(倭敵)을 무찌르고 21세의 약관으로 장렬히 전사(戰死)하였다. 향토방위(鄕土防衛)의 귀감이 되는 이면公의 전사(戰死)에 조정(朝廷)에서는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증직(贈職)하였다. 2022. 11. 25.
(문신, 경기 여주시) 구암 한백겸, 정경부인 능성구씨, 정경부인 함창김씨 -청주한씨- 조선의 학자. 자는 명길(鳴吉), 호는 구암(久庵). 본관은 청주(淸州). 어려서 배움에 힘썼으며, 민순(閔純)에게 《소학》과 《근사록(近思錄)》을 배웠고 계속하여 의리(義理)에 관한 연구에 힘써 육경논맹(六經論孟)과 염락관민(廉洛關閩)에 이르기까지 정통하였다. 1586년(선조 19) 천거에 의하여 중부 참봉(中部參奉)이 되고 곧이어 경기전(慶基殿) 참봉을 역임하였다. 1589년(선조 22) 정여립(鄭汝立) 모반 때 연좌되어 귀양갔다가 임진왜란 때에 석방되어, 적소에서 적군에게 아부하여 난을 선동한 자들을 참살한 공으로 내자직장(內資直長)이 되었다가 여러 내외직을 거친 다음 호조 참의(戶曹參議)가 되었다. 선조가 죽자 대신들은 백겸이 예(禮)에 밝다 하여 빈전(殯殿)의 상례(喪禮)를 맡겼다. [네이버 지.. 2022. 11. 24.
(유시 한흥일 배위) 정경부인 전주이씨 https://madangca.tistory.com/entry/%EB%AC%B8%EC%8B%A0-%EC%9A%B0%EC%9D%98%EC%A0%95-%EC%9C%A0%EC%8B%9C-%EC%A0%95%EC%98%A8%EA%B3%B5-%ED%95%9C%ED%9D%A5%EC%9D%BC-%EC%A0%95%EA%B2%BD%EB%B6%80%EC%9D%B8-%EB%8F%99%EB%B3%B5%EC%98%A4%EC%94%A8-%EC%B2%AD%EC%A3%BC%ED%95%9C%EC%94%A8 (문신, 우의정) 유시 정온공 한흥일, 정경부인 동복오씨 -청주한씨- 조선시대 예조판서, 지춘추관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진보(振甫), 호는 유시(柳市). 한여필(韓汝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효.. 2022. 11. 23.
(문신, 우의정, 경기 광주시) 고불 문정공 맹사성 -신창맹씨, 청백리- 고려·조선의 명상(名相). 시호는 문정(文貞), 자(字)는 자명(自明), 호(號) 고불(古佛)·동포(東浦), 전교 부령(典敎副令) 희도(希道)의 아들. 온양(溫陽) 출신. 권근(權近)의 문인. 1386년(우왕12) 문과(文科)에 급제, 예문춘추관검열(藝文春秋館檢閱)을 거쳐 전의승(典儀丞)·기거사인(起居舍人)·우헌납(右獻納) 등을 역임, 1392년 조선이 개국되자 수원 판관(水原判官)·내사사인(內史舍人)·예조 정랑(禮曹正郞)·시어사(侍御史)·간의(諫議)를 역임, 1400년(정종 2)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가 되었다. 1406년 이조 참의(吏曹●議)·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을 거쳐 이듬해 진전사(進箋使) 시종관(侍從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와 한성 부윤(漢城府尹)이 되고, 1408년 대사헌으로 왕에게 알리지 않.. 2022. 11. 22.
(단종대왕 국구) 여량부원군 정민공 송현수, 여흥부부인 여흥민씨 -여산송씨, 정순왕후 - 조선전기 풍저창부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아버지는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송복원(宋復元)이며, 단종의 장인이다. 1454년(단종 2) 풍저창부사(豊儲倉副使)로 있을 때 딸이 단종의 비로 책봉되자 여량군(礪良君)에 봉해졌고, 곧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제수받았으며 이어 판돈녕부사가 되었다. 이듬해 단종이 상왕으로 물러나고 세조가 즉위한 뒤 윤대(輪對: 관원들이 왕과 대좌하여 응대하기도 하고 또 정사의 잘잘못을 아뢰는 일) 때에 상왕의 보필을 당부받기도 하였다. 1456년(세조 2) 성삼문(成三問)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사건이 일어나자 대간(臺諫)의 처벌요구가 있었지만 세조의 두둔으로 처벌을 면하였다. 이듬해 금성대군(錦城大君) 이유(李瑜)와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이 다시 .. 2022. 11. 22.
(유시 한흥일 배위) 정부인 전주이씨 정부인 전주이씨는 효령대군의 후손이신 이진현의 따남이시다. 부인 전주이씨께서는 병자호란당시 강도함락때 순절하셨다. https://madangca.tistory.com/entry/%EB%AC%B8%EC%8B%A0-%EC%9A%B0%EC%9D%98%EC%A0%95-%EC%9C%A0%EC%8B%9C-%EC%A0%95%EC%98%A8%EA%B3%B5-%ED%95%9C%ED%9D%A5%EC%9D%BC-%EC%A0%95%EA%B2%BD%EB%B6%80%EC%9D%B8-%EB%8F%99%EB%B3%B5%EC%98%A4%EC%94%A8-%EC%B2%AD%EC%A3%BC%ED%95%9C%EC%94%A8 (문신, 우의정) 유시 정온공 한흥일, 정경부인 동복오씨 -청주한씨- 조선시대 예조판서, 지춘추관사, 우의정 등을 역임.. 2022. 11. 21.
(문신, 우의정) 유시 정온공 한흥일, 정경부인 동복오씨 -청주한씨- 조선시대 예조판서, 지춘추관사,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진보(振甫), 호는 유시(柳市). 한여필(韓汝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한효윤(韓孝胤)이고, 아버지는 실학의 선구자 한백겸(韓百謙)이며, 어머니는 교위(校尉) 김정준(金廷俊)의 딸이다. 별좌(別坐)로서 1624년(인조 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고, 1628년에 수찬을 거쳐 1630년 총융사의 종사관이 되었다. 1633년 이조좌랑, 이듬해에 전라도양전사가 되었다. 1636년 사간을 거쳐 동부승지가 되었는데,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신주와 빈궁들을 강화도로 호위하였고, 좌부승지·전부부윤을 역임하였다. 1637년 봉림대군(鳳林大君)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갈 때 배종하였으며, 귀국 후에는 우승지를 거쳐, 1.. 2022. 11. 2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