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묘지기행209

(문신, 경기 양평군) 시가 김이중, 정경부인 평산신씨 -신안동김씨- 자(字)는 시가(時可)이다. 좌찬성(左贊成) 김달행(金達行)과 한산이씨(韓山李氏) 사이에서 1736년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1771년 진사시에 급제하고 1780년 빙고별제(氷庫別提) 1781년 통례원인의(通禮院引儀) 호조좌랑(戶曹佐郞)을 거쳐 1782년 용인현령(龍仁縣令) 1783년 고양군수(高陽郡守) 1785년 평양서윤(平壤庶尹) 1791년 과천현감(果川縣監) 1792년 서흥부사(瑞興府使)를 지냈다. 1800년 이조참판(吏曹叅判)에 추증되고 1802년 이조판서(吏曹判書)로 재추증되었으며 다시 좌찬성(左贊成)으로 추증되었다. 2022. 10. 8.
(사천목씨 시조) 낭장동정공 목효기 목효기 (睦孝基)는 사천 목씨의 시조이다. 고려의 낭장(郎將)과 동정(同正)을 지냈다. 2022. 10. 1.
(운현궁, 경기 남양주시) 흥친왕 우석 이재면[이희], 흥친왕비 풍산홍씨, 홍친왕비 여주이씨 - 전주이씨, 흥선대원왕- 대한제국기 제1대 고종의 형으로 이희공에 봉해진 왕족. 관료·친일반민족행위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경(武卿), 호는 우석(又石)이다. 고종의 형이며, 영선군(永宣君) 이준용(李埈鎔)의 아버지다. 순종의 명으로 이희(李熹)로 개명하였다. 1845년 7월 20일 서울에서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 민씨(驪興閔氏)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63년 사용(司勇)의 직을 맡았다가 186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5월 규장각 대교(待敎)가 되었고, 예문관 검열(檢閱)·승정원 주서(注書) 등을 거쳐 1865년 동부승지·성균관 대사성·이조 참의·홍문관 부제학 등을 지냈다. 1866년 2월 도승지, 1867년 2월 규장각 직제학, 3월 이조 참판이 되었다. 1868년 1월 교정 당상(校正堂上)을 거쳐 187.. 2022. 9. 30.
(무신, 충북 음성군) 성순 어재순 -함종어씨, 신미양요- 조선후기 신미양요 당시의 장수.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순(聖淳). 어용인(魚用仁)의 아들이며, 신미양요 때 진무중군(鎭撫中軍)으로서 순국한 어재연(魚在淵)의 아우이다. 어재순은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홀로 대소가를 지키며 은거하고 있었는데, 때마침 신미양요가 발생, 형 어재연이 진무중군이라는 막중한 중책을 지고 광성보(廣城堡)에 농성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였다. 이에 분연히 궐기, 형을 따라 미군을 격퇴할 결심을 굳히면서 백의종군을 선언하자, 일가친지들은 지금 강화도에는 적선이 바다를 메워 들어갈 수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생사는 하늘에 달려 있으니 적이 두려워서 어찌 나라를 구하는 일을 못하랴.”라고 마지막 한마디를 남기고 광성보로 달려갔다. 어재연 중군이 아우 어재순을 보고 “너는 궁벽한 고.. 2022. 9. 23.
(목릉왕자 흥안군 파) 송계 이영세, 부인 진양정씨 -전주이씨, 흥안군 파- 이영세(李英世, 1617년 - 1668년)는 조선중기의 왕족으로 선조의 손자이며, 선조의 10남 흥안군(興安君)의 아들이다. 생애 조선중기의 왕족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영세(英世), 자는 윤우(閏雨), 호는 송계(松溪)이다. 선조의 손자이며, 광해군의 조카이다. 2022. 9. 15.
(문신, 경기 용인시) 복경 충정공 민승호, 정경부인 광산김씨, 정경부인 연안김씨, 정경부인 덕수이씨 -여흥민씨- 조선후기 호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척신. 조선후기 호조참판, 형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한 척신. 1864년(고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홍문관교리에 임명되고, 이듬해 응교·전한을 거쳐, 규장각직각이 되었다.1866년 여동생이 왕비로 책봉되자 중용되어 그해 8월 이조참의, 1867년 1월 호조참판에 임명되었다. 1872년 형조판서가 되고, 1873년 병조판서에 올랐다.이무렵 서계(書契) 문제로 일본 메이지정부[明治政府]의 국교요청이 흥선대원군에 의하여 국서수리거부정책으로 나타나자, 이에 반대하여 ‘국서를 거절함으로써 일본의 분노를 사게 된다면 반드시 후환이 있음은 물론이요, 양국이 상호 제휴하여 문명개화할 수도 있을 것’임을 통찰한 나머지 이 뜻을 내주(內奏)하고, 흥선대원.. 2022. 9. 4.
(공신, 충남 부여군 ) 풍원부원군 조현명 [충효공], 정경부인 칠원윤씨, 정경부인 안동김씨 -풍양조씨- 조선후기 경상도관찰사,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치회(稚晦), 호는 귀록(歸鹿)·녹옹(鹿翁). 조형(趙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상정(趙相鼎)이고, 아버지는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이다. 어머니는 김만균(金萬均)의 딸이다. 1713년 (숙종 39) 진사가 되고 171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을 거쳐 1721년(경종 1) 연잉군(延礽君: 뒤의 영조)이 왕세제로 책봉되자 겸설서(兼說書)로서 세제보호론을 주창, 소론의 핍박으로 곤경에 처해 있던 왕세제 보호에 힘썼다. 영조 즉위 후 용강현령, 지평·교리를 역임하고 1728년(영조 4)이인좌(李麟佐)의 난이 발생하자 사로도순무사(四路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였다. 난이 진압된 뒤 그 공으로.. 2022. 9. 1.
(문신, 경북 성주군) 감찰공 김우용, 공인 동주이씨, 공인 철원황씨 -의성김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이시다. 2022. 9. 1.
(문신, 경북 성주군) 동강 김우옹[문정공], 정부인 상주김씨 -의성김씨- 조선시대 병조참판, 예조참판,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경상북도 성주(星州) 출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숙부(肅夫), 호는 동강(東岡)·직봉포의(直峰布衣). 아버지는 삼척부사김희삼(金希參)이다.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1558년(명종 13) 진사가 되고, 1567년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나가지 않았다. 1573년(선조 6)홍문관정자가 되고, 이어서 수찬·부수찬을 거쳐 다시 수찬이 되었으나, 이두문(吏讀文)을 가르치는 책임자로서 학생들의 성적이 오르지 못한 데 대한 문책을 받아 전적으로 좌천되었다. 1576년 부교리가 되고, 이어서 이조좌랑·사인 등을 지냈으며, 1579년에는 부응교가 되어 붕당의 폐단을 논하였다. 그 해 사가독서(賜暇讀書: 휴가.. 2022. 8. 26.
(문신, 경남 산청군) 역양 정유명 -초계정씨- 정유명(鄭惟明) 1539년(중종 34)∼1596년(선조 29).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극윤(克允), 호는 역양(嶧陽). 조부는 확계(蠖溪) 정옥견(鄭玉堅)이고, 부친은 진용교위(進勇校尉)‧증좌승지(贈左承旨) 정숙(鄭淑)이다. 갈천(葛川) 임훈(林薰) 문하에 유학하였으며 옥계(玉溪) 노진(盧禛)을 종유(從遊)하였고, 1563년(명종 18) 25세 되던 해 남명(南冥) 선생이 남계로 와서 일두(一蠹) 선생의 사당을 배알하고 문생들의 강론을 들었다. 35세 때인 1573년(선조 6)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3등 15위로 합격하였으나, 홀로 된 모친 진주정씨의 노환 때문에 성균관에 입학하지 않고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으며 그 신도비(神道碑)가 역동(嶧洞: 현재 경남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8.. 2022. 8. 26.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