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묘지기행212

(문신, 경기 남양주시) 덕암산인 오부, 정경부인 경주이씨 -해주오씨- 본관은 해주 호는 덕암산인 인천구사를 역임하시고, 증 정헌대부이조판서 이시다. 배위 경주이씨는 좌의정 이성중의 따님이시다. 2022. 7. 8.
(좌의정, 전북 완주군) 완성부원군 언규 황헌, 정경부인 전의이씨, 정경부인 전주최씨 -우주황씨- 본관은 우주(紆州). 자는 언규(彦規). 황진손(黃振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황인(黃璘)이고, 아버지는 황윤조(黃胤祖)이다. 1521년(중종 16) 별시 문과에 급제, 권신 남곤(南袞)의 추천으로 정자가 되고, 정언·사예·집의·사간·장령을 거쳐, 이조정랑에 등을 역임하였다. 1537년 대사간, 1543년 이조판서, 1548년(명종 3) 우의정에 올라 위사공신(衛社功臣) 3등에 책록되었는데, 이는 명종 즉위년에 상을 당하여 집에 있었으므로 공신에 책록되지 못하였는데 재상에 올라 스스로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였다는 공을 내세워 훈적(勳籍)에 추록된 것이다. 이듬해 좌의정이 되고, 이 해 윤원형(尹元衡)의 심복인 부제학 진복창(陳復昌)에 의하여 공리(功利)를 탐하고 죄인을 함부로 죽였다는 탄핵을 받고 삭.. 2022. 7. 3.
(영의정, 좌의정, 충남 부여군) 풍원부원군 충효공 귀록 조현명, 정경부인 태원윤씨, 정경부인 안동김씨 -풍양조씨- 조선후기 경상도관찰사,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치회(稚晦), 호는 귀록(歸鹿)·녹옹(鹿翁). 조형(趙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상정(趙相鼎)이고, 아버지는 도사(都事) 조인수(趙仁壽)이다. 어머니는 김만균(金萬均)의 딸이다. 1713년 (숙종 39) 진사가 되고 171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검열을 거쳐 1721년(경종 1) 연잉군(延礽君)이 왕세제로 책봉되자 겸설서(兼說書)로서 세제보호론을 주창, 소론의 핍박으로 곤경에 처해 있던 왕세제 보호에 힘썼다. 영조 즉위 후 용강현령, 지평·교리를 역임하고 1728년(영조 4)이인좌(李麟佐)의 난이 발생하자 사로도순무사(四路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의 종사관으로 종군하였다. 난이 진압된 뒤 그 공으로 분무공신(奮.. 2022. 7. 3.
(문신, 경기 여주시) 태첨 민진로, 공인 함평이씨 -여흥민씨- 자는 태첨 통덕랑이시다. 2022. 7. 1.
(성종왕자, 경기 의정부시) 경명군 정민공 이침, 강양군부인 파평윤씨 -전주이씨- 휘는 침(?), 자는 성지(誠之), 시호는 정민(貞敏). 경명군은 성종대왕의 10남으로 어머니는 숙의 남양홍씨로서 중추부동지사 집현전 제학 일동(逸童)의 딸이며, 공은 숙의의 7남 3녀 중 5남이다. 1489년(성종 20) 8월 18일에 탄생하고, 1497년(연산군 3)에 경명군의 봉호를 받았으며, 1506년(중종 1)에 정국원종훈(靖國原從勳)에 책록되고 종친부 · 종부시 · 사옹원의 도제조(都提調)를 맡고 또 문소전도 관장하다가 1526년(중종 21) 5월 25일에 수진방(壽進房)에서 향년 38세로 별세했다. 9월 10일에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 효자봉 서남쪽(옛이름 : 양주 송산 언덕)간좌에 장례하였다. 통정대부 형조참의 김영(金映)이 찬한 묘표(墓表)에는 타고난 기품이 영특 명민하고 관정중후하며, .. 2022. 6. 29.
(문신, 충북 진천군) 송강 문청공 정철, 정경부인 문화류씨 -연일정씨, 충청북도 기념물 제106호- 본관 연일(延日). 자 계함(季涵), 호 송강(松江). 시호 문청(文淸). 기대승(奇大升)·김인후(金麟厚)·양응정(梁應鼎)의 문하생. 어려서 인종(仁宗)의 귀인(貴人)인 맏누이와 계림군(桂林君) 유(瑠)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로 인하여 궁중에 출입하였는데 이 때 어린 경원대군(慶原大君:뒤에 明宗)과 친숙해졌다. 1545년(명종 즉위)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계림군(桂林君)이 관련되자 아버지가 유배당할 때 배소(配所)에 따라다녔다. 1551년 특사되어 온 가족이 고향인 창평(昌平)으로 이주, 김윤제(金允悌)의 문하가 되어 성산(星山) 기슭의 송강(松江)가에서 10년 동안 수학할 때 기대승 등 당대의 석학들에게 배우고 이이(李珥)·성혼(成渾) 등과도 교유하였다. 1561년 진사시에, 다음 해 별시문과에 각각 .. 2022. 6. 26.
(문신, 경기 여주시) 안간공 류혜손, 부인 안동권씨, 부인 광산김씨, 부인 개성왕씨 -진주류씨- 광록대부 문하첨의 판소부사 시호는 안간공이시다. 배위는 찬성사 염의 따님 안동권씨, 밀직사사 김광철의 따님 광산김씨, 수인군 왕상의 따님 개성왕씨 이시다. 묘는 양주 평구 실전인지는 알 수 없다. 추후 수정하도록 하겠다. 2022. 6. 25.
(문신, 경기 여주시) 국당 정태제, 숙부인 금천강씨, 숙부인 초계정씨 -동래정씨- 1612(광해군 4)∼1669(현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동망(東望), 호는 국당(菊堂)·삼당(三堂). 정휴복(鄭休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호(鄭灝)이고, 아버지는 이조좌랑 정양우(鄭良佑)이며, 어머니는 홍백순(洪百順)의 딸이다. 우의정 강석기(姜碩期)의 사위이다. 1635년(인조 13)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1639년 정언·지평·헌납을 거쳐 이듬해 이조좌랑을 지냈다. 1642년 이조정랑이 되고, 이어서 응교·집의, 1644년 사간·동부승지를 역임하고, 이듬해 정조사(正朝使)로 청나라 연경(燕京)에 갔을 때 순치제(順治帝)에게 간청하여 봉림대군(鳳林大君)의 귀환을 허락받았다. 돌아와서 밀양부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공청감사(公淸監司) 임담(林墰).. 2022. 6. 24.
(문신, 경기 남양주시) 중집 민광훈, 정경부인 연안이씨 -여흥민씨 1595(선조 28)∼1659(효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중집(仲集). 민사용(閔思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흥고영 민여건(閔汝健)이고, 아버지는 부윤 민기(閔機)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1616년(광해군 8) 진사에 합격하고 인조 초 음보(蔭補)로 별검(別檢)이 되어 출사하였다. 1628년(인조 6) 알성 문과에 장원한 뒤, 정언과 지평 등을 거쳐 1635년 홍문관에 등용되고, 1644년 교리, 이듬해 사간, 1649년(효종 즉위년) 통정(通政)으로 승진하여 사복시정(司僕寺正)과 안변부사를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652년 승지에 오르고, 이듬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재변을 보고하지 않은 죄로 삭직되었다. 1656년 다시 복직되어 병조와 공조의.. 2022. 6. 23.
(문신, 경기 남양주시) 여원군 입암 민제인, 정경부인 고성이씨 -여흥민씨, 초장지 회덕- 1493(성종 24)∼1549(명종 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희중(希仲), 호는 입암(立巖). 민충원(閔冲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간 민수(閔粹)이고, 아버지는 전적(典籍) 민구손(閔龜孫)이며, 어머니는 김효진(金效震)의 딸이다. 1520년(중종 1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호당(湖堂)에서 독서하다가 이듬해 승정원주서로 탁용되었다. 그러나 이때 「척간유생도기(擲奸儒生到記)」를 가필했다고 해서 탄핵을 받아 잠시 물러났다. 김안로(金安老)가 물러난 1525년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 다시 등용되어 사필(史筆)에 종사하였다. 1528년 사간원정언을 거쳐, 1531년 이조정랑에 올랐다. 이어서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했으며, 이때 문신 제술시(文臣製述試)에서 수석을 차지하.. 2022. 6. 2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