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지돈녕부사, 동지중추부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범숙(範叔). 아버지는 의정부참찬(議政府參贊) 최유경(崔有慶)이고, 어머니는 고려평장사(高麗平章事) 김묘(金昴)의 딸이며, 부인은 밀직부사(密直副使) 박가흥(朴可興)의 딸이다. 고려말에 부음(父蔭)으로 출사하였다. 1393년(태조 2) 형조의랑(刑曹議郞)으로서 실행(失行)한 세자빈 유씨의 죄를 청한 일로 태조의 노여움을 사 파직되었다가 곧 복직하였다. 1426년(세종 8)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임명되고, 다음 해 이조참의를 거쳐 종2품계에 오르면서 삼군부우군동지총제(三軍府右軍同知摠制)에 승직하였다.이어 1441년까지 호조참판(戶曹參判)·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동지총제·중군총제·개성부부유후(開城府副留後)·예조좌참판(左參判)·인수부윤(仁壽府尹)·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형조좌참판·한성부윤(漢城府尹)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중추부사(中樞副使)를 거쳐 정2품계에 오르면서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에 승직하였다.이 중 1443∼1434년과 1439년에는 각각 사은부사(謝恩副使)와 진하사(進賀使)가 되어 명나라를 다녀왔다. 1444년 인수부윤이 되고, 이후 세종 말까지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종1품계에 오르면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에 승직하였다.1450년(문종 즉위) 판돈녕부사로서 궤장(几杖)을 받았고, 곧 치사(致仕)했다가 졸하였다. 사후에 세종조의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청렴결백하고 공평무사한 정사로 상하의 인망이 높았다 한다. 시호는 양도(良度)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최사의(崔士儀))]
'사대부 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신, 경북 안동시) 자형 김영추, 숙부인 해주정씨 -안동김씨- (0) | 2022.12.16 |
---|---|
(영화배우) 최은희 -해주최씨- (2) | 2022.12.14 |
(문신,경기 남양주시) 문정공 정관재 이단상 , 정부인 전의이씨 -연안이씨- (1) | 2022.12.12 |
(문신, 경기 남양주시) 매헌 권우, 정부인 남양홍씨 -안동권씨- (0) | 2022.12.11 |
(문신, 경기 양주시) 수허재 충간공 홍계적, 정부인 성주이씨 -남양홍씨-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