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문신, 경기 남양주시) 매헌 권우, 정부인 남양홍씨 -안동권씨-
조선전기 원주목사, 예문관제학, 세자빈객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원(權遠), 자는 중려(仲慮)·여보(慮甫), 호는 매헌(梅軒). 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 어머니는 한양한씨(漢陽韓氏)로 정승 한종유(韓宗愈)의 딸이다. 어려서는 형인 권근(權近)에게서 학문을 배우다가, 자라서는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377년(우왕 3) 진사가 되고, 1385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문첩녹사(文牒錄事)가 되고, 이어 성균박사·밀직당(密直堂)·장흥고사(長興庫使)·군기주부(軍器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1390년(창왕 2) 액정알자감(掖庭謁者監)을 거쳐 예조좌랑이 되고, 이듬 해 이조좌랑을 거쳐 군자감승(軍資監丞)을 역임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계속 ..
2022. 12. 11.
(문신, 경기 이천시) 이호 송정규, 숙부인 전주이씨, 숙부인 전주이씨 -여산송씨, 청백리-
1656(효종 7)∼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원경(元卿), 호는 우수(迂叟). 참판 송일(宋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도승지 송시길(宋時吉)이고, 아버지는 송증(宋拯)이며, 어머니는 신득홍(申得洪)의 딸이다. 1683년(숙종 9)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1690년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에 올랐다. 당시 폐출된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閔氏) 처우문제에 대한 소를 올렸다. 이어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이 되고 1696년 경성판관으로 그 지역을 잘 다스려 품계가 오르고, 뒤에 승지가 되어 참찬관(參贊官)을 겸임하였다. 1701년에 인현왕후가 죽자 고부사(告訃使)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1708년 강원도관찰사로 있으면서 절수(折受: 국가로부터 자신의 몫으로 땅이..
2022.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