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왕녀(공주)묘14

(효종) 숙정공주, 동평위 죽헌 정재륜 -동래정씨- 숙정공주, 동평위 죽헌 정재륜 - 숙정공주(淑靜公主, 1645년 ~ 1668년 6월 13일(음력 5월 5일))는 조선 시대의 왕족이다.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8~1674)의 5녀이다. 그녀가 태어나던 해 청나라에서 볼모로 있다가 조선으로 귀국한 백부 소현세자가 죽고, 아버지 봉림대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1649년(효종 즉위년) 아버지 효종이 즉위하고, 8살이 되던 1652년(효종 3년) 숙정공주(淑靜公主)에 봉해졌다. 이후 12살 때인 1656년(효종 7년) 영의정을 지낸 동래 정씨 정태화의 아들 정재륜(鄭載崙)과 혼인하였다. 이때 정재륜은 동평위(東平尉)에 책봉되었다. 숙정공주는 1668년(현종 9년) 음력 5월 5일 24.. 2016. 7. 3.
(덕종) 당양군 홍상 [소이공] 당양군 소이공 홍상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자강(子剛)이며, 좌의정 홍응의 아들이다. 1466년(세조 12)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결혼하여 당양위(唐陽尉)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도총관이 되었다. 연산군 초에 수록대부(綏祿大夫)의 위계를 받았으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함평으로 유배되었다. 그러다가 안성으로 양이(量移)되었고, 다시 거제로 유배되었다가 제주로 이배되었다. 1506년(중종1)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와 조정에 돌아온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다. 도량이 넓고 성품이 온화했으며 부귀로 사람을 억압하지 않아 백성들이 왕실의 사위인 줄 알지 못하였다 한다. 신도비는 1514년에 건립되었는데, 성균관사성 이행이 짓고 사헌부장령 김희수가 썼다. 시호는 소이(昭夷)이다. 2014. 9. 21.
(효종) 의순공주 "금림군 이개윤의 딸을 의순공주로 삼고" 나라를 구한 비운의 공주 의순공주 - 의순 공주(義順公主) : 효종 원년 3월에 청나라 사신 파흘내(巴訖乃) 등이 가지고 온 칙서 가운데에 “귀국과 혼인하여 우의를 공고히 하고자 하니 왕의 누이나 딸 혹은 왕족이나 대신의 딸 중 재색을 겸비한 자를 뽑아 보내라.”고 하였으므로 생부 금림군(錦林君) 이개윤(李愷胤)의 딸을 의순 공주로 가칭하여 섭정왕에게 보냈었다. - 효종 3권, 1년(1650 경인 / 청 순치(順治) 7년) 3월 25일(무인) 2번째기사 혼인할 여자인 금림군 이개윤의 딸을 의순 공주로 삼고 상을 내리다 금림군 이개윤의 딸을 의순 공주(義順公主)로 삼았다. 개윤에게 가덕(嘉德)의 품계를 더하고, 비단과 미두(米豆)를 후하게 내렸다. - 효종 3권, .. 2012. 8. 11.
(문종) 경혜공주, 영양위 정종[헌민공] 경혜공주, 영양위 헌민공 정종 공주는 문종대왕의 따님으로 어머님 권씨(權氏)는 문종이 즉위하신 뒤 현덕왕후(顯德王后)로 추책(追冊)되었다. 안동의 대성(大姓)인 고려의 태사(太師) 행(幸)의 후손인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권전(權專)이 태부(太傅) 문헌공(文憲公) 최충(崔冲)의 12대손인 부정(副正) 최용(崔鄘)의 따님에게 장가들어 태종 18년(1418)에 왕후를 낳으니 세종 13년(1431)에 세자빈으로 뽑히어 동궁(東宮)으로 들어와 문종을 모시었다. 세종 17년(1435)에 공주를 낳아 세종 32년(1450)에 정종(鄭悰)에게 시집갔다. 종(悰)은 영의정에 추증된 정도공(貞度公) 역(易)의 손자요, 형조참판 충경(忠敬)의 아들이다. 단종 3년(1455)에 종(悰)이 광주로 귀양가자 공주도 함께 따라가.. 2012. 7. 14.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