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고려시대묘6

(고려무신) 철원부원군 무민공 최영, 삼한국대부인 문화류씨 -동주최씨- 최영(崔瑩, 1316년 ~ 1388년)은 고려 말기의 장군 겸 정치가이다. 본관은 동주(東州)이다.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고, 어머니는 봉산 지씨(鳳山智氏)이다. 시호는 무민(武愍)이다. 우왕의 왕비인 영비 최씨는 그의 서녀였다. 군관으로 출사하여 우달치에 임명된 뒤 관직은 육도 도순찰사, 양광, 전라도 왜적 체복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다. 1374년에는 제주도에서 일어난 목호(牧胡)의 난을 진압했고, 1376년(우왕 2)에는 왜구의 침략 때, 육군을 이끌고 논산군 연산의 개태사(開泰寺)로 올라오는 왜구를 홍산(鴻山)에서 크게 무찔러 철원 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작되었으며, 여러 번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에 책록되었다. 이인임 등을 멀리하였고 1388년 이인임, 염흥방을 .. 2023. 2. 12.
(고려문신) 백운거사 문순공 이규보 -여주이씨- 백운거사 문순공 이규보 본관은 황려(黃驪). 자는 춘경(春卿), 초명은 인저(仁低),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9세 때 이미 신동으로 알려졌으며 14세 때 성명재(誠明齋)의 하과(夏課)에서 시를 지어 기재(奇才)라 불렸다. 소년시절 술을 좋아하며 자유분방하게 지냈는데, 과거지문(科擧之文)을 하찮게 여기고 강좌칠현(姜左七賢)의 시회에 드나들었다. 이로 인해 16, 18, 20세 3번에 걸쳐 사마시(司馬試)에서 낙방했다. 23세 때 진사에 급제했으나 이런 생활을 계속함으로써 출세의 기회를 얻지 못했다. 개성 천마산에 들어가 백운거사를 자처하고 시를 지으며 장자(莊子)사상에 심취했다. 26세 때 개성에 돌아와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 당시 문란한 정치와 혼란한 사회를 보고 크.. 2016. 7. 10.
(고려무신) 위열공 김취려 -언양김씨- 위열공 김취려 김취려(金就礪) ?~1234(고종21) 고려의 장군(將軍), 예부 시랑(禮部侍郞) 부(富)의 아들. 음관(蔭官)으로서 정위(正尉)에 임명된 뒤 동궁위(東宮衛)를 거쳐 장군(將軍)으로 동북계(東北界)를 진압한 후 대장군(大將軍)이 되었다. 1216년(고종 3) 거란병(契丹兵)이 가족들을 이끌고 의주(義州)·영주(寧州)·삭주(朔州) 등지에 쳐들어와 식량을 약탈하고 그곳을 생활 근거지로 삼으려 하자 후군 병마사(後軍兵馬使)로 그들을 크게 물리쳐 금오위 상장군(金吾衛上將軍)이 되고, 이듬해 다시 전군 병마사(前軍兵馬使)가 되어 충청도 제천(堤川)에까지 침입한 거란병을 크게 무찔러 격퇴했다. 1218년(고종 5) 그들이 다시 침입하자 병마사(兵馬使)가 되고 원수 조충(趙퀖)과 함께 이를 격퇴, 이듬.. 2016. 7. 10.
(구안동김씨 중시조) 상락군 본연 김방경 [충렬공] -구안동김씨- 상락군 충렬공 김방경 김방경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서 대몽항쟁의 주력인 삼별초(三別抄)를 진압했고, 원의 일본 정벌 때 고려군을 이끌고 출정했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본연(本然).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병부상서·한림학사를 지낸 김효인(金孝印)이다. 김방경은 첫 부인으로 박익정(朴益旌)의 딸을 맞이하였다. 기거랑지제고중서사인을 지낸 박익정은 무인 집권기에 고급 관인을 배출하여 세족으로 성장한 죽산박씨(竹山朴氏)의 후예였고, 인천이씨 이장용(李藏用)과는 사돈관계였다. 박씨는 3남 3녀를 두고 김방경에 앞서 사망하였다. 박익정의 장남 박휘(朴暉)가 이장용의 딸과 혼인하였기 때문에 김방경의 처남(박휘)의 장인이 이장용이었다. 김방경은 재취로 손씨를 맞아 1녀를 두었으나 손씨에 관한 자료는 발.. 2015. 3. 7.
(문신) 정민공 서필 정민공 서필 서필은 이천(利川)사람이니 성품이 통민(通敏)하여 처음 도필(刀筆)로 나아가 여러 벼슬을 거쳐 대광(大匡) 내의령(內議令)에 이르렀다. 광종이 재상 왕함민, 황보광겸 및 서필에게 금주기(金酒器)를 하사하니 서필이 홀로 받지 않고 말하기를 “신이 잘못 재상에 있어 이미 총애를 입게 되었는데 다시 금기(金器)를 하사하니 더욱 황송하고 분에 넘치는 일입니다. 또한 의복과 용기(用器)는 등쇠(等衰)를 밝혀야 하고 사치와 검약은 이란(理亂)에 관한 일이니 신이 금기(金器)를 쓰면 임금은 장차 무엇을 쓰시나이까.”라고 하니 광종이 이르기를, “경이 능히 보물로써 보물을 삼지 않으니 나는 마땅히 경의 말로써 보물을 삼을 것이라.”고 하였다. 일찍이 나아가 알현하여 말하기를, “바라건대 주상이 공 없는 사.. 2012. 7. 8.
(문신) 복천 서희 [장위공] 장위공 서희 서희(942~998)는 고려 성종대의 문신으로 본관은 이천, 자는 광윤(光允), 호는 복천(福川)이다. 조부(祖父)인 서신일 때까지 이천지방에 토착하던 호족이었으나, 아버지 서필에 이어서 그도 재상의 지위에 오름으로써 중앙에 정치적 터전을 마련했다. 아들인 서눌이 문하시중이 되고 손녀가 현종(顯宗)의 비(妃)가 되자 유력한 외척가문의 하나로 성장했다. 960년(광종 11) 과거급제 후 벼슬에 나가 광평원외랑을 지내고 983년(성종 2)에 군정의 책임을 맡은 병부어사가 됐다. 이후, 내사시랑평장사를 거쳐 태보·내사령의 최고직에 이르렀다. 993년(성종 12) 대군을 이끌고 침입한 거란의 장수 소손녕과 외교로 담판하여 이를 물리친 후, 994년부터 3년간 거란이 양해한 대로 압록강 동쪽의 여진족.. 2012. 7. 7.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