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안동권씨48

(공신, 충북 음성군) 길청부원군 양촌 문충공 권근, 숙경택주 경주이씨 -안동권씨,좌명공신- 조선전기 중추원사, 정당문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 원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와 화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즉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이듬해 첨서밀직사사(簽書.. 2022. 12. 10.
(문신) 부사공 권인, 숙부인 영산신씨 -안동권씨- 본관은 안동 인동부사를 역임하셨다. 배 숙부인 영산신씨는 신우겸의 따님이시다. 일본의 순교자 빈센트권 또는 빈센트카운의 부친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빈센트 권은 1626년 일본에서 십자가에 묶인 채 화형을 당해 순교했다고 한다.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끌려갔으며, 한국인으로 처음 세례를 받은 이승훈보다 앞서 1592년 세레를 받았다고 한다. 2022. 8. 11.
(문신, 경기 남양주시) 충숙공 율정 권절, 정부인 파평윤씨 -안동권씨, 생육신 권절(權節, 1422년 ~ 1494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다.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자는 단조(端操), 호는 율정(栗亭)이며,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1447년 세종 29년 문과 시험에 급제하여 집현전 교리에 이르렀으나 수양대군의 단종 폐위음모에 불참하였고, 단종이 폐위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 세조는 여러 벼슬을 내렸으나 거짓으로 미친 사람 행세를 하며 일생을 보냈다. 사후 조선 숙종 때 그의 무덤 앞에 정문이 세워졌으며 이조판서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어릴 적부터 힘이 세고 재주가 남달리 뛰어나 남이 장군과 더불어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한다. 1447년 세종 29년 친시문과 시험에 정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집현전에 들어갔고, 세종대왕의 눈에 들어 세종대왕은 그의 글과 무예.. 2022. 7. 14.
(문신, 경기 여주시) 안간공 류혜손, 부인 안동권씨, 부인 광산김씨, 부인 개성왕씨 -진주류씨- 광록대부 문하첨의 판소부사 시호는 안간공이시다. 배위는 찬성사 염의 따님 안동권씨, 밀직사사 김광철의 따님 광산김씨, 수인군 왕상의 따님 개성왕씨 이시다. 묘는 양주 평구 실전인지는 알 수 없다. 추후 수정하도록 하겠다. 2022. 6. 25.
(문신) 종정공 권사종, 국대부인 벽진이씨 -안동권씨- 판종정시사 권사종 정3품 정순대부(正順大夫) 판종정시사(判宗正寺事)에 이르렀고 네 아들을 두었는데 장자는 공조전서를 지낸 판사공(判事公) 집중(執中)이고 차자는 우왕 6년 병과 급제하여 상주목사를 지낸 집경(執經), 삼자는 판예빈시사(判禮賓寺事)를 지낸 예빈공(禮賓公) 집지(執智), 4자는 영남 서부일대에 세거하는 계파조 군기감정(軍器監正)을 지낸 감정공(監正公) 집덕(執德)과 2녀가 있다. 장녀는 해평인 판밀직사사 윤가관이며, 차녀는 해주인 판예의사사 정윤규의 아들인 좌찬성 대제학 정도공 정역이시다. 2020. 12. 26.
(문신) 사복시소윤 조청로, 숙인 안동권씨 -평양조씨- 평천군(平川君) 석산(石山)의 세 아드님 가운데 장남(長男)으로 소윤공파조(少尹公派祖)이다. 조선왕조 때 중훈대부 사복시 소윤(中訓大夫 司僕寺 少尹)의 관직을 내렸으나 할아버지이신 송산공(松山公)의 유훈(遺訓)에 따라 받지 않았다. 公은 단종(端宗)의 이모부로 조선왕조 5대 문종왕비(文宗王妃)인 현덕왕후의 여동생인 안동권씨 전(專)의 따님을 아내로 맞이하여 왕실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특히 세조 때인 1456년 7월 12일에 益寧君의 사위이며 장자인 영서(榮緖)와 함께 육신(六臣)과 더불어 상왕 단종(端宗)의 복위(復位)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장문(杖問)을 받고 같은 날에 죽임을 당하였다. 公의 충절심에 대한 추모행사는 끊어지지 않아 1456년 동학사(東鶴寺:충남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소재) 동편 삼은각(.. 2018. 5. 29.
(문신) 경중 권극례, 정부인 대구서씨 -안동권씨- 경중 권극례 1531 ~ 1590 본관 안동. 자 경중(敬仲). 종묘서(宗廟署) 영(令) 덕유(德裕)의 아들. 예조판서 극지(克智)의 형. 1558년(명종 1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승문원(承文院)과 예문관의 벼슬을 거쳐 성균관 전적(典籍)을 지냈으며, 사간원의 정언(正言)으로 옮겨 당시의 권신들을 탄핵하여, 직언으로 이름을 떨쳤다. 1566년 병조좌랑이 되고 이어 사헌부 지평과 사간원 헌납을 역임하였으며, 성균관 사성(司成)에 올라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70년(선조 3) 부수찬이 되고 이어 원주 ·길주목사, 의주부윤(義州府尹) ·충청도관찰사 등 외관직으로 돌다가 판결사(判決事) ·우부승지를 지내고 1581년 호조참판이 되어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83년 함경도관.. 2016. 9. 24.
(문신) 제중 권극관, 숙부인 함안윤씨 -안동권씨- 제중 권극관 권극관(權克寬)[1546~1613]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제중(制仲). 증조할아버지는 공조 참의를 지낸 권령(權齡), 할아버지는 상주 목사를 지내고 이조 참판에 추증된 권박(權博)이다. 아버지는 종묘서 영을 지냈고 좌참찬에 추증된 권덕유(權德裕)이다. 어머니는 창녕 조씨로 우찬성 창녕군(昌寧君) 조계상(曺繼商)[1466~1543]의 딸이다. 형은 이조판서를 지낸 권극례(權克禮), 예조판서를 지낸 권극지(權克智)이다. 부인은 함안 윤씨(咸安尹氏)로 경양군(景陽君) 윤수환(尹壽環)의 외손녀이자 윤천석(尹天錫)의 딸이다. 딸은 윤숭(尹嵩)에게 시집갔으나 일찍 죽어 후손을 남기지 못하였다. 아들 권창국(權昌國)도 일찍 죽어 권극례의 셋째 아들 좌랑 권득기(權得己)를 후사로 삼았다. 천성이 쾌.. 2016. 9. 24.
(문신) 완릉군 영보 이현록, 정부인 안동권씨 -전주이씨-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영보(永甫). 우의정 후원(厚源)의 현손이며, 주(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산휘(山輝)이고, 아버지는 완흥군(完興君)섭(涉)이며, 어머니는 파평윤씨(坡平尹氏)로 군자감정 협(悏)의 딸이다. 음서로 헌릉참봉(獻陵參奉)에 기용되어 장원서봉사(掌苑署奉事)·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금구현령·전주부판관 등을 거친 뒤 1722년(경종 2)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조좌랑에 올랐다. 그러나 그 해에 신임사화로 노론이 추방되자 소론의 음모를 규탄하다가 순흥부에 유배되었고, 1724년에 영조가 즉위하면서 노론이 다시 집권하자 풀려나왔다. 그 뒤 병조좌랑·병조정랑·이조좌랑·부교리·교리·부응교·응교·지제교·검상·사인·사간·집의 겸 시강원문학·필선 등을 역임하였다.『숙종실록』편찬시에는 의리를 .. 2016. 9. 4.
(문신) 해림군 계지 정승휴, 정경부인 안동권씨 -해주정씨- 증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행 충훈부도사 해림군 계지 정승휴 1488년(성종 19)∼1534년(중종 29).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계지(繼之). 조부는 영양위(寧陽尉) 정종(鄭悰)이고, 부친은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정미수(鄭眉壽)이다.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를 역임하고, 사후에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에 추증되고 해림군(海林君)에 봉해졌다. 큰딸은 종실인 금원군(錦原君) 이영(李岺)에게 출가하였다. 묘는 남양주(南楊州) 진건면(眞乾面) 사능리 사릉 경내에 있다. 부인 안동권씨는 충민공 권건의 따님이시다. 성종대왕 11남 전성군 이변과는 동서지간이시다. 부친 정미수가 돌아가시자 그 뒤를 이어 한결같이 정순왕후를 모셨다. 정순왕후께서 돌아가시자 3년.. 2016. 7. 17.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