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안동권씨47

(태종 부마) 길창군 제간공 평윤 권규 -안동권씨, 경안공주- 권규(權跬, 1393년 ~ 1421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태종의 사위이다. 권근의 아들이며 권람의 삼촌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시호는 제간(齊簡)이다. 11세(1403)에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딸 경안공주와 혼인하여 길천군(吉川君)에 봉해졌다. 1416년 다시 길창군(吉昌君)으로 봉해졌다. 1421년, 29세의 나이에 병으로 요절했다. 권규는 온후한 성품에 효심이 깊고 검소하였는데 그가 죽었을 때 집이 가난하여 장례에 필요한 물품을 관가에서 준비하였다. 2023. 2. 3.
(태종) 경안공주[경안궁주] 경안공주(慶安公主, 1393년 ~ 1415년 5월 30일(음력 4월 22일))는 조선의 공주로,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 딸이다. 경안공주는 1393년(태조 2년), 당시 정안군이었던 아버지 태종과 어머니 민씨(원경왕후)의 셋째딸로 태어났다. 태종이 즉위하면서 경안궁주(慶安宮主)로 책봉되었다. 1403년(태종 3년) 12월 18일, 권근(權近)의 아들이자, 이존오(李存吾)의 외손자인 길창군(吉昌君) 권규(權跬)와 혼인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1415년(태종 15년) 4월 22일,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태종은 경안공주의 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의관 양홍달(楊弘達)의 과실이 있었다 하여 그 신분을 폐하여 서인으로 만들었다. 이후 경안공주의 남편인 권규 마저 요절하였기 때문에 경안공주의 자녀들은 궁에.. 2023. 2. 2.
(문신, 공신) 안천군 안숙공 오미 권준, 영춘현부인 해주정씨 -안동권씨, 정난공신- 조선전기 호조판서, 지중추원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이고, 아버지는 찬성사 권근(權近)이며, 어머니는 우정언 이존오(李存吾)의 딸이다. 형은 우찬성 권제(權踶)이다. 1427년(세종 9) 공신의 아들로서 감찰에 기용되어 1430년(세종 12)에는 호조좌랑이 되었다. 이때 공법(貢法)의 제정에 있어 척박한 산전(山田)은 매년 경작할 수 없는데, 평야지대의 전답과 같이 논한다면 폐단이 크므로 수령에게 밭주인의 신고를 받아 직접 그 경작여부를 답사한 연후에 조세를 거두도록 건의하였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으로 진구(賑救: 재해를 입은 백성들을 구제함)을 살피기 위하여 강원도와 함길도에 파견되었.. 2023. 2. 1.
(문신, 좌익원종공신) 중추원사 양평공 권지, 정부인 용인이씨 -안동권씨- 본관은 안동, 부는 문경공 권제이시다. 실록 졸기에 사람됨이 관후하고 관직에 있어 일을 처리함에 바름을 지키고 아부하지 않았으며, 사람을 대하고 사물을 접할때 온화 하여 화기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시호는 양평이며, 권람의 형님되신다. 2023. 1. 27.
(공신) 길창부원군 소한당 익평공 권람, 영원군부인 고성이씨 -안동권씨, 충북 음성군- 조선시대의 문신.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시호는 익평(翼平).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였으며, 한명회와 책을 읽고 글을 지으며 깊은 교우관계를 가졌다. 1450년(문종 즉위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장원, 감찰(監察)을 거쳐 이듬해 교리(校理)로서, 《역대병요(歷代兵要)》를 함께 편찬하던 수양대군(首陽大君;세조)과 가까워졌다. 단종 즉위 후 한명회의 원모(遠謀)의 뜻을 같이 하고 수양대군에게 접근, 그의 참모가 된 뒤, 양정(楊汀)·홍달손(洪達孫) 등 무장(武將)을 포섭했다. 53년 (단종 1) 계유정난(癸酉靖難)에 가담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으로 우부승지(右副承旨)에 특진, 55년 세조 즉위와 함께 이조참판(吏曹參判)에 발탁되었다. 이어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으로 예문관대제학(.. 2023. 1. 27.
(공신) 길창부원군 문경공 권제, 정경부인 전의이씨 -안동권씨- 본관은 안동. 초명은 도(蹈), 자는 중의(仲義)·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할아버지는 검교정승 희(僖)이고, 아버지는 찬성 근(近)이다.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음보(蔭補)로 경승부주부에 기용되었으나, 감찰로 있을 때 대사헌의 비위에 거슬려 파면되었다.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한 뒤, 세종초에 집현전부제학·대사헌·한성부윤 등을 지냈다. 1435년(세종 17) 이조판서가 되고, 이듬해에는 〈동국연대 東國年代〉를 편찬했다. 그뒤 예조판서·예문관대제학·지중추원사를 거쳐, 1442년 지춘추관사로서 신개(申槩)와 함께 〈고려사〉를 편찬했다. 1445년 우찬성이 되어 정인지(鄭麟趾)·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었다. 저서에 〈지재집〉·〈역대년세가 歷代年世歌〉·〈영가연괴집 永嘉連魁集〉.. 2023. 1. 26.
(공신) 길창부원군 문충공 양촌 권근, 숙경택주 경주이씨 -안동권씨- 고려말 조선초 학자·문신. 양촌(陽村) 권근의 필적.초명은 진(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 시호는 문충(文忠). 1368년 (고려 공민왕 17) 성균시(成均試)에 합격하고 69년 문과에 급제하여 춘추관검열(春秋館檢閱)이 되고, 우왕 때 예문관응교(藝文館應敎)·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대사성(成均大司成)·예의판서(禮儀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75년 (우왕 1)에는 정도전(鄭道傳)·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친명정책(親明政策)을 주장하였으며, 공양왕이 즉위하자 창왕의 외조부 이림(李琳) 일파로 몰려 극형을 받게 되었으나 이성계(李成桂)의 도움으로 모면하였다. 90년 (공양왕 2) 윤이·이초(李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는데, 이때 《입학도설(入學圖說)》을.. 2023. 1. 25.
(문신, 경기 광주시) 유재 이현석, 정부인 안동권씨 -전주이씨- 자는 하서(夏瑞), 호는 유재(游齋). 수광의 증손으로 당규(堂揆)의 아들이다. 1667년(현종 8) 진사가 되고, 1675년(숙종 1) 증광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예문관 검열에 보직된 뒤 삼사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1682년(숙종 14) 우승지가 되었으나, 송시열 등 서인(西人)의 예론(禮論)을 반대하다가 철원에 부처(付處)되었다. 1688년(숙종 14) 다시 동래부사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경상도 관찰사, 1691년(숙종 17) 동지중추부사, 1693년(숙종 19) 춘천부사를 지냈다. 이듬해 청풍현감을 자원하여 나가 을 저술하였으며, 그 뒤 한성부 부윤 · 우참찬 ·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관직에 있는 동안 군학(君學)과 시무(時務)에 관한 여러 소장과 저서를 제진(製進)하였다. .. 2022. 12. 21.
(문신, 경기 남양주시) 매헌 권우, 정부인 남양홍씨 -안동권씨- 조선전기 원주목사, 예문관제학, 세자빈객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원(權遠), 자는 중려(仲慮)·여보(慮甫), 호는 매헌(梅軒). 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 어머니는 한양한씨(漢陽韓氏)로 정승 한종유(韓宗愈)의 딸이다. 어려서는 형인 권근(權近)에게서 학문을 배우다가, 자라서는 정몽주(鄭夢周)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377년(우왕 3) 진사가 되고, 1385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문첩녹사(文牒錄事)가 되고, 이어 성균박사·밀직당(密直堂)·장흥고사(長興庫使)·군기주부(軍器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1390년(창왕 2) 액정알자감(掖庭謁者監)을 거쳐 예조좌랑이 되고, 이듬 해 이조좌랑을 거쳐 군자감승(軍資監丞)을 역임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뒤에도 계속 .. 2022. 12. 11.
(공신, 충북 음성군) 길청부원군 양촌 문충공 권근, 숙경택주 경주이씨 -안동권씨,좌명공신- 조선전기 중추원사, 정당문학,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 권보(權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검교시중(檢校侍中)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해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했다. 공민왕이 죽고 우왕이 즉위하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 원나라를 배척하고 명나라와 화친함)을 주장했으며,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지신사(知申事) 등을 거쳐, 1388년(창왕 즉위)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이은(李垠) 등을 뽑았다. 이듬해 첨서밀직사사(簽書.. 2022. 12. 1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