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한산이씨14

(문신, 사육신) 백옥헌 이개 [충간공] -한산이씨- 충간공 백옥헌 이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청보(淸甫)·사고(士高), 호는 백옥헌(白玉軒). 제6대왕 단종을 위해 사절(死節)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다. 색(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중추원사 종선(種善)이고, 아버지는 계주(季疇)이며, 어머니는 진명례(陳明禮)의 딸이다. 1436년 문과에 급제한 후, 1441년 세종에 의해 집현전 학자가 되었다. 그해 저작랑(著作郞)으로 《명황계감》(明皇戒鑑)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이후 집현전 학사로 신숙주, 성삼문, 정인지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에도 참여했다. 1447년 문과중시에 급제한 뒤 사가독서하였다. 1448년 교리가 되었고, 세종의 임종에 즈음하여 어린 세손을 부탁한다는 유지를 받들었다. 그 뒤 당상관에 승진하였다가 1450년에 문종이 왕위에.. 2015. 1. 17.
(공신) 아성부원군 이산해 [문충공], 정경부인 양주조씨 아성부원군 문충공 이산해 1539(중종 34)∼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여수(汝受), 호는 아계(鵝溪)·종남수옹(終南睡翁). 장윤(長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치(穉)이고, 아버지는 내자시정(內資寺正) 지번(之蕃)이며, 어머니는 남수(南脩)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작은아버지인 지함(之菡)에게 학문을 배웠다. 1558년(명종 13) 진사가 되고, 1561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되고, 이듬 해 홍문관정자가 되어 명종의 명을 받아 경복궁대액(景福宮大額)을 썼다. 이어 부수찬이 되고 1564년 병조좌랑·수찬, 이듬 해 정언을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다. 1567년(선조 즉위년) 원접사종사관(遠接使從事官)으로 명나라 조사(詔使)를 맞이한 뒤 이조정랑·의.. 2013. 10. 15.
(무신) 한흥군 이여발 [정익공], 정부인 경주이씨 정익공 한산군 이여발 이여발(李汝發, 1621년 ~ 1683년)의 자는 군실(君實), 시호는 정익(貞翼)이며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의배(義培)의 손자로서 조선 효종 2년(1651) 무과에 급제, 비변랑(備邊郞), 도총사를 거쳐 숙천(肅川)부사로 선정을 베풀어 거사비(去思碑)가 세워졌다. 충청병마절도사를 거쳐 특히 회령(會寧)부사에 보직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위계에 오르고 한흥군(韓興君)에 봉해졌는데, 회령은 북방의 거진(巨鎭)으로서 야인(野人)들과 서로 무역하는 시장이 있어 야인상인들이 오는 정원도 없고 체류하는 기한도 없어서 우리의 피해가 많았다. 이때 이여발이 부임하여 상인의 출입인원을 320명 이내로, 체류일수를 20일 이내로 규정하여 피해를 줄였다. 현종 때 병·공조.. 2012. 10. 6.
(문신) 광은군 김진구 [경헌공], 정경부인 한산이씨 광은군 경헌공 만구와 김진구 1651년(효종 2)∼1704년(숙종 30). 조선 숙종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 자는 수보(守甫), 호는 만구와(晩求窩). 영돈령부사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만기(萬基)의 아들이고 인경왕후(仁敬王后)의 오빠이다.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사관이 되어 《현종실록》 수찬에 참여하였다. 이어 정언·헌납·교리·응교·집의 등을 역임하였다. 1684년 경상감사가 되었으며 이어 승지가 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에 의하여 남인정권이 들어서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가혹한 수법으로 남인을 숙청하였다는 탄핵을 받고 제주도에 위리안치되었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집권하게 되자 풀려나 호조판서에 기용되고, 곧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듬해 도승지·전라.. 2012. 9. 1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