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文宗)
- 현릉에는 5대 문종과 그의 비 현덕왕후가 잠들어 있다. 이렇게 왕과 왕비를 한 능에 묻는 경우에는 다양한 양식이 존재한다. 현릉의 예처럼, 같은 능의 이름 아래 있지만, 왕과 왕비의 능을 각각 다른 언덕 위에 따로 만든 능을 동원이강릉이라고 한다. 정자각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왼쪽 위의 언덕에 있는 능이 문종의 능이고, 오른쪽 언덕의 능이 현덕왕후의 능이다. 홍살문을 비롯하여 정자각, 비각 등을 하나씩만 만들어놓아 이 능이 동원이강임을 나타내고 있다.
현릉의 능제는 『국조오례의』의 본이 된 세종대왕의 예전 능의 제도를 따랐다. 병풍석에서는 이전 왕릉에 있던 방울과 방패 무늬가 사라졌고 구름무늬가 도드라진다. 고석도 4개로 줄었다. 제일 아랫단에는 장검을 두 손으로 짚고 서 있는 무석인이 있는데 머리와 눈, 코가 매우 크게 표현되었다. 문석인도 튀어나온 눈과 양쪽으로 깊이 새겨진 콧수염이 이국적이다. 신도비는 임금의 치적이 국사에 실리기 때문에 굳이 사대부처럼 신도비를 세울 필요가 없다는 의논에 의해서 이때부터 건립하지 않았다.
- 조선 전기의 문신인 성현의 수필집『용재총화(?齋叢話)』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실려 있다. 문종이 동궁으로 있을 때 귤을 나무 소반에 담아서 집현전에 보낸 일이 있었다. 집현전의 학사들이 귤을 다 먹자 문종은 즉석에서 시를 짓고 이를 소반 위에 썼다.
향나무의 향기는 코에만 향기롭고 / 기름진 고기는 입에만 달구나 / 가장 사랑스런 동정의 귤은 / 코에도 향기롭고 입에도 달구나.
이를 본 집현전 학사들이 그 유려한 글씨와 문장에 감탄하여 이를 다투어 베끼고자 하였다. 하지만 대궐에서 빨리 소반을 돌려보내라고 성화를 하는 통에 다 베껴 쓰지 못한 집현전 학자들이 소반을 붙들고 차마 놓지 못하였다고 한다.
'조선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대)광릉(光陵) - 세조(世祖) (0) | 2014.10.25 |
---|---|
(5) 현릉(顯陵) - 현덕왕후(顯德王后) 안동권씨 (0) | 2014.07.20 |
(04대) 세종대왕 신도비 - 영릉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1호] (0) | 2012.12.02 |
(04대) 영릉(英陵) - 세종(世宗), 소헌왕후(昭憲王后) 청송심씨 [사적 제195호] (0) | 2012.11.27 |
(06대) 사릉(思陵) - 정순왕후(定順王后) 여산송씨 [사적 제209호] (0) | 201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