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릉(英陵)
세종(世宗), 소헌왕후(昭憲王后) 청송심씨
세종(世宗, 1397년 음력 4월 10일 (양력 5월 15일) ~ 1450년 음력 2월 17일 (양력 4월 8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祹), 자는 원정(元正)이다. 사후 묘호는 세종(世宗), 시호는 장헌대왕(莊憲大王)으로, 정식 시호는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이다.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이며, 비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이다.
조선 태종과 부인 민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태종 8년(1408년) 충녕군에 봉해졌다가, 태종 12년(1412년), 형 효령군 이보와 함께 대군으로 진봉된다. 형 이제가 세자에서 폐위되면서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 뒤 1418년 부왕의 선위로 즉위하였다. 즉위 초반 4년간 부왕 태종이 섭정을 하며 군무를 주관하였고 이때 장인 심온과 그 측근들이 사형당하였다. 이후 주변의 소헌왕후 폐출 주장을 일축했고, 건강이 좋지 않았던 그는 황희, 맹사성 등을 등용하여 정무를 주관하였는데 일종의 내각 중심 정치제도인 의정부 서사제의 효시가 되었다.
세종대왕은 재위 기간 동안 과학∙경제∙국방∙예술∙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찬란한 업적을 많이 남겨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1443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20세기 주시경 선생에 의해 한글로 발전되어, 오늘날 대한민국과 한반도에서 공식 문자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10월 9일은 한글날로 기념한다. 과학 기술에도 두루 관심을 기울여 혼천의∙앙부일구∙자격루∙측우기 등의 발명을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신분을 뛰어넘어 장영실∙최해산 등의 학자들을 후원하였다. 국방에 있어서는 김종서∙최윤덕 등을 북방으로 보내 평안도와 함길도에 출몰하는 여진족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으로 국경을 확장하였고,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하는 사민정책(徙民政策)을 실시하여 국토의 균형된 발전을 위해서도 노력하였다. 또한 이종무를 파견하여 왜구를 토벌하고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이밖에도 법전과 문물을 정비하였고 조세제도의 확립에도 업적을 남겼다. 1418년부터 1450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1418년부터 1442년까지 친정을 하였고 1442년부터 1450년 붕어할 때까지 아들 문종이 왕세자 신분으로 대리청정을 하였다.
<<자료출처 : 위키백과 내용 일부 발췌>>
'조선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현릉(顯陵) - 문종(文宗) (0) | 2014.07.20 |
---|---|
(04대) 세종대왕 신도비 - 영릉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1호] (0) | 2012.12.02 |
(06대) 사릉(思陵) - 정순왕후(定順王后) 여산송씨 [사적 제209호] (0) | 2012.11.23 |
(06대) 장릉(莊陵) - 단종(端宗) [사적 제196호] (0) | 2012.11.22 |
(10대) 연산군묘 - 연산군, 거창군부인 거창신씨 [사적 제362호] (0) | 2012.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