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대왕의 4남으로 휘는 무생(茂生)이며 어머니는 충주지씨 고려 찬성사 윤(奫)의 딸이다. 정종대왕이 임금의 자리를 버리고 풍덕(豊德)의 강가로 물러나자 공은 아침저녁으로 문안을 드렸으며 담백하고 조용한 마음을 스스로 지켜 권세와 존귀함을 싫어했다. 당시 왕자들의 집에는 사병을 두어 화의 근원이 되었는데 공만은 깊이 자취를 감추고 향기로운 나무와 꽃잎 속에서 노래와 춤을 즐기니, 세종대왕은 학문을 힘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하여 배천으로 귀양을 보냈다가 얼마 후 그 본의를 살펴 알고 불러와 관직을 되돌려 주었다. 1454년(단종 2) 3월에 중의대부에 오르고 선성군에 봉해졌다. 그 해 5월에 공은 종친, 의빈, 문무백관과 함께 경회루에서 큰 잔치를 열기도 하였으나 그 국가가 다사다난하였기 때문에 공은 스스로 물러나 아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고 한가롭게 살다가 일생을 마쳤다. 1872년(고종 9) 3월 고종이 종친부에 하교하기를 “정종대왕의 여러 왕자에 대한 봉작을 논의하여 올바르게 하라.” 하니 회계(回啓)하기를 “정종대왕의 왕자 가운데 다섯 정(正)은 아직 군(君)을 봉하지 못하였고 아홉 군(君)은 이미 봉작은 하였으나 벼슬의 계급이 들쭉날쭉하여 모두 미안합니다. 군을 봉하지 못한 이는 계급이 없는 그대로 군을 봉하여 이미 봉한 제군과 아울러 시호를 내리는 은전을 베푸는 것으로 해조(該曹)에 분부하시는 것이 종친의 정의를 독실히 하는 뜻에 합당할 듯합니다.”하였다. 비답하기를 “그대로 윤허한다. 시망(諡望)은 시장(諡狀)을 기다리지 말고 즉시 거행하라.” 하였다. 그 후 5일이 지나 공에게 상보국숭록대부 영종정경으로 추증했고 시호를 `양정'이라 내렸다. 시법을 살펴보면 “온화하고 선량하며 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을 양(良)이라하고 너그럽고 화락하며 좋은 이름을 간직하고 마치는 것을 정(靖)이라 한다”하였다. 공의 배위는 세분으로 오천군부인 정씨는 참의 종성(宗誠)의 딸로서 조부는 충의백(忠義伯) 포은(圃隱) 몽주(夢周)이며, 증조는 시중 운관(云瓘)이고, 외조부는 밀직제학 죽산박씨 중용(仲容)이다. 1녀를 두었다. 안강군부인 김씨 는 상호군(上護軍) 중약(仲約)의 딸이며 조부는 밀직사 원수(元帥) 종연(宗衍)이며 증조는 부사 정(精)이고 외조부는 개국공신 한양조씨 인옥(仁沃)이다. 1남을 두었다. 평산군부인 한씨는 평산백(平山伯) 후저(後抵)의 후손이다. 한씨와의 사이에는 8남 2녀를 두었다. 공의 묘소 왼쪽에 정씨, 김씨가 부장되어 있고 한씨는 섬돌 아래에 부장되어 있다.
'왕자(군)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종대왕) 근녕군 이농[희의공], 태안군부인 하양허씨 -전주이씨- (0) | 2023.02.12 |
---|---|
(성종대왕 왕자, 서울 은평구) 영상군 충희공 이전, 금릉군부인 청송심씨, 문성군부인 경주정씨 -전주이씨- (0) | 2022.11.10 |
(운현궁, 경기 남양주시) 흥친왕 우석 이재면[이희], 흥친왕비 풍산홍씨, 홍친왕비 여주이씨 - 전주이씨, 흥선대원왕- (1) | 2022.09.30 |
(의친왕 배위) 수인당 김씨 (1) | 2022.09.20 |
(은언군 배) 전산군부인 전주이씨 (0) | 2022.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