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임평대군 파) 창평수 이근, 신부인 경산김씨 -전주이씨 오산군 장자- 본관은 전주 오산군의 장자이시다. 2024. 7. 27. (오산군 이주 배위) 풍기군부인 연안김씨 https://madangca.tistory.com/784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madangca.tistory.com 2024. 7. 27. (오산군 이주 배위) 풍기군부인 창녕성씨 https://madangca.tistory.com/784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madangca.tistory.com 2024. 7. 27. (임영대군 파) 오산군 이주[정목공] -전주이씨- 휘는 주(澍)이고, 시호는 정목(靖穆)이다. 대군의 장남으로 궁중에서 나서 세종대왕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44년(세종 26) 공의 나이 8세에 비로소 정의대부(正義大夫) 오산군에 봉해지고 현록대부(顯祿大夫)에 이르렀다. 공은 타고난 성품이 온화하고 글을 널리 배워 경전과 사서를 읽었으며 몸가짐이 단정하고 현명하였다. 또 종친의 분수를 지켜 덕(德)을 감추고 일에 대처함이 현명하여 세조대왕은 때때로 공을 불러 나라 일을 자문하고 술자리도 베풀어 친자식처럼 대하였다. 성종 때에 이르러 문소전 사옹원의 제조가 되었는데, 직무에 임하여 일을 그르친 적이 없었다. 1490년(성종 21)에 54세로 별세하였다. 성종대왕은 매우 슬퍼하며 부의와 조제문을 내려 서울시 도봉구 방학동 산 언덕에 예를 갖추어 장사지.. 2024. 7. 27. (태종대왕) 경정공주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고려 말기에 이방원(뒤의 태종)과 여흥민씨(뒤의 원경왕후)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태종실록》에 따르면, 1403년(태종 3) 명나라의 통혼(通婚) 요청을 막기 위하여 상중(喪中)인 조대림(趙大臨)과 혼인시켰다고 한다. 조대림은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준(趙浚)의 아들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졌다가 곧 평양군(平壤君)으로 다시 봉해졌다. 조대림과 사이에 1남 4녀를 두었다. 혼인 후 거주하던 남별궁(南別宮)이 있던 곳을 '작은 공주골'이라 하고 이를 한자로 '소공주동(小公主洞)' 또는 '소공주댁(小公主宅)'이라 불렀는데,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小公洞)의 지명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 1455년(단종 3) 6월에 사망하였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 안골마을에.. 2024. 6. 26. (태종 부마) 평양부원군 강안공 조대림 -평양조씨- 조선전기 제3대 태종의 부마인 왕족.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겸지(謙之). 문하시중 조인규(趙仁規)의 4세손으로, 아버지는 영의정부사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조준(趙浚)의 아들이며, 태종의 부마이다. 1402년(태종 2) 생원시에 합격, 덕수궁제공(德壽宮提控)에 보임되었다. 1403년 호군이 되어 태종의 둘째 딸 경정공주(慶貞公主)와 혼인하여 11월에 평녕군(平寧君)에 봉하여졌다가, 1406년 평양군(平壤君)으로 고쳐 봉해졌다. 1408년 11월 겸좌군도총제(兼左軍都摠制)가 되고, 12월 반란자 목인해(睦仁海)의 꾐에 빠져 도성에서 군사를 일으키다가 순군사(巡君司)에 감금되었으나, 왕의 부마로서 혐의가 없어 석방되었다. 1409년 병서강토총제(兵書講討摠制)가 되었으며, 이듬해 참지의정부사(參知.. 2024. 6. 26. 이전 1 2 3 4 5 6 ··· 131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