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문신) 여우자 정면, 숙부인 능성구씨 -해주정씨, 주부공파- 1614~1687 자는 여강(汝强) 호는 여우자(如愚子) 별좌 도창(道昌)의 아들 생부는 도형(道亨). 1649년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 공조좌랑 예부좌랑을 거쳐 사헌부 장령으로 승진하고, 1680년에 선원보(璿源譜)를 바로잡는데 공로가 커서 보사원종공신록(保社原從功臣錄)에 수록되었다. 1683년(숙종9) 통정대부 우승지로 재직 중 서인당(西人黨)이 노소로 분열하여 논쟁이 격심할 때 송시열 송준길의 논의에 찬동하였다. 얼마 후 경연참찬관에 임명되어 부제학을 겸직하던 중 노환으로 별세하였다. 해주 정씨 가문에 보첩이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기록을 모으고 전국각지에 흩어져 사는 종인들에게 통문을 돌려 족보편집에 전력을 기우리다가 별세하여 그 아들인 계주(啓周)가 마침내 1694년 갑술보(甲戌.. 2024. 4. 29.
(도정궁 사손) 수보 이정한, 정부인 파평윤씨, 정부인 청송심씨 -전주이씨, 덕흥대원군 파- 이정한(李挺漢, 1601년 9월 25일 - 1671년 8월 30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종친이며, 도정궁(都正宮)의 사손(嗣孫)이다. 덕흥대원군의 4대손이자 선조의 형 하원군의 증손이다. 조선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휘는 정한(挺漢), 초명은 대승(大承), 자는 수보(秀甫)이다. 덕흥대원군의 현손이며, 선조의 백형(伯兄) 하원군(河原君) 이정(李鋥)은 증조이고, 당은군(唐恩君) 이인령(李引齡)은 조부이다. 아버지는 종실 응천도정(凝川都正) 이돈(李潡)이며, 어머니는 감사(監司) 성주인(星州人) 이욱(李稶)의 딸로 성산현부인 이씨(星山縣夫人 李氏)이다. 부인은 승지(承旨) 파평인(坡平人) 윤청(尹暒)의 딸로 증 정부인(貞夫人) 파평윤씨(坡平尹氏)와 선교랑(宣敎郞) 청송인(靑松人) 심욱(沈勗)의 딸로.. 2024. 4. 23.
(금원군 파) 자오 이정한, 공인 동래정씨 -전주이씨- 부친은 호안군의 아들이다. 아들 이홍모 비문에 통덕랑이라고기록되어 있있다. 2024. 4. 23.
(고려문신) 재지 최재 [문정공] -전주최씨 고려 후기에, 감찰대부, 전리판서, 개성윤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재지(宰之). 선부전서(選部典書) 최득평(崔得枰)의 아들이다. 1321년(충숙왕 8) 동대비원녹사(東大悲院錄事)로 출발, 산원(散員)·별장(別將)을 거쳐 1330년 과거에 급제하였다. 충숙왕 복위 연간에 중부령(中部令)과 감찰지평(監察持平)을 지내고, 충목왕 즉위 초에는 전법정랑(典法正郎)을 거쳐 지흥주사(知興州事)로 외보(外補)되어 백성을 잘 다스렸으나, 권신 인승단(印承旦)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었다. 1347년(충목왕 3)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어 권문세가의 토지·노비 등의 부당한 탈점을 정리할 때 판관(判官)으로 참여했으며, 이듬해 경상도안찰사(慶尙道按察使)로 나갔다가 다시 전객부령(典客副令)·자섬사사(資.. 2024. 4. 22.
(문신) 백암 김영, 정부인 해주정씨 - 안동김씨- 본관은 안동, 공의 휘는 영(瑛) 자는 대경(大卿), 호는 백암(白巖)이시다. 김방경의 후손이며, 부친은 김종윤이시다. 단종조에 강원도관찰사를 지내셨다. 단종복위 사건때 화를 당하셨다. 배위 정부인 해주정씨는 형조참판 정충경의 따님이시며, 영양위 정종의 누이가 되신다. 2024. 4. 22.
(諡號) 해풍군 낙만 제순공 정효준 증시 제순 집심극장왈제 화비어리왕순 2024. 4. 2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