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부원군묘41

(공신) 영가부원군 권율 [충장공], 정경부인 창녕조씨, 정경부인 죽산박씨 -안동권씨- 영가부원군 충장공 권율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모악(暮嶽). 도첨의(都僉議) 보(溥)의 9세 손으로, 할아버지는 강화부사 적(勣), 아버지는 영의정 철(轍), 어머니는 적순부위(迪順副尉) 조승현(曺承晛)의 딸이다. 이항복(李恒福)의 장인이다. 1582년(선조 1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어 전적·감찰·예조좌랑·호조정랑·전라도도사·경성판관을 지냈다. 1591년에 재차 호조정랑이 되었다가 바로 의주목사로 발탁되었으나, 이듬해 해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에 제수되어 바로 임지로 떠났다. 왜병에 의해 수도가 함락된 뒤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과 방어사 곽영(郭嶸)이 4만여 명의 군사를 모집할 때 광주목사로서 곽영의 휘하에서.. 2015. 1. 10.
(공신) 영양부원군 정종 [헌민공, 영양위] 영양부원군 헌민공 정종 공의 이름은 종(悰)이요, 성은 정씨요, 본관은 해주다. 먼 조상의 이름은 숙(肅)으로 고려에 벼슬하여 벼슬이 전법정랑(典法正郞)에 이르렀고, 그 뒤 언(琂)이란 분이 소윤(少尹)을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되니 곧 공의 고조이시다. 증조의 이름은 윤규(允珪)로 낭장(郎將)을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할아버지의 이름은 역(易)으로 비로소 우리 조선으로 들어와 태종과 세종 두 임금을 섬겨 벼슬이 의정부 좌찬성과 집현전 대제학에 이르렀었다. 아버님의 이름은 충경(忠敬)으로 형조참판을 지내고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어머님 여흥민씨(驪興閔氏)는 목사 호덕(好德)의 따님이시다. 경태(景泰) 원년(1450)에 공이 문종대왕의 부마로 경혜공주(敬惠公主)를 아내로 맞이하여 영양위(寧陽尉.. 2014. 9. 21.
(전성부원군 이준 계배) 정경부인 여산송씨 전성부원군 이준의 계배 이며, 병사 여산송씨 중기(重器)의 따님이시다. 2013. 9. 29.
(관직) 금천부원군 박은 [평도공], 진한국대부인 장흥주씨 금천부원군 평도공 박은 1370(공민왕 19)∼1422(세종 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앙지(仰之), 호는 조은(釣隱). 할아버지는 수(秀)이고, 아버지는 고려 말의 학자인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상충(尙衷)이며, 어머니는 이곡(李穀)의 딸이다. 전법판서(典法判書) 주언방(周彦邦)의 사위이며, 어효첨(魚孝瞻)의 장인이다. 문음(門蔭)으로 판숭복도감사(判崇福都監事)를 받은 뒤, 1385년(우왕 11) 문과에 2위로 급제해 권지전교시교감(權知典校寺校勘)·후덕부승(厚德府丞)을 거쳐 1391년(공양왕 3)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이듬해 개성부소윤(開城府少尹)이 되었다. 조선이 개창된 뒤에도 지금주사(知錦州事)가 되었고, 고과(考課)에 정최(政最)의 성적을 받아 좌보궐(左補闕).. 2013. 1. 22.
(관직) 안성부원군 이숙번 [충숙공], 서원부부인 청주정씨 안성부원군 충숙공 이숙번 조선의 문신. 경(坰)의 아들. 1393년(태조 2) 문과(文科)에 급제, 여러 벼슬을 거쳐 1398년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을 때 방원(芳遠:太宗)과 함께 사병(私兵)을 출동시켜 경복궁(景福宮)을 포위, 정도전(鄭道傳)·남은(南誾) 등을 죽이는 등 제1차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에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졌다. 1400(정조 2) 박포(朴苞) 등이 방간(芳幹)을 받들고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자 선두에서 이를 토벌,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이 되었다. 1402년(태종 2) 지승추부사(知承樞府事)가 되고,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1406년 중군총제(中軍摠制)가 되었으며, 이듬해 판의용순금사사(判義勇巡禁司事)에 올랐다... 2012. 10. 10.
(세종의 장모) 삼한국대부인 순흥안씨 삼한국대부인 순흥안씨 조선 제4대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의 모친이자 영의정을 지낸 안효공 심온(? - 1418)의 배위인 순흥안씨의 묘이다. 호석을 두른 봉분이 설치되어 있고, 묘 앞 중앙에는 글씨가 마멸된 원래의 대리석 묘비와 1910년 새로 건립한 묘비가 있고, 그 앞에 상석 향로석 장명 등, 문인석이 좌우에 갖추어져 있다. 특히 묘비와 상석 주위는 경사지게 장대석으로 사다리형 계단을 조성하여 아늑하고 품위있는 제단이 되게 했다. 장명등은 방형 기단부 위에 방형의 화창을 가진 화사면이 급경사를 이룬 옥개를 얹었다. 청송심씨(靑松沈氏)인 안효공(安孝公)에게 출가하여 장녀 소헌왕후를 비롯한 6명의 딸과 아들 3형제의 모두 9남매를 출산했고, 세종대왕의 부부인(府夫人)으로서 남편에 대한 내조와 자녀교육에 헌.. 2012. 9. 18.
(숙종의 국구) 광성부원군 김만기 [문충공], 서원부부인 청주한씨 광성부원군 문충공 정관재 김만기 본관은 광산. 자는 영숙(永淑), 호는 서석(瑞石)·정관재(靜觀齋). 증조부는 형조참판을 지낸 장생(長生)이며, 아버지는 생원 익겸(益兼)이다. 인경왕후의 아버지인 숙부 익희(益熙)에게 수학하고,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 되었다. 1652년(효종 3) 사마시를 거쳐 이듬해 별시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수찬·정언·교리 등을 지냈다. 1659년 효종이 죽자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服喪)문제로 논란이 일어났을 때 기년설(朞年說)을 주장했으며, 3년설을 제기한 남인 윤선도(尹善道)를 공격했다(→ 기해예송). 1671년(현종 12) 딸이 세자빈이 되었고, 1673년 영릉(寧陵)을 옮길 때 산릉도감(山陵都監)의 당상관이 되었으며, 그뒤 병조판서를 지냈다. 1674년 숙종이.. 2012. 9. 18.
(관직) 교양부원군 노물재 교양부원군 노물재 ?∼1446(세종 28).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아버지는 우의정 한(閈)이며, 부인은 심온(沈溫)의 딸로서 소헌왕후의 동생이다. 1431년(세종 13) 유거감찰(謬擧監察)에 임명되었을 때 최안우(崔安雨)의 천거에 사사로움이 있음을 알지 못하였다 하여 탄핵을 받았으나 파직되지는 않았다. 그뒤 첨지중추부사·동지돈령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회신(懷愼)·유신(由愼)·사신(思愼)·호신(好愼) 등 4명의 아들이 있었다. 사망 후인 1455년(세조 1) 원종공신 2등에 봉해졌고, 같은해 부인이 죽자 부의는 물론 곡식과 종이·관곽까지 하사받았다. 1490년(성종 21)에는 물재의 재산상속시 그의 유서 중에 첩자에게는 재산상속을 하지 말라는 문구가 있어 문제가 되었다. 이것은 《경국대.. 2012. 9. 4.
(공신) 해평부원군 정미수 [소평공], 정경부인 전의이씨 해평부원군 소평공 우재 정미수 1456년(세조 2)∼1512년(중종 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기수(耆叟), 호는 우재(愚齋). 전라남도 광주 출생. 부친은 형조참판 정종(鄭悰)이며, 모친은 문종의 딸 경혜공주(敬惠公主)이다. 아버지가 사사(賜死)되자 어머니와 함께 서울로 소환, 세조가 길렀다. 잠저 때의 성종을 시중하다가 1473년(성종 4) 돈령부직장‧형조정랑을 지냈다. 죄인의 자손으로 임관되었다 하여 여러 차례 탄핵을 받았으나 성종의 무마로 무사하였다. 1476년 중부참봉(中部參奉)을 거쳐 이듬해 선전관을 지내고, 1489년 사헌부장령‧사섬시첨정‧한성부서윤‧인천부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이 즉위하자 당상관으로 올라 장례원판결사에 임명되고, 1496년(연산군 2) 충청도관찰사.. 2012. 7. 26.
(공신) 덕풍부원군 이순신 [충무공], 정경부인 상주방씨 덕풍부원군 충무공 여해 이순신 조선의 명장.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 병조 참의(兵曹參議) 거의 증손, 정(貞)의 아들. 한양 출신. 1576년(선조 9) 식년무과(式年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함경도의 동구비보 권관(董仇非堡權管)에 보직되고, 이듬해에 발포 수군 만호를 거쳐 1583년 건원보 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 1585년 사복시 주부(司僕寺主簿)·조산보 만호(造山堡萬戶), 1589년 선전관(宣傳官)·정읍 현감(井邑縣監)을 역임하는 등 미관말직(微官末職)만을 지내다가, 1591년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승진, 좌수영(左水營:麗水)에 부임하여 군비 확충에 전력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최초로 옥포(玉浦)에서 적 수군 선견부대 30여.. 2012. 7. 23.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