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부원군묘42

(공신) 덕풍부원군 이순신 [충무공], 정경부인 상주방씨 덕풍부원군 충무공 여해 이순신 조선의 명장.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 병조 참의(兵曹參議) 거의 증손, 정(貞)의 아들. 한양 출신. 1576년(선조 9) 식년무과(式年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함경도의 동구비보 권관(董仇非堡權管)에 보직되고, 이듬해에 발포 수군 만호를 거쳐 1583년 건원보 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 1585년 사복시 주부(司僕寺主簿)·조산보 만호(造山堡萬戶), 1589년 선전관(宣傳官)·정읍 현감(井邑縣監)을 역임하는 등 미관말직(微官末職)만을 지내다가, 1591년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 승진, 좌수영(左水營:麗水)에 부임하여 군비 확충에 전력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최초로 옥포(玉浦)에서 적 수군 선견부대 30여.. 2012. 7. 23.
(관직) 영양부원군 정종 [영양위] 영양부원군 헌민공 정종 [영양위] 정종(鄭悰, ? ~ 1461년)은 참판 정충경(忠敬)의 아들이다. 1450년(세종 32년)에 문종의 딸 경혜공주(敬惠公主)와 혼인한 뒤 영양위(寧陽尉)에 봉하여졌다. 단종 초기에 형조판서가 되어 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가, 1455년(단종 3년) 금성대군의 사건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 이 해 수양대군이 세조로 즉위하였고 정종은 문종의 유일한 사위라 하여 경기도 양근에 양이(量移)되었다. 1456년(세조 2년) 사육신 사건으로 죄가 가중되어 수원 통진을 거쳐 경기도 광주시에 안치되었다가 1461년에 승려 성탄 등과 반역을 도모했다 하여 사사되었다. 영조 때 신원되어 단종묘와 공주 동학사(東鶴寺) 숙모전(肅慕殿)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헌민(獻愍)이다.단종 초기에 형조판서.. 2012. 7. 2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