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운현궁, 경기 남양주시) 흥친왕 우석 이재면[이희], 흥친왕비 풍산홍씨, 홍친왕비 여주이씨 - 전주이씨, 흥선대원왕-
대한제국기 제1대 고종의 형으로 이희공에 봉해진 왕족. 관료·친일반민족행위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무경(武卿), 호는 우석(又石)이다. 고종의 형이며, 영선군(永宣君) 이준용(李埈鎔)의 아버지다. 순종의 명으로 이희(李熹)로 개명하였다. 1845년 7월 20일 서울에서 흥선군 이하응과 여흥 민씨(驪興閔氏)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63년 사용(司勇)의 직을 맡았다가 186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5월 규장각 대교(待敎)가 되었고, 예문관 검열(檢閱)·승정원 주서(注書) 등을 거쳐 1865년 동부승지·성균관 대사성·이조 참의·홍문관 부제학 등을 지냈다. 1866년 2월 도승지, 1867년 2월 규장각 직제학, 3월 이조 참판이 되었다. 1868년 1월 교정 당상(校正堂上)을 거쳐 187..
2022. 9. 30.
(문신, 실학자) 열수 정약용[문도공], 숙부인 풍산홍씨
문도공 열수 정약용 [다산] 정약용(1762∼1836). 실학자(實學者). 세례명 요한. 자는 미용(美鏞), 송보(頌輔), 귀농(歸農), 호는 다산(茶山), 삼미(三眉), 여유당(與猶堂), 사암(俟庵)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다산으로 널리 알려졌다. 정재원(丁載遠)의 사남(四男)이며, 이승훈(李承薰)의 처남이다. 양근(楊根)의 마재[馬峴]에서 출생. 성호 이익(星湖 李瀷)의 학풍을 이어받아 실학(實學)을 집대성하였다. 1789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랐으나 공서파(攻西派)의 탄핵으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10일만에 풀려 나왔다. 이어서 경기도 암행어사, 동부승지(同副承旨), 병조참의(兵曹參議) 등을 역임하다가 천주교인으로 지목 받아 금정찰방(金井察訪)으로 보외(補外)되기도 하였다. 그 뒤 곡산부..
2013. 1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