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순국선열및 호국영령묘67

(호국형제 묘) 하사 이만우(兄), 이등중사 이천우(弟) -국립서울현충원- 故하 사 이만우(兄, 22세) : 30묘역 26549호 故이등중사 이천우(, 19세) : 30묘역 39591호 6ㆍ25 전쟁 당시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사랑하는 홀어머니를 뒤로한 채 각각 정든 고향집을 떠났던 두 형제가 전사한 지 60년 만에 다시 만나 이곳에 함께 잠들어 있다. 경북 청도에서 태어난 이들 형제는 낙동강 전투가 한창이던 1950년 8월 형님(故 하사 이만우)이 입대한 지 한 달 만에 당시 18세이던 동생(故 이등중사 이천우) 또한 형님의 뒤를 이어 자원입대하였다. 각각 1사단과 7사단 소속으로 서울 수복작전에 이어 북진의 선봉에 서서 평양탈환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가하여 혁혁한 무공을 세운 형제는 안타깝게도 이듬해인 1951년 5월 7일 고양지구전투에서 형님이 전사(화랑무공훈장 수훈)하고.. 2016. 4. 27.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만호 홍진 국무령 -국립서울현충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만호 홍진 1877(고종 14)∼1946. 독립운동가.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면희(冕熹), 일명 진(鎭). 호는 만호(晩湖·晩悟). 충청북도 영동 출신이다. 1898년 법관양성소(法官養成所)를 졸업한 뒤 한성평리원(漢城平理院) 주사에 임명되었다. 다음 해 평리원 판사로 승진하였고, 1905년 충청북도 충주재판소 검사로 전임되었다. 1910년 8월 나라가 일제에 강점당하자 검사직을 사임하고 서울에서 변호사 개업을 한 뒤, 1919년 2월까지 독립운동가를 위해 법정투쟁을 계속하였다. 그 해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에 적극 가담하여 충청북도 청주군 연락책임자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4월 인천시 만국공원에서 비밀리에 13도 대표들과 국민대회(國民大會)를 열고 한성임시정부(漢城臨時.. 2016. 4. 24.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우강 양기탁 국무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우강 양기탁 1871(고종 8)∼1938. 독립운동가·언론인. 초명은 의종(宜鍾), 호는 우강(雩岡). 평안남도 평양 출신. 아버지는 양시영(梁時英)이며, 어머니는 인동 장씨(仁同張氏)이다. 어린 시절에는 한학을 공부하다가 상경하여 동학당 및 유림(儒林)의 명망가이며 우국지사인 나현태(羅鉉泰)를 만나 시야를 넓혔다. 1895년 미국인 선교사 게일(Gale,J.S., 奇一) 및 아버지와 더불어 한국 최초의 『한영자전 韓英字典』을 편수하고, 이듬해 독립협회에 가입했으며, 1898년 만민공동회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그러나 1900년 독립협회가 해산되자 게일의 알선으로 3년간 일본과 미국을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다. 1902년 이상재(李商在)·민영환(閔泳煥)·이준(李儁)·이상설(李相卨)·.. 2016. 4. 23.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 제2대 겸곡 박은식 대통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2대 대통령 겸곡 박은식 1859(철종 10)∼1925. 조선 말기·일제강점기의 학자·언론인·독립운동가.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성칠(聖七), 호는 겸곡(謙谷)·백암(白巖). 황해도 황주 출생. 농촌 서당 훈장 용호(用浩)의 아들이다. 국권을 잃은 후 중국에 망명해 독립운동에 종사할 때에는 박기정(朴箕貞)이라는 별명을 쓰기도 했고, 태백광노(太白狂奴) 또는 무치생(無恥生)의 별호를 쓰기도 하였다. 10세부터 17세까지 아버지의 서당에서 정통파 성리학과 과거시험 공부를 하였다. 과거공부에 회의를 느껴 고향을 떠나 당시 황해도 일대에서 이름나 있던 안태훈(安泰勳 : 安重根의 아버지)과 교우하면서 문장을 겨루어 황해도의 양 신동이라는 평을 듣기도 하였다. 이후 전국을 답사하던 중 188.. 2016. 4. 23.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석주 이상룡 국무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석주 이상룡 1858(철종 9)∼1932. 독립운동가. 본관은 고성(固城). 초명은 상희(象羲). 자는 만초(萬初), 호는 석주(石洲). 경상북도 안동 출신이다. 1911년 서간도(西間島)로 망명 후 계원(啓元)으로, 이어서 상룡(相龍)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는 승목(承穆)이며, 김흥락(金興洛)의 문인이다. 정치제도와 실용지학(實用之學)을 탐구했으며, 천문·지리·수학 등에 관심이 있었다. 1894년 청일전쟁으로 도곡선재(陶谷先齋)에 은신하면서 병학(兵學)에 몰두하였다. 1896년 박경종(朴慶鍾)과 함께 가야산에 군사 진지를 구축하고 의병 항전을 시도하였다. 안동의 의병장 권세연(權世淵)을 지원하기도 했으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근대적 군사력에 대항하는 국내에서의 의병 항쟁.. 2016. 4. 23.
(독립운동가) 김봉성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김봉성 1919년 3월 1일 평북 선천군(宣川郡) 선천읍(宣川邑)에서 전개된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선천의 만세시위는 민족대표였던 이승훈(李昇薰)이 신성학교(信聖學校) 성경교사였던 홍성익(洪盛益)에게 3월 1일 신성학교 학생들을 동원하여 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부탁하며 추진되었다. 홍성익은 동료 교사인 김지웅(金志雄) 등과 연락을 취하며 만세시위 계획을 추진하였다. 신성학교 내의 업무는 김지웅이 담당하였는데, 그는 학생들을 불러 독립선언서 등사 등을 맡겼다. 당시 신성학교 4년생이던 그는 김지웅의 지시에 따라 동급생인 장일현(張日炫)·고병간(高秉幹)·박찬빈(朴贊彬) 등과 함께 도쿄[東京] 유학생들이 발표한 2·8 독립선언서를 등사하는 한편 시위 현장에서 사용할 태극기도 대량으로 제작하였다. 3.. 2016. 1. 22.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이혜련 여사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1878년 11월 9일 평남 강서군 초리면 칠리 봉상도(일명 도롱섬)에서 안흥국(安興國)의 3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빈농의 선비로 당 27세, 어머니 황씨는 당 32세, 형은 치호(致浩)이다. 8세까지 가정에서 한문을 수학하고, 9세에서 14세까지는 강서군 심정리에 머물며 김현진(金鉉鎭)에게 한학을 배웠다. 이때 서당 선배인 필대은(畢大殷)과 알게 되어 그로부터 민족주의사상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받았다. 1895년 청일전쟁을 계기로 교육을 통해 나라의 힘을 길러야 하다는 생각을 하였다. 1896년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가 경영하는 구세 학당에 입학하여, 이 곳에서 3년간 수학하면서 서구 문물과 접하게 되었다. 1898년 서울 종로에서 이상재, 이승만, 윤치호 등과 만민 공동.. 2016. 1. 20.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2016. 1. 20.
(독립운동가) 태허 유상규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태허 유상규 유상규(劉相奎, 1897~1936)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외과의사로서 대중 의료보건에 힘썼다. 호는 태허(太虛). 본관은 강릉. 1897년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읍 서부동에서 태어났다. 아호는 태허이다. 경신중학교에 입학, 1916년 3월 제11회로 졸업하고 그해 4월에 새로 설립된 경성의학전문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에 [제1회]로 입학하였다. 1919년 3·1운동 에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들을 모으고 동원하는 등 3.1 독립운동의 주된 역할을 하였으며 ( 압록강은 흐른다, 이미륵 참조)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을 1년 앞둔 3학년을 다 끝마친 때였으나 학업을 포기하고 상해로 망명하였으며 학교는 퇴교를 당하였다.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되자 상하이로 건너간 유상규.. 2016. 1. 20.
(독립운동가, 언론인) 위창 오세창 -민족대표33인, 망우리공원묘지- 민족대표 33인 위창 오세창 1864(고종 1)∼1953. 서예가·언론인·독립운동가.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중명(仲銘), 호는 위창(葦滄·韙傖). 서울 출생. 조선 말기 중국어 역관이며 서화가·수집가였던 경석(慶錫)의 장남이다. 20세에 역관이 되었다가, 1886년 박문국 주사로서 ≪한성순보≫ 기자를 겸하였다. 1894년에 군국기무처 총재비서관이 되었고, 이어 농상공부 참서관, 통신원 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897년 일본 문부성의 초청으로 동경외국어학교에서 조선어교사로 1년간 체류하였다. 1902년 개화당사건으로 일본에 망명하던 중에 손병희(孫秉熙)의 권유로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1906년 귀국 후 ≪만세보≫·≪대한민보≫ 사장을 역임하였고,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 2016. 1. 2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