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종친(왕실)묘38

(선성군 파) 춘산도정 이귀, 신부인 송씨 -전주이씨- 춘산도정 이귀 명선대부 품계를 받았다. 신부인 송씨는 본관이 미상이시다. 2020. 7. 17.
(금원군 파) 호안군 백첨 이오, 현부인 선산김씨 -전주이씨- 호안군(湖安君) [1596(선조 29)∼1665(현종 6)] 휘는 오(澳), 자는 백첨(伯瞻). 중종대왕의 7남인 덕흥대원군의 증손으로 선조대왕의 친형인 하원군(河原君)의 손이다. 하원군의 3남인 영제군의 장남으로 1596년(선조 29) 2월 20일 태어나 1610년 15세에 정3품 호안정(湖安正)의 벼슬을 받았고 바로 승계되어 도정(都正) 겸 사옹원 부제조를 거쳐 곧 승진하여 정의대부 호안군에 봉작되었다. 1613년(광해군 5) 계축사화 폐모사건에 연루되어 죄를 얻게 되고, 1624년(인조 2) 갑자변에 무고를 입어 옥에 갇히게 되니 대신들이 극력 간하여 흥해(興海)에 부처(付處)되었다가 바로 석방되었다. 1627년(인조 5) 여진족의 난 뒤에 큰 옥사가 있어 다시 강진 남해 궁벽한 곳에 유배되었다가 .. 2018. 10. 28.
(금원군 파) 영제군 천여 이석령[영희공], 당진군부인 당진한씨 -전주이씨- 영제군(寧堤君) [1568(선조 1)∼1623(인조 1)] 휘는 석령(錫齡), 자는 천여(天與), 시호는 영희(榮禧). 덕흥대원군의 큰아들 하원군(河原君)의 3남인데, 입양되어 초수 승헌대부 영제정(寧堤正)을 봉작받았다가 숭헌대부 영제군으로 승진하고, 오위도총부 도총관과 사옹원 제조가 되고 1607년(선조 40)에는 가덕대부, 1610년(광해군 2)에는 소덕대부 겸 도총관, 1615년(광해군 7)에는 흥록대부, 1621년(광해군 13)에는 현록대부 정1품으로 승진하였다. 임진왜란 때 왜적에게 삼경(三京)이 연이어 함락되니 화가 능안까지 미치게 되어 종실(宗室)을 선출하여 봉심케 하는데 공은 태릉으로 가라는 왕명을 받들어 두려움없이 즉시 출발하여 주복야행(晝伏夜行)으로 무사히 거행하고 돌아와서 큰 공을 세.. 2018. 10. 28.
(금원군 파) 하릉군 이인[효정공], 평산군부인 평산신씨 -전주이씨- 하릉군(河陵君) [1546(명종 1)∼1592(선조 25)] 휘는 인(?), 시호는 효정(孝貞). 중종대왕의 7남인 덕흥대원군의 차남으로 금원군에게 입양되어 초수 하릉정(河陵正)에서 승진하여 현록대부 하릉군 정1품으로 승진되었다. 임진왜란때 통천군(通川郡)에서 46세로 별세하였다. 2018. 10. 27.
(신종군 후배) 신부인 성주백씨 신종군의 계비이며 신인 성주백씨이시다. 후손의 증언에 의하면 용인 문촌리가 친청이라는 말도 있으며, 처음 문촌리에 정착하신 분도 신인 성주백씨 부인이라고 한다. 신인이란 작호는 처음에는 종친과 정·종3품관의 처(妻)에게 주는 작호였으나, 나중에 당상관과 당하관을 구분하여 종친과 정·종3품 당상관의 처에게는 신부인(愼夫人), 당하관의 처에게는 신인이라는 작호를 내리게 되었다. 2017. 5. 25.
(신종군 후배) 신부인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 후배 신부인 이시다. 본관이 전하지 않아 불명이시다. 2017. 5. 25.
(덕천군파) 신종군 이효백[공간공], 현부인 예안최씨 -전주이씨-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 1433년(세종 15)~1487년(성종 18). 조선 초기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희삼(希參). 조선의 2대 임금이었던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이며, 부인은 동지중추부사 최경례(崔景禮)의 딸 예안현부인 최씨(禮安縣夫人 崔氏)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이름을 효백(孝伯)이라 불렀고, 궁술(弓術)이 비상하여 1459년(세조 5) 임금이 직접 참가한 모화관(慕華館)의 시사(試射)에서 모두 30발의 화살 중 29발을 과녁에 명중시킨 적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세조의 특명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 정의대부(正議大夫:종2품 종친계)에 오르고 1467년(세조 13) 신종군(新宗君)에 봉하여졌다. 그 해에 이시애(李施愛)가 난을 일으.. 2017. 5. 25.
(종친) 완순군 석호 이재완, 정경부인 서씨 -전주이씨- 완순군 석호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친일 매국노.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다. 본관은 전주, 초명은 을경(乙經), 자는 순칠(舜七), 호는 석호(石湖)이다. 흥완군 이정응의 양자이며, 사도세자의 현손이다. 1899년에 완순군에 봉작되었고, 1910년 한일 병합 이후에 일본 정부로부터 후작으로 봉작되어 조선귀족이 되었다. 1884년 12월 서재필, 김옥균, 이규완 등이 일으킨 갑신정변 당시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897년(광무 원년)에 한성은행(漢城銀行)의 창립을 주관하였다. 2002년에 대한민국 국회의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에 수록되었다. 2007년에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 2017. 4. 19.
(종친) 흥완군 문간공 이정응, 정경부인 대구서씨, 정경부인 순천박씨 -전주이씨- 흥완군 문간공 이정응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다. 은신군의 양손자이며 남연군 이구와 군부인 여흥 민씨의 둘째 아들이다. 흥인군, 흥선대원군의 형이며 흥녕군의 동생이다. 1865년 9월 14일 신정왕후 조대비의 명으로 특별히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처음 이름은 시응(是應)이었다. 자는 시백(眂伯), 시호는 문간(文簡). 흥완부정에 봉작된 뒤 도정으로 진봉되었고, 효명세자묘 수원관, 순조 사후 산릉도감과 빈전 대전관,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역임했다. 1844년에는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현록대부에 이르렀다. 조카 고종 즉위 후 신정왕후의 특명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은신군의 양자인 남연군 이구와 선공감감역 증 .. 2017. 4. 19.
(영해군파) 벽계도정 이종숙, 신부인 해평윤씨 -전주이씨- 휘(諱)는 종숙(終叔), 호(號)는 현옹(玄翁). 길안도정의 5남이며 어머니는 현부인 여산송씨이다. 품계는 명선대부(明善大夫)에 올랐다. 젊었을 때부터 절조 있는 행실(行實)로 생활해 오며 학문에 독실(篤實)하였다. 당시의 혼탁한 세상에 분개하여 이를 사물에 빗대어 풍자적인 시가를 읊어 회포를 풀었다. 중종대왕 때 시산군 · 강녕군과 함께 성리학(性理學)을 연구하였고 백성(百姓)을 올바르게 잘 다스리도록 하는 글을 지어 밀봉 상소하였고 또 연명의 글로 억울하게 유배된 박상(朴祥) · 김정(金淨)의 석방을 상소하였다. 그당시 사람들은 중국 전한시대 학자(學者)이며 충신이었던 유향(劉向)에 비유하였다. 12세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와 14세 때 신사무옥으로 큰 화를 입었다. 1542년(중종 37) 35세 때.. 2016. 8. 21.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