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종친(왕실)묘34

(신종군 후배) 신부인 성주백씨 신종군의 계비이며 신인 성주백씨이시다. 후손의 증언에 의하면 용인 문촌리가 친청이라는 말도 있으며, 처음 문촌리에 정착하신 분도 신인 성주백씨 부인이라고 한다. 신인이란 작호는 처음에는 종친과 정·종3품관의 처(妻)에게 주는 작호였으나, 나중에 당상관과 당하관을 구분하여 종친과 정·종3품 당상관의 처에게는 신부인(愼夫人), 당하관의 처에게는 신인이라는 작호를 내리게 되었다. 2017. 5. 25.
(신종군 후배) 신부인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 후배 신부인 이시다. 본관이 전하지 않아 불명이시다. 2017. 5. 25.
(덕천군파) 신종군 이효백[공간공], 현부인 예안최씨 -전주이씨-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 1433년(세종 15)~1487년(성종 18). 조선 초기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희삼(希參). 조선의 2대 임금이었던 정종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아들이며, 부인은 동지중추부사 최경례(崔景禮)의 딸 예안현부인 최씨(禮安縣夫人 崔氏)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이름을 효백(孝伯)이라 불렀고, 궁술(弓術)이 비상하여 1459년(세조 5) 임금이 직접 참가한 모화관(慕華館)의 시사(試射)에서 모두 30발의 화살 중 29발을 과녁에 명중시킨 적이 있었다. 이를 계기로 세조의 특명으로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 정의대부(正議大夫:종2품 종친계)에 오르고 1467년(세조 13) 신종군(新宗君)에 봉하여졌다. 그 해에 이시애(李施愛)가 난을 일으.. 2017. 5. 25.
(종친) 완순군 석호 이재완, 정경부인 서씨 -전주이씨- 완순군 석호 이재완 이재완(李載完, 1855년 음력 12월 5일 ~ 1922년 양력 8월 11일)은 친일 매국노.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왕족이며 대한제국의 황족, 관료이다. 본관은 전주, 초명은 을경(乙經), 자는 순칠(舜七), 호는 석호(石湖)이다. 흥완군 이정응의 양자이며, 사도세자의 현손이다. 1899년에 완순군에 봉작되었고, 1910년 한일 병합 이후에 일본 정부로부터 후작으로 봉작되어 조선귀족이 되었다. 1884년 12월 서재필, 김옥균, 이규완 등이 일으킨 갑신정변 당시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897년(광무 원년)에 한성은행(漢城銀行)의 창립을 주관하였다. 2002년에 대한민국 국회의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에 수록되었다. 2007년에 대한민국의 대통령 소.. 2017. 4. 19.
(종친) 흥완군 문간공 이정응, 정경부인 대구서씨, 정경부인 순천박씨 -전주이씨- 흥완군 문간공 이정응 흥완군 이정응(興完君 李晸應, 1814년 2월 16일 ~ 1848년 5월 18일)은 조선 시대의 문신, 왕족이다. 은신군의 양손자이며 남연군 이구와 군부인 여흥 민씨의 둘째 아들이다. 흥인군, 흥선대원군의 형이며 흥녕군의 동생이다. 1865년 9월 14일 신정왕후 조대비의 명으로 특별히 의정부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처음 이름은 시응(是應)이었다. 자는 시백(眂伯), 시호는 문간(文簡). 흥완부정에 봉작된 뒤 도정으로 진봉되었고, 효명세자묘 수원관, 순조 사후 산릉도감과 빈전 대전관,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역임했다. 1844년에는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현록대부에 이르렀다. 조카 고종 즉위 후 신정왕후의 특명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은신군의 양자인 남연군 이구와 선공감감역 증 .. 2017. 4. 19.
(영해군파) 벽계도정 이종숙, 신부인 해평윤씨 -전주이씨- 휘(諱)는 종숙(終叔), 호(號)는 현옹(玄翁). 길안도정의 5남이며 어머니는 현부인 여산송씨이다. 품계는 명선대부(明善大夫)에 올랐다. 젊었을 때부터 절조 있는 행실(行實)로 생활해 오며 학문에 독실(篤實)하였다. 당시의 혼탁한 세상에 분개하여 이를 사물에 빗대어 풍자적인 시가를 읊어 회포를 풀었다. 중종대왕 때 시산군 · 강녕군과 함께 성리학(性理學)을 연구하였고 백성(百姓)을 올바르게 잘 다스리도록 하는 글을 지어 밀봉 상소하였고 또 연명의 글로 억울하게 유배된 박상(朴祥) · 김정(金淨)의 석방을 상소하였다. 그당시 사람들은 중국 전한시대 학자(學者)이며 충신이었던 유향(劉向)에 비유하였다. 12세 때 기묘사화(己卯士禍)와 14세 때 신사무옥으로 큰 화를 입었다. 1542년(중종 37) 35세 때.. 2016. 8. 21.
(세조-창원군) 덕진군 이활, 평산군부인 평산신씨, 청원군부인 청주한씨 -전주이씨- 덕진군 이활 덕진군(德津君) [德津君(중종 16)] 휘는 활(?), 자는 원지(源之). 창원군의 계자(繼子) 생부는 덕원군이다. 덕진군은 연산군이 폭정과 음학을 일삼자 여러 차례 간했으나 듣지 않자 1506년(중종 1) 종실 중 운수군(雲水君) 효성(孝誠)과 상의하여 반정을 일으켜 성공,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에 책록되어 종1품 가선대부가 되었다. 덕진군은 기상이 웅대하고 의지가 굳었으며 효심과 우애가 깊고 학문을 좋아하여 세칭 문장이라 일컬어졌다. 1521년(중종 16) 6월 9일 종기를 앓다가 향년 53세로 별세하였다. 배위 평산군부인 평산신씨는 억년(億年)의 딸로 1녀를 두어 성율(成慄)에게 출가시켰고, 배위 청원군부인 청주한씨는 충례(忠禮)의 딸로 3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은 대원정(大原正)에 .. 2016. 8. 21.
(해원군) 화창군 이연, 군부인 광산노씨 -전주이씨- 화창군은 인성군의 제3자 해원군의 아들이니 선조의 증손이 된다. 인조 18년(1640)에 출생하여 47세의 일기를 마쳤다. 군부인은 광산인 사헌부감찰 노경명의 따님이시다. 2016. 4. 24.
(인평대군 4남, 용성대군) 복평군 이연 [효익공], 완산군부인 전주최씨 효익공 복평군 이연 휘는 연(?), 시호는 효익(孝翼). 대군의 4남이며 1872년(고종 9)에 특명으로 인조대왕의 4남 용성대군(龍城大君)의 계자로 출계했다. 1680년(숙종 6)에 경신대출척 때 별세했으며, 배위는 좌랑 완산최씨 영세(永世)의 딸이며, 묘는 합폄이다. 2014. 10. 12.
(인평대군 3자) 복선군 이염, 군부인 임천조씨 복선군 이염 휘는 염(쨲), 대군의 3남으로 사은사로 청나라에 내왕하였으며, 1680년(숙종 6)에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복창(福昌) · 복선(福善) · 복평(福平) 등 삼복(三福)으로 불리는 삼형제가 희생되었다. 횡피죄명으로 복주되었다. 묘소는 광주군 언부면 비정리이었고 1864년(고종 1) 7월에 복관작되었다. 고종태황제의 특명으로 완릉군이 입후되었으며 배위는 군수 임천조씨 시형(時馨)의 딸이다. 2014. 10. 12.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