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망우리공원묘지17 (순조) 명온공주, 동녕위 성희 김현근 -안동김씨, 신안동김씨- 명온공주는 순조(純祖)와 순원왕후(純元王后)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810년(순조 10)∼1832년(순조 32). 동녕위(東寧尉) 김현근(金賢根)에게 하가하였다. 김현근은 진사(進士) 김한순(金漢淳)의 아들이다. 1817년 명온공주(明溫公主)로 봉해졌으며 1823년 김현근과 혼인하였으나 태어날 때부터 몸이 병약해 혼인한지 9년 만에 졸했다.부마(駙馬) 간택을 위하여 1823년(순조 23) 5월 2일에 12세에서 15세의 동자에게 금혼령(禁婚令)을 내리고 단자(單子)를 들일 것을 순조가 명하면서 시작되었다. 명온공주방가례등록(明溫公主房嘉禮謄錄, 순조 23년 발간)에 의하면, “부마로는 예조의 택일에 따라 5월 22일 初揀擇(8명), 25일 再揀擇(3명), 6월 2일 三揀擇을 하여 進士 김한순(金漢淳)의 아.. 2023. 5. 20. (애국지사) 류관순 열사 분묘 합장 -이태원 공원묘지 분묘 합장지- 1902년 12월 16일 충청남도 천안 병천면에서 아버지 유중권(柳重權)과 어머니 이소제(李少悌)의 5남매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공주에서 전도하던 감리교 선교사 부인(미국이름 엘리스 샤프)의 권유로 1916년 이화학당 보통과에 입학하였으며, 보통과를 졸업한 1918년 이화학당 고등과에 입학하였다. 1919년3월 10일 모든 학교에 임시휴교령이 내려지자, 유관순은 같은 이화학당을 다니던 사촌 언니 유예도와 함께 고향인 천안으로 내갔다.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가 아우내에서 독립만세 운동을 지휘하였으며, 일본 헌병대는 유관순의 부모를 죽이고 유관순을 체포하여 검사국으로 이송하였다. 유관순은 공주 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이 선고되고, 다시 경성 복심법원에 항소하여 징역 3년형이 언도되었다. 1920년 9월 2.. 2023. 3. 5.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망우리공원묘지- https://madangca.tistory.com/260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madangca.tistory.com https://madangca.tistory.com/682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madangca.tistory.com 2023. 3. 2.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2023. 3. 2. (독립운동가) 김봉성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김봉성 1919년 3월 1일 평북 선천군(宣川郡) 선천읍(宣川邑)에서 전개된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선천의 만세시위는 민족대표였던 이승훈(李昇薰)이 신성학교(信聖學校) 성경교사였던 홍성익(洪盛益)에게 3월 1일 신성학교 학생들을 동원하여 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부탁하며 추진되었다. 홍성익은 동료 교사인 김지웅(金志雄) 등과 연락을 취하며 만세시위 계획을 추진하였다. 신성학교 내의 업무는 김지웅이 담당하였는데, 그는 학생들을 불러 독립선언서 등사 등을 맡겼다. 당시 신성학교 4년생이던 그는 김지웅의 지시에 따라 동급생인 장일현(張日炫)·고병간(高秉幹)·박찬빈(朴贊彬) 등과 함께 도쿄[東京] 유학생들이 발표한 2·8 독립선언서를 등사하는 한편 시위 현장에서 사용할 태극기도 대량으로 제작하였다. 3.. 2016. 1. 22.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초장지 2016. 1. 20. (독립운동가) 태허 유상규 -망우리공원묘지- 독립운동가 태허 유상규 유상규(劉相奎, 1897~1936)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외과의사로서 대중 의료보건에 힘썼다. 호는 태허(太虛). 본관은 강릉. 1897년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읍 서부동에서 태어났다. 아호는 태허이다. 경신중학교에 입학, 1916년 3월 제11회로 졸업하고 그해 4월에 새로 설립된 경성의학전문학교(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에 [제1회]로 입학하였다. 1919년 3·1운동 에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들을 모으고 동원하는 등 3.1 독립운동의 주된 역할을 하였으며 ( 압록강은 흐른다, 이미륵 참조)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을 1년 앞둔 3학년을 다 끝마친 때였으나 학업을 포기하고 상해로 망명하였으며 학교는 퇴교를 당하였다. 상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설립되자 상하이로 건너간 유상규.. 2016. 1. 20. (독립운동가, 언론인) 위창 오세창 -민족대표33인, 망우리공원묘지- 민족대표 33인 위창 오세창 1864(고종 1)∼1953. 서예가·언론인·독립운동가.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중명(仲銘), 호는 위창(葦滄·韙傖). 서울 출생. 조선 말기 중국어 역관이며 서화가·수집가였던 경석(慶錫)의 장남이다. 20세에 역관이 되었다가, 1886년 박문국 주사로서 ≪한성순보≫ 기자를 겸하였다. 1894년에 군국기무처 총재비서관이 되었고, 이어 농상공부 참서관, 통신원 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1897년 일본 문부성의 초청으로 동경외국어학교에서 조선어교사로 1년간 체류하였다. 1902년 개화당사건으로 일본에 망명하던 중에 손병희(孫秉熙)의 권유로 천도교에 입교하였다. 1906년 귀국 후 ≪만세보≫·≪대한민보≫ 사장을 역임하였고,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다.. 2016. 1. 20. (대중가수) 차중락 대중가수 차중락 차중락 (車重樂, 1941~1968.11.10 ) 요절가수 차중락은 잘생긴 얼굴, 미스터 코리아 2위로 선정될 만큼 건장한 몸매, 그리고 엘비스 프레슬리를 빼다박은 뛰어난 모창으로 60년대 말 젊은 여성들에게 가히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미8군에서는 '코리언 엘비스'라는 애칭으로 불렸을 만큼 외국과 한국의 정서를 적절하게 퓨전한 감정처리가 독특했던 저음의 바이브레이션 창법은 너무도 매력적이었다. 서울 신당동 토박이로 전문학교 마라톤선수 출신으로 토건업과 인쇄소를 경영했던 부친 차준달과 경기여고 단거리선수 출신인 모친 안소순의 8남3녀 중 셋째로 태어난 차중락과 함께 11명의 형제자매는 부모의 기질을 이어받아 예체능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첫째는 역도선수, 둘째는 경복고 밴드반장과 연대.. 2012. 11. 4. (소설가) 김말봉 소설가 김말봉 김말봉 ( 金末峰, 1901. 4. 3~1961. 2. 9 ) 여류소설가. 본명은 말봉(末鳳)이다. 부산출생. 일신여학교(日新女學校)를 3년 수료한 뒤 서울에 와 정신여학교(貞信女學校)를 졸업하였다. 그뒤 황해도 재령(載寧)의 명신학교(明信學校) 교원으로 근무하다가, 192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다시 고등학교 과정을 거쳐 경도(京都)에 있는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1927년 귀국하여 중외일보 기자로 취직, 전상범(全尙範)과 결혼하였다. 이 무렵까지 문학에 대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기자로서 쓴 탐방기나 수필이 주위의 호평을 받자, 1932년 보옥(步玉)이라는 이름으로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망명녀 亡命女〉라는 단편소설로 응모, 당선 됨 으로써 문단에 .. 2012. 11. 3. 이전 1 2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