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전주이씨160

(세종) 계양군 이증 [충소공] 계양군 충소공 이증 계양군 증(? : 1427∼1464)은 자가 현지(顯之)로 세종대왕의 2남이다. 어머니는 신빈(愼嬪) 김씨이다. 신빈 김씨는 계양군을 비롯하여 의창군(義昌君) · 밀성군(密城君) · 익현군(翼峴君) · 영해군(寧海君) · 담양군(潭陽君) 등 여섯 아들을 낳았다. 계양군이 신빈 김씨의 장남이다. 계양군의 배위는 좌의정 한확(韓確 : 1403∼1456)의 딸로 세조의 장남 도원군(桃源君 : 後의 德宗)과는 동서(同챢)의 사이로, 세조대왕과 가까웠다. 아버지 세종대왕의 총애가 지극했으며 학문을 즐기고 특히 글씨를 잘 썼다. 세조대왕이 즉위하는데 한 몫을 했으며, 그 공으로 1455년(세조 1) 좌익공신(左翼功臣) 1등이 된 후로부터 세조의 측근에서 서무(庶務)의 출납을 맡아 신임을 얻었으며.. 2014. 9. 13.
(문신) 도안 정지녕, 의인 전주이씨 도안 정지녕 자(字)는 도안이며, 호조좌랑을 역임하셨다. 부친은 병조판서를 역임한 해흥군 정중휘이며 모친은 정부인 동복오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나셨다. 부인 전주이씨는 현감 이두원의 따님이시다. 2014. 6. 8.
(세종) 임영대군 이구 [정간공] 임영대군 휘는 구(구), 자는 헌지(獻之), 시호는 정간(貞簡). 세종대왕의 제4남이며 모친은 소헌왕후 심씨이다. 대군은 성품이 조용하고 인자하며 부귀를 탐하지 않았다. 학문을 닦는 데 힘써 시 · 서 · 경 · 사와 병서를 공부하였다. 또한 사물제작의 정교한 솜씨는 세상 사람들로부터 경탄을 받았다. 재능을 안 세종대왕은 화포제작의 감독을 명하였다. 대군이 제작한 화살은 종전에 2∼3백보 나가던 것이 천여 보 안팎까지 나갔다. 군사기기의 성능을 개량하기도 하여 대군은 `병기와 군사에 관한 지보(至寶)'라고 불렸다. 대군은 평생을 정의 · 성실 · 청렴 · 검약으로 일관하였으며, 부귀와 사치를 멀리 하였다. 세종대왕의 왕자들 중에 가장 청빈하게 생활하였다. 또한 의기는 활발하고 의론에 뛰어나 사람들을 항상.. 2014. 3. 1.
(완원대군) 개령군 개령군 이지 李枝(1349~1427)는 조선시대 전기의 文臣으로 度祖의 손자이며, 태조 이성계의 從弟이다. 1388년(우왕 14)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할 때 中郞將이 되었고, 1392년 조선 개국과 함께 原從功臣이 되어 上護軍에 오른 뒤, 이·호·예조의 전서를 거쳐 順寧君에 봉하여졌고, 左廂軍士를 겸하였다. 1398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에 연루되어 귀향을 갔었으나 1400년 이방원이 즉위하면서 유배에서 풀려나 開寧君에 봉해졌다. 1414년(태종 14)에 領恭安敦寧府事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거쳐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2014. 2. 28.
(전성부원군 이준 계배) 정경부인 여산송씨 전성부원군 이준의 계배 이며, 병사 여산송씨 중기(重器)의 따님이시다. 2013. 9. 29.
(공신) 전성부원군 이준 [숙헌공], 정경부인 청주경씨 전성부원군 숙헌공 이준 1545(인종 1)∼1624(인조 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 호는 뇌진자(懶眞子)·서파(西坡). 덕천군 후생(德泉君厚生)의 후손이며, 상산수(商山守) 계보(繼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억손(憶孫)이고, 아버지는 유정(惟貞)이며, 어머니는 김기서(金麒瑞)의 딸이다. 1568년(선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주서·정언을 거쳐 1581년 헌납이 되고 이어 진주목사·의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이 일어나자 도승지로서 죄인을 다스리는 데 공을 세워 평난공신(平難功臣) 2등에 책록되고 전성군(全城君)에 봉하여졌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운향사(運餉使)가 되어 명나라 군사의 군량미 조달책임을 맡았으나.. 2013. 9. 29.
(15) 광해군묘(光海君墓) - 광해군(光海君),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문화류씨 광해군(光海君) 1575년~1641년 (선조8년~인조19년) 휘 혼(琿). 선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공빈김씨(恭嬪金氏)이다. 비(妃)는 판윤 유자신(柳自新)의 딸이다. 의인왕후(懿仁王后) 박씨가 아들이 없었으므로, 당시 조정에서는 공빈김씨 소생의 임해군(臨海君) 진(珒)을 세자로 삼으려 했으나 광패(狂悖)하다는 이유로 보류되었다. 그뒤 1591년(선조 24) 정철(鄭澈)을 비롯한 대신들이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자는 건의를 올렸으나, 선조가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인 신성군(信城君)을 총애하여 책봉이 지연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서울을 떠나게 되자 피난지 평양에서 서둘러 세자에 책봉되었고, 선조와 함께 의주로 가는 길에 영변에서 국사권섭(國事權攝:임시로 나랏일을 맡아봄)의 권한을 받았.. 2013. 8. 24.
(문신) 악남 정석, 정부인 밀양박씨, 정부인 전주이씨 악남 정석 1619(광해군 11)∼1677(숙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백야(白也), 호는 악남(岳南). 원희(元禧)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흠(欽)이고, 아버지는 효준(孝俊)이며, 어머니는 이진경(李眞卿)의 딸이다.1649년(인조 2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학정(學正)ㆍ정언을 거쳐 지평이 되어 1654년(효종 5)에 인조의 총희 조숙원(趙淑媛)문제를 논하다가 영산(靈山)에 유배되었다. 2년 뒤 복관되어 정언ㆍ지평ㆍ장령 등을 역임하였고, 1662년(현종 3)에 장악원첨정(掌樂院僉正)으로 문신정시(文臣庭試)에 3등으로 합격하였다. 그 뒤 수찬ㆍ교리ㆍ집의ㆍ응교를 거쳐 1669년에 동래부사가 되어 왜관(倭館)을 동래부로 옮기기도 하였으나 왜인을 잘 규리(糾理)하지 못하였다 .. 2013. 4. 20.
(문신) 애오로 류한규, 사주당 전주이씨 [사주당 이씨] - 애오로 류한규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단오(端五), 자호는 애오로(愛吾盧). 문성공 류순정(柳順汀)의 9대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류진운(柳振運), 아버지는 유담(柳紞)이다. 부인은 『태교신기(胎敎新記)』를 쓴 사주당(師朱堂) 이씨이며, 『언문지(諺文志)』의 저자 류희(柳僖)의 아버지이다. 영조·정조 대에 활동한 문신으로 벼슬은 높지 않았으나, 담운(澹雲) 조명교(曺命敎)에게 수학하여 『주역』과 『예기』에 통달하였고 시문에 능하였다. 행서·해서를 잘 쓰고 화살을 잘 쏘았으며, 의술·수학·역법 등에도 조예가 있었다. ‘애오로’라 자호할 정도로 자연 속에 살기를 좋아하였다. - 사주당 전주이씨 본관은 전주(全州). 조선조 태종의 서자인 경녕군(敬寧君)의 11대 손으로, 남편은 목천현감인 류한규(柳.. 2013. 2. 6.
(문신) 백영 홍철주 [효헌공], 정부인 대구권씨, 정부인 전주이씨 효헌공 백여 홍철주 본관은 풍산, 자는 백영(伯泳)이며, 홍일모(洪一謨)의 아들로 서울에 거주하였다. 1859년(철종 10) 진사로서 증광별시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1866년(고종 3) 공충도에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철저히 염찰한 공으로 이듬해 이조참의에 임명되었다. 1871년(고종 8) 5월 여주목사로 부임하여 11월 진주부사로 옮겼다. 1875년 안동부사로 있을 때 울산부에서 민란이 일어나자 안핵사로 파견되어 난을 수습하였다. 그후 이조참의·성균관대사성·승지·이조참판·한성부판윤을 거쳐 1884년 호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해에 일어난 갑신정변이 실패한 직후 사대당(事大黨) 내각이 수립될 때 형조판서가 되었으며 1885년 한성부판윤·형조판서·예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887년 3월 전보국총판이 되어 전선(.. 2012. 10. 15.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