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보현당의 묘지기행783

(대한민국 군인, 1212사태) 중령 김오랑 1944년 4월 5일 경상남도 김해군 김해읍 남역리(現 김해시 삼정동) 119번지에서 아버지 김종수와 어머니 임순이 사이에서 4남 1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1957년 김해 소재 삼성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어려운 가정형편 탓에 또래보다 1년 늦게 김해중학교(10회)에 입학했으며 김해중학교를 졸업하고 김해농업고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에 합격했으나 학비 문제로 인해 등록하지 못하고 이듬해인 1965년에야 육군사관학교(25기)에 입교했다. 육사 동기로는 강창희 전 국회의장,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 황진하 전 국회의원 등이 있다.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1969년에 보병 소위로 임관해 제2보병사단 제32보병연대 수색중대 소대장으로 첫 부임하게 되었다. 중위 진급 후 1970년 7월 맹호.. 2024. 2. 5.
(대한민국 육군, 1212사태) 병장 정선엽 대한민국 육군의 병장. 1979년 12.12 군사반란 당시 국방부 초병으로 근무하던 중 국방부에 진입하려던 반란군에게 저항하다가 전사하였다. 12·12 군사반란 과정에서 국방부를 지키다 전사한 유일한 희생자였으며, 사태 전체로 확대해 봐도 김오랑 중령(특전사령관 비서실장)과 함께 반란 진압 중 전사한 유이한 인물이다. 전역이 3개월 가량 남았던 1979년 12월 13일 전두환이 주도한 12.12 군사반란으로 '진도개 하나'가 발령되자 국방부에서 근무 중이던 군인들은 모두 경계근무에 배치되었다. 그의 선임은 전역을 앞둔 그를 배려해 보안실에 그를 배치하려고 했지만 그는 요충지인 B2 벙커에 후임 일병이 배치됐다는 소식을 듣고 벙커 초병을 자원했다고 한다. 당시 50헌병중대 행정병 출신에 따르면 B2 벙커에.. 2024. 2. 5.
(대한광복군, 독립운동가, 외교관) 박영 -밀양박씨- 관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외교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1986년 건국포장)수여. 1921년 12월 20일 울산군에서 태어났다. 1944년 주오대학 재학 중 학병에 끌려가 소주에서 간부 후보생으로 훈련 받던 중 김영남, 류재영, 성동준, 최용덕, 정병훈, 김봉옥과 탈출하였다. 탈출 후 중국군 충의구국군사령부에 들어가 일본군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였고, 일본군 포로심문 및 통역관으로 활약하였다. 이들의 탈출 사실은 중국 각 신문에 보도되었다. 해방 후 귀국하여 1954년 고등전형시험 외무과에 합격하였고, 국제연합대표부 근무를 시작으로 외교관의 길을 걸었다. 외무부 통상경제조사과장, 홍콩, 베트남 공화국, 뉴질랜드 참사관을 거쳐 1973년 주 뉴질랜드 대리 대사, 1974년 주 로스엔젤.. 2024. 2. 4.
(순평군 파) 선산부령 이팽동, 온인 남양홍씨, 온인 하동정씨, 온인 여흥민씨 -전주이씨- 휘는 팽동(彭同), 의상령의 차남으로 1505년(연산군 11) 11월에 태어나 연도 미상 9월 19일에 별세했다. 배위는 온인 남양홍씨와 온인 하동정씨 그리고 온인 여흥민씨이며 슬하에 3남을 두었다. 2024. 1. 15.
(문신, 좌의정) 능파 김병필[효정공], 정부인 기계유씨 -신 안동김씨- 김병필(金炳弼) 1839(헌종 5)∼1870(고종 7).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아버지는 문근(汶根)이고, 철종비 철인장황후의 동생이다. 음보로 사용(司勇)에 기용되어 1854년(철종 5) 응제(應製)에서 직부전시(直赴殿試)의 특혜를 받고, 이듬해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규장각대교가 되었다. 그뒤 검열·교리를 거쳐 1859년에는 홍문관부제학·대사성·이조참의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이듬해 호조참판, 1861년 이조참판, 1862년 대사헌을 역임하고, 1863년 다시 홍문관부제학을 거쳐 행호군(行護軍)이 되었으며, 철종이 죽자 존호도감옥책관(尊號都監玉冊官)을 겸하였다. 고종의 즉위로 흥선대원군이 집정하자 관계에서 물러났다가, 평소 대원군과 가깝게 지내던 사촌형 병학(炳學)이 안동김씨의 몰락 이후에.. 2024. 1. 13.
(세종대왕, 밀성군 파) 광성정 이전, 신부인 강릉김씨 -전주이씨- 광성정(匡城正, 1493년∼1545년)은 조선 시대의 왕실 종친으로 세종의 12남인 밀성군의 손자이다. 초수는 부정이었다가 뒤에 정으로 승진했으며, 이름은 이전(李銓)이다. 세종의 손자 운산군의 3남으로 태어났다. 초수는 부정으로 광성부정(匡城副正)이라 했다가 뒤에 정으로 승작하였다. 판관(判官) 김유악(金由岳)의 딸에게 장가들어 2남 1녀를 두었다. 둘째 아들 광원수 이구수의 후손에서 이경여, 이수여 등의 재상이 배출되었다. 2024. 1. 5.
(정치인,종교인) 운석 장면 요한, 부인 김옥윤 마리아 여사 -인동장씨-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운석 장면 요한 1899년∼1966년. 정치가. 본관은 인동(仁同). 호는 운석(雲石). 서울 출생. 일제강점기 때 부산세관장을 지낸 장기빈(張箕彬)의 아들이다. 8세에 인천 사립박문학교에 입학, 한학을 수학하였다. 1917년 수원고등농림학교(水原高等農林學校: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전신)를 졸업하고, 1919년 서울기독교청년회관 영어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25년 한국천주교청년회 대표자격으로 미국 맨해튼 카톨릭대학 문과를 마치고 로마에서 열린 ‘한국 79위 순교복자 시복식’에 참석하였다. 귀국 후 천주교 평양교구에서 교회일을 보았다. 1913년 동성상업학교(東星商業學校)에 부임, 1936년 이 학교 교장이 되고, 계성학교(啓星學校)의 교장직도 겸임하여 광복 때까지 근무하.. 2023. 12. 24.
세종의 귀염둥이 막내아들, 왕실판 ‘사랑과 전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0886#home [이숙인의 조선가족실록] 세종의 귀염둥이 막내아들, 왕실판 ‘사랑과 전쟁’ | 중앙일보 지금 여기 누워있는 영응대군과 그 아내들인 여산 송씨, 해주 정씨, 연안 김씨는 누구이며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가. 춘성부부인(春城府夫人) 정씨에게 봉작한 사령장을 거두고 영응의 부인으로 www.joongang.co.kr 영응대군 후손이라는 작자가 전화로 자기신분도 이야기 하지 않고 나에게 춘성부부인이라 부르면 안되고 이혼했기때문에 자기네가 모실 이유가 없다고 한다. 그런데 왜 나한테 전화를 했는가?? 이자가 나이를 처먹더니 정신이 오락가락한가.... 왕실 후예? 아니 부실의 후예가 할 이야기는 아닌듯하다. 아무튼 이 기사내용에도 춘.. 2023. 12. 9.
(육군대장) 청산 박준병 -제20사단장- 1933년 6월 21일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한곡리에서 아버지 박종호(朴鍾昊, 1915. 11. 7 ~ 1994. 4. 5)와 어머니 경주 김씨 김지순(金知順, 1916. 3. 16 ~ 1995. 5. 3) 사이의 6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청산'이라는 호가 바로 태어난 곳의 지명을 딴 것. 육군사관학교를 12기로 졸업했으며 하나회의 멤버로 동기 박희도, 박세직과 '3박'으로 불렸다. 박세직과 더불어 동기 중 선두 주자였으며 대령 시절 81보병연대장을 역임했다. 1979년 소장 진급 후 수도권 충정부대를 지휘하는 요직인 제20사단장에 임명되었다. 재임 중 12.12 군사반란이 일어났고 당시 경복궁에 모였던 가담 멤버 중 1명이었으나 본인은 사전에 모임의 목적이 반란인지 모르고 갔었다고 말했다. 당.. 2023. 12. 8.
(육군 대장) 유학성 -제3군사령관- 유학성(兪學聖, 1927년 2월 28일~1997년 4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며 경상북도 예천 출생이다.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정훈 1기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6.25 전쟁에 참전하였고, 육군 주월 100군수사령관, 육군 제26사단장, 육군 전투발전사령관, 육군 동해안경비사령관, 육군본부 교육참모부장, 육군 제2군단장, 국방부 군수차관보, 육군 제3군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국방부 군수차관보 재직 중이었던 1979년에는 전두환, 노태우 등의 신군부가 일으킨 12·12 군사 반란에 가담하였다. 12·12 후 육군 제3군사령관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1980년 5·18 내란에 도의적 가담하였으며 그 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 육군 제3군.. 2023. 12. 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