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신) 미수 허목 [문정공], 정경부인 전주이씨 - 청남 문정공 미수 허목 1595(선조 28)~ 1682(숙종 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남인으로 17세기 후반 2차례의 예송(禮訟)을 이끌었으며 군주권 강화를 통한 정치·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화보(和甫)·문보(文父), 호는 미수(眉叟)·대령노인(臺嶺老人). 아버지는 현감 교(喬)이며, 어머니는 임제(林悌)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정언옹(鄭彦ㅌ)글을 배우고, 1617년 현감으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 거창으로 가서 정구(鄭逑)의 문인이 되었다. 1624년(인조 2) 경기도 광주의 우천(牛川)에 살면서 자봉산(紫峯山)에 들어가 학문에 전념했다. 1636년 병자호란으로 피난하여, 이후 각지를 전전하다가 1646년 고향인 경기도 연천으로 돌아왔다. 1650년(효종 1) 정.. 2014. 9. 26. (성종) 회산군 이염 [정간공], 영원군부인 죽산안씨 회산군 정간공 이염 회산군(檜山君) [1481(성종 12)∼1512(중종 7)] 휘는 염(?舌), 호는 보익당(輔翼堂), 시호는 정간(貞簡). 현록대부(顯祿大夫) 영종정경(領宗正卿)에 올랐다. 모친 숙의(淑儀) 남양홍씨는 중추부사 집현전 제학 일동(逸童)의 딸이다. 숙의 홍씨는 7남 3녀를 낳았는데 공은 이 중 2남으로 1481년(성종 12) 12월 13일에 탄생하였다. 성종대왕은 여러 왕자 중 공을 특별히 사랑하여 스승을 골라서 가르치고자 정광필(鄭光弼)에게 명하니 정광필이 김굉필(金宏弼)을 추천했다. 그리하여 임금은 김굉필이 도학(道學)이 있다 하여 공을 예관(禮官)과 더불어 그에게 보내며 하교하기를 “고서(古書)에 이르기를 사람이 편히 살기만 하고 배움이 없으면 곧 금수에 가까울 것이로다. 그런 까.. 2014. 9. 25. (공신) 영양부원군 정종 [헌민공, 영양위] 영양부원군 헌민공 정종 공의 이름은 종(悰)이요, 성은 정씨요, 본관은 해주다. 먼 조상의 이름은 숙(肅)으로 고려에 벼슬하여 벼슬이 전법정랑(典法正郞)에 이르렀고, 그 뒤 언(琂)이란 분이 소윤(少尹)을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되니 곧 공의 고조이시다. 증조의 이름은 윤규(允珪)로 낭장(郎將)을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할아버지의 이름은 역(易)으로 비로소 우리 조선으로 들어와 태종과 세종 두 임금을 섬겨 벼슬이 의정부 좌찬성과 집현전 대제학에 이르렀었다. 아버님의 이름은 충경(忠敬)으로 형조참판을 지내고 좌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어머님 여흥민씨(驪興閔氏)는 목사 호덕(好德)의 따님이시다. 경태(景泰) 원년(1450)에 공이 문종대왕의 부마로 경혜공주(敬惠公主)를 아내로 맞이하여 영양위(寧陽尉.. 2014. 9. 21. (덕종) 당양군 홍상 [소이공] 당양군 소이공 홍상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자강(子剛)이며, 좌의정 홍응의 아들이다. 1466년(세조 12) 덕종의 딸 명숙공주(明淑公主)와 결혼하여 당양위(唐陽尉)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도총관이 되었다. 연산군 초에 수록대부(綏祿大夫)의 위계를 받았으나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함평으로 유배되었다. 그러다가 안성으로 양이(量移)되었고, 다시 거제로 유배되었다가 제주로 이배되었다. 1506년(중종1)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와 조정에 돌아온 뒤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다. 도량이 넓고 성품이 온화했으며 부귀로 사람을 억압하지 않아 백성들이 왕실의 사위인 줄 알지 못하였다 한다. 신도비는 1514년에 건립되었는데, 성균관사성 이행이 짓고 사헌부장령 김희수가 썼다. 시호는 소이(昭夷)이다. 2014. 9. 21. (홍응 배위) 정경부인 안성이씨 2014. 9. 21. (공신) 익성부원군 홍응 [충정공] 익성부원군 충정공 홍응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응지(應之), 호는 휴휴당(休休堂)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아버지는 한성부윤 심(深)이며 어머니는 윤규(尹珪)의 딸이다. 1451년(문종 1)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좌정언이 되었다. 세조대에 집현전교리·보덕·도승지를 역임했고, 1463년(세조 9) 영응대군(永膺大君)과 함께 〈명황계감 明皇誡鑑〉을 국역하는 한편 〈경국대전〉의 편찬에도 참여했다. 1468년(예종 즉위)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 3등에 책록되고 익성군(益城君)에 봉해졌으며 지중추부사로 승직되었다. 1471년(성종 2) 왕권에 위협이 되던 구성군(龜城君)을 제거한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에 책록되고 익성부원군(益城府院君)에 봉해졌다. 1479년 우의정이.. 2014. 9. 21. 이전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30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