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애국지사) 백용성 -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33인 백용성 백용성 [白龍城, 1863.5.8~1940.2.20] 한말의 독립운동가·승려.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 불교계를 대표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다는 이유로 옥고를 치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본관 수원(水原). 법명(法名) 진종(辰鍾). 속명 상규(相奎). 용성은 법호(法號). 전라북도 장수군(長水郡) 번암면(蟠岩面)에서 출생하였다. 16세 때 해인사(海印寺)에 들어가 수도생활을 한 후 전국의 명찰(名刹)을 돌면서 심신 연마에 힘썼다. 3·1운동 때는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으로 불교계를 대표하여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1년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불교종단의 정화를 위하여 힘쓰고 대처승의 법통계승(法統繼承)을 인정하는 일본의.. 2014. 6. 22.
(애국지사) 이필주 - 민족대표 33인 애국지사 이필주 이필주 [李弼柱, 1869.12.9~1942] 한말의 독립운동가,목사. 기독교청년회(YMCA) 상동 공옥 소학교 교사로 신생활운동을 전개하였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다. 목회활동과 야학 개설 등 육영사업에도 힘썼다. 신사참배 거부 등 일제에 항거하였다. 1869년 12월 9일 경기도 고양(高陽)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한문을 배우고, 20세 때 구(舊)한 국군에 들어가 8년간 장교로 근무하였다. 1907년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으로 군대가 해산되자 상동(尙洞)교회 목사 전덕기(全德基)를 중심으로 하는 상동청년회에 가입, 그리스도교도가 되었다. 이어 기독교청년회(YMCA)에 들어가 상동 공옥(攻玉)소학교의 체육교사로 근무하면서 미신타파, 계급차별의 배격, 자립정신의 고취.. 2014. 6. 20.
(애국지사) 춘헌 이명룡 - 민족대표 33인 애국지사 춘헌 이명룡 이명룡 [李明龍, 1872.8.2~1956.11.12] 한말의 독립운동가로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체포되어 2년간 옥고를 치렀다. 1945년 조선민주당을 조직하여 고문에 추대되었다. 본관 전주(全州). 호 춘헌(春軒). 1872년 8월 2일 평안북도 철산(鐵山)에서 출생하였다. 한학을 배우고 1892년 그리스도교에 입교, 신앙생활과 육영사업에 힘썼다. 1902년 정주군(定州郡) 상업회의소 소장이 되어 동양척식주식회사의 한인토지수매를 적극 반대하였다. 1911년 시찰단의 일원으로 일본을 다녀온 후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3년 동안 복역하였다. 1916년 덕흥(德興)교회 장로가 되어 농장을 경영하며 교회를 설립하고, 국산품애용운동을 벌였다.. 2014. 6. 20.
(애국지사) 연당 이갑성 - 민족대표 33인 민족대표 이갑성 이갑성[李甲成, 1889.10.23~1981.3.25]한말의 독립운동가.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으며, 1933년 신간회 사건으로 상하이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펼치다가 귀국하였으며, 광복 후 여러 정치적 활동을 하였다. 본관 전주(全州), 호 연당(硏堂)이다. 1889년 10월 23일 대구에서 태어났다. 1915년 세브란스의학전문을 졸업하고, 1919년 3·1운동 때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생시위운동 및 전단살포 등 중책을 맡아 수행하다가 일본경찰에게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24년 세브란스 의약의 지배인이 되고, 1926년부터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YMCA) 이사로도 활약하였으며, 1933년 신간회.. 2014. 6. 20.
(문신) 도안 정지녕, 의인 전주이씨 도안 정지녕 자(字)는 도안이며, 호조좌랑을 역임하셨다. 부친은 병조판서를 역임한 해흥군 정중휘이며 모친은 정부인 동복오씨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나셨다. 부인 전주이씨는 현감 이두원의 따님이시다. 2014. 6. 8.
(문신) 사안 정이녕, 유인 청주경씨 사안 정이녕 자(字) 사안이며, 성균관 진사, 해주정씨 대종손이시다.부친은 병조판서를 역임한 해흥군 정중휘이며 모친은 정부인 동복오씨 이시다. 부인 청주경씨는 참판 경최의 따님 이시다. 2014. 6. 8.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