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문신) 박규, 정부인 원주변씨 관찰사 박규 ?∼1437(세종 19).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좌의정 은(訔)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전법판서(典法判書) 주언방(周彦邦)의 딸이다. 음보(蔭補)로 여러 벼슬을 거쳐 1425년(세종 7) 판통례원사(判通禮院事)가 되고 형조·이조의 참의를 지낸 뒤, 1429년 황해도관찰사를 거쳐 동지총제(同知摠制)에 승진되고 예조·호조·형조의 참판을 역임하였다. 1433년 평안도관찰사가 되어 재직중 야인(野人)들의 약탈을 막지 못하여 함열(咸悅)로 유배되었다가 곧 방환되어 영남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그뒤의 사적은 자세히 알 수 없다. 2013. 1. 22.
(관직) 금천부원군 박은 [평도공], 진한국대부인 장흥주씨 금천부원군 평도공 박은 1370(공민왕 19)∼1422(세종 4).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앙지(仰之), 호는 조은(釣隱). 할아버지는 수(秀)이고, 아버지는 고려 말의 학자인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상충(尙衷)이며, 어머니는 이곡(李穀)의 딸이다. 전법판서(典法判書) 주언방(周彦邦)의 사위이며, 어효첨(魚孝瞻)의 장인이다. 문음(門蔭)으로 판숭복도감사(判崇福都監事)를 받은 뒤, 1385년(우왕 11) 문과에 2위로 급제해 권지전교시교감(權知典校寺校勘)·후덕부승(厚德府丞)을 거쳐 1391년(공양왕 3) 통례문부사(通禮門副使), 이듬해 개성부소윤(開城府少尹)이 되었다. 조선이 개창된 뒤에도 지금주사(知錦州事)가 되었고, 고과(考課)에 정최(政最)의 성적을 받아 좌보궐(左補闕).. 2013. 1. 22.
(문신) 운포 여성제[정혜공], 정경부인 금천강씨 운포 정혜공 여성제 1625(인조 3)∼1691(숙종 1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희천(希天), 호는 운포(雲浦). 관찰사 우길(祐吉)의 손자이며, 부사 이량(爾亮)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한준겸(韓浚謙)의 딸이다. 참판 이징(爾徵)의 양자가 되었다. 아버지가 한백겸(韓百謙)의 문인으로 그 영향을 받았고, 인조비인 인열왕후(仁烈王后)의 아버지 한준겸의 외손자로서 국척관계(國戚關係)에 있었다. 1650년(효종 1)생원시에 장원하고 1654년 참봉에 배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같은해 가을에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검열이 되고 이후 북평사(北評使)·집의·동부승지 등을 거쳐 호남을 안찰(按察)하여 유업(儒業)과 무예에 치적이 많았다. 외직에서 돌아와 호조참의·대사간·좌부승.. 2013. 1. 10.
(고종) 보현당 귀인 해주정씨 몰락한 남인가의 후손으로 태어나..... [고종태황제 후궁 보현당 귀인정씨] [서삼릉 후궁묘역 보현당 귀인정씨 묘] 보현당 귀인정씨 고종태황제의 후궁이시다. 언제 어떻게 입궁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자세한 자료는 없지만, 필자의 고모(2004년 작고)님께서 이야기해주 신 내용을 적고자 한다. 조선 후기,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때 우리 집안은 고난의 역사였다. 보현당정씨의 부친께서는 이름은 정확하게 알지 못하나 정방지거 세례명이 전하고 있다. 조부께서는 정화이시며 조모의 성명 또한 미상이시다. 이렇게 된 배경은 천주교랑 연관이 있다. 조부와 부친께서는 강원도와 경기도 양평에 숨어 살면서 화전 밭을 일구며 근근하게 생활을 하셨다고 한다. 보현당정씨는 익정공 정운유할아버지 후손이다. 익정공 할아버지께서는 여주목사.. 2012. 12. 15.
(04대) 세종대왕 신도비 - 영릉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1-1호] 세종대왕 신도비 세종대왕 신도비는 문종 2년(1452)에 현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 산 13번지, 영릉(英陵)에 세워졌던 것을 1974년 5월에 이전해 온 것이다. 영릉은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능으로 예종 원년(1469) 3월에 현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으로 옮기면서 신도비와 영릉 주변의 석물(石物)을 그대로 두었다. 신도비는 조선 시대에 국왕이나 종2품 이상의 고위관리만 무덤 앞에 세울 수 있었다. 이 신도비는 옛 영릉 터에서 약 1km 떨어진 순조의 인릉(仁陵)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신도비의 머리부분인 이수(螭首)는 두 마리의 용이 좌우에서 구슬을 물고 있는 모습이며, 조각 솜씨는 매우 정교하지만 오랜 세월에 걸친 풍화작용으로 인하여 손상이 심하다. 총 4,886자의 글자가 새겨진 이 비석은 세종대왕.. 2012. 12. 2.
(04대) 영릉(英陵) - 세종(世宗), 소헌왕후(昭憲王后) 청송심씨 [사적 제195호] 영릉(英陵) 세종(世宗), 소헌왕후(昭憲王后) 청송심씨 세종(世宗, 1397년 음력 4월 10일 (양력 5월 15일) ~ 1450년 음력 2월 17일 (양력 4월 8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왕이다. 성은 이(李), 휘는 도(祹), 자는 원정(元正)이다. 사후 묘호는 세종(世宗), 시호는 장헌대왕(莊憲大王)으로, 정식 시호는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世宗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이다.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이며, 비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이다. 조선 태종과 부인 민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태종 8년(1408년) 충녕군에 봉해졌다가, 태종 12년(1412년), 형 효령군 이보와 함께 대군으로 진봉된다. 형 이제가 세자에서 폐.. 2012. 11. 27.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