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보현당 묘지에서 역사인물을 만나다.
  • 보현당의 묘지기행
  • 수곡당, 지국와
반응형
(문신) 약천 남구만[문충공], 정경부인 동래정씨 문충공 약천 남구만 1629(인조 7)~1711(숙종 37)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서인의 중심인물이었으며, 문장과 서화에도 뛰어났다. 널리 알려져 있는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의 지은이이다. 본관은 의령.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미재(美齋). 개국공신 재(在)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지방 현령이었던 일성(一星)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생이었던 송준길(宋浚吉)에게 수학, 1656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했다. 정언·이조정랑·집의·응교·사인·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 등을 거쳐서 1668년 안변부사·전라도관찰사를, 1674년 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숙종초 대사성·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한성부좌윤을 지냈다. 같은 해 남인인 윤휴·허견 등을 탄핵하다가 남해로 유.. 2012. 8. 25.
(태종) 효빈김씨 효빈 김씨 미상∼1454년(단종 2). 태종(太宗)의 후궁으로 경녕군(敬寧君)의 어머니이다. 김씨는 원래 원경왕후(元敬王后)의 몸종이었다. 태종이 왕이 되기 전에 관계를 가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를 낳았으며, 후에 태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빈(嬪)으로 봉해졌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효빈김씨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1399년 기묘년 가을 9월에 태종이 송도(松都)의 추동(楸洞) 잠저(潛邸)에 있을 때, 어느날 날은 새려 하여 별은 드문드문한데, 흰 용(白龍)이 침실(寢室) 동마루 위에 나타났다. 그 크기는 서까래만 하고 비늘이 있어 광채가 찬란하고, 꼬리는 꿈틀꿈틀하고, 머리는 바로 태종이 있는 곳을 향하였다. 효빈김씨가 처마 밑에 앉았다가 이를 보고 달려가 집찬인(執饌人) 김소근(金小斤.. 2012. 8. 19.
(효종) 의순공주 "금림군 이개윤의 딸을 의순공주로 삼고" 나라를 구한 비운의 공주 의순공주 - 의순 공주(義順公主) : 효종 원년 3월에 청나라 사신 파흘내(巴訖乃) 등이 가지고 온 칙서 가운데에 “귀국과 혼인하여 우의를 공고히 하고자 하니 왕의 누이나 딸 혹은 왕족이나 대신의 딸 중 재색을 겸비한 자를 뽑아 보내라.”고 하였으므로 생부 금림군(錦林君) 이개윤(李愷胤)의 딸을 의순 공주로 가칭하여 섭정왕에게 보냈었다. - 효종 3권, 1년(1650 경인 / 청 순치(順治) 7년) 3월 25일(무인) 2번째기사 혼인할 여자인 금림군 이개윤의 딸을 의순 공주로 삼고 상을 내리다 금림군 이개윤의 딸을 의순 공주(義順公主)로 삼았다. 개윤에게 가덕(嘉德)의 품계를 더하고, 비단과 미두(米豆)를 후하게 내렸다. - 효종 3권, .. 2012. 8. 11.
(정치인) 덕산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민주화를 위하여 야수의 심정으로 유신의 심장을 쏘았다" 1926년∼1980년. 군인‧정치가‧행정관료. 경상북도 선산 출신. 1943년 안동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지금의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중등교원양성소에 입학하여 1945년 수료하였다. 김천중학교에서 교직생활을 하다가 국군창설 때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에 입교하여 1946년 12월 제2기생으로 졸업한 뒤, 잠시 대구 대륜중학교 및 김천중학교의 교사생활을 역임한 것을 제외하고는, 계속 군요직을 거치면서 정치가와 행정관료의 길을 걸었다. 1954년 제5사단 제36연대장, 1957년 육군대학부총장, 1963년 제6사단장, 1966년 제6관구 사령관, 1968년 육군보안사령관, 1971년 제3군단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친 뒤, 5월혁명 직후 군정하에서 호남비료사장을 .. 2012. 8. 11.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후광 김대중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김대중 1924년 전라남도 신안에서 태어났다. 호적상 출생일은 1925년 12월 3일(음력)이다. 1950년 《목포일보》 사장이 되었고 1960년 민의원에 당선된 후 1971년까지 6·7·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6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63~1967년 민주당·민중당·신민당 대변인, 1968년 신민당 정무위원을 역임하였고, 1971년 신민당 대통령후보로 민주공화당의 박정희(朴正熙)와 겨루었으나 패배하였다. 그후 미국·일본 등지에서 박정희 정권에 맞서 민주화운동을 주도하다가 1973년 8월 8일 도쿄(東京)의 한 호텔에서 중앙정보부(지금의 국가정보원) 요원에 의하여 국내로 납치(김대중납치사건)되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1976~1978년 민주구국선언사건으.. 2012. 8. 11.
(정치인,종교인) 운석 장면, 부인 김옥윤 여사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운석 장면 요한 1899년∼1966년. 정치가. 본관은 인동(仁同). 호는 운석(雲石). 서울 출생. 일제강점기 때 부산세관장을 지낸 장기빈(張箕彬)의 아들이다. 8세에 인천 사립박문학교에 입학, 한학을 수학하였다. 1917년 수원고등농림학교(水原高等農林學校: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전신)를 졸업하고, 1919년 서울기독교청년회관 영어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25년 한국천주교청년회 대표자격으로 미국 맨해튼 카톨릭대학 문과를 마치고 로마에서 열린 ‘한국 79위 순교복자 시복식’에 참석하였다. 귀국 후 천주교 평양교구에서 교회일을 보았다. 1913년 동성상업학교(東星商業學校)에 부임, 1936년 이 학교 교장이 되고, 계성학교(啓星學校)의 교장직도 겸임하여 광복 때까지 근무하.. 2012. 8. 10.
반응형
LIST